• Title/Summary/Keyword: 학생 성취도

검색결과 1,906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Korean Students' Performance in Science)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ISA 2009 ~ PISA 2018 과학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수준별 비율과 성취 수준별 남녀 비율을 살펴보았으며, 평가틀 하위 요소별 정답률을 PISA 2015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PISA 주요 성취 상위국에 비하여 하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상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은 낮았다. 평균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취 차이는 거의 없어졌으나, 상위 성취 수준에서 남학생의 비율은 여학생의 비율보다 높은 것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평가틀에서 '맥락'의 '개인적', '역량'의 '과학 탐구의 설계 및 평가', '지식'의 '인식론적' 지식, '인지적 요구'의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정답률이 상승하여 PISA 2015에 비해 성취가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과 평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longitudinal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interest and achievement: Using multivariate growth mixture model)

  • 김래영;한수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9-33
    • /
    • 2024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변화 양상에 이질적인 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종단적인 변화 양상에 따라 학생들을 4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흥미와 성취도가 모두 낮은 저수준 유형, 모두 높은 고수준 유형,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중수준-증가 유형,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중수준-감소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마다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의 초기값과 기울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학 흥미와 성취도는 초기값뿐 아니라 변화율에 있어서도 서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수업방식, 가정 변인으로 나누어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고, 학생의 교육포부와 사교육 시간은 수학 흥미 및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선행학습의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의 경우, 교수자 중심 수업은 흥미와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고, 학습자 중심 수업은 흥미와 성취도가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통해 수학교육에서 흥미와 성취도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제도의 중요도 및 성취도 비교 분석

  • 김수진;남정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71
    • /
    • 2022
  • 최근 경제불황 및 실업률 증가,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창업이 떠오르고 있다. 특히 정부는 혁신적인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 중요도 및 성취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요인별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질적 성장 및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이용한 중요도-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모든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가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매트릭스에서 가장 개선의 우선순위가 높은 요인은 「자금 및 투자지원」, 「창업 공간 및 시설지원」, 「경영자문」, 「특허 및 지식재산 지원」, 「창업현장실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및 지원제도가 구축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자체 창업투자 재원 확보(실행), 대학의 액셀러레이터 역할 및 기능 강화, 학생창업자 입주공간 우선 지원 및 확대, 기술 기반 학생창업자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장(지원), 학생들의 수요조사를 반영한 창업교과목 개발 및 보급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Gifted Students'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Mathematics Prerequisite Learning -Focused on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University-)

  • 한지선;박형빈;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112
    • /
    • 2013
  • 현재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을 받기 위하여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받고 있는 기형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영재교육원 입학 이전의 수학 선행학습이 입학 이후의 영재교육원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선행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기간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기간은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학습기간과 학업성취도, 선행학습기간과 성취동기, 성취동기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거의 없었으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Cases of Discrepancy in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Focusing on Testing Tool in Affective Area)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91-909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인지적 정의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불일치 사례를 분석했다. 30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성취도를 양적 자료로 수집했고, 그 중 33명의 학생을 면담한 질적자료를 분석했다. 주로 검사 도구의 측면에서 불일치 사례의 원인과 유형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양적 자료인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 영역 각각에서 과목별, 구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었고, 특히 두 영역 간 성취도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도 20% 이상 분석되었다. 선택한 진로와 진학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학 학습을 조절한 사례, 학교 과학과 과학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 등의 사례가 면담을 통해 발견되었다. 도구로 측정한 양적 자료와 학생들의 면담 내용인 질적 자료를 비교한 결과 스스로 반응한 양적 자료와 다르게 자신을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검사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검사 도구와 관련된 불일치 유형은 '문항 개발자가 의도한 개념과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간 차이'와 '표현된 반응과 속마음 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용어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될 때 자의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반응하는 경우가 전자에, 사회적 바람직성이나 자아 방어 기제에 의한 반응 왜곡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정교화하려는 노력, 학습 경험을 획일적으로 고정시키는 평가 개선 등이 필요하다.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K대학교 사례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dmitted by admissions officer selection: K university case)

  • 최현석;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49-1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1학년과 2012학년도 K대학교 입학생 중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평균평점과 상대하위순위 (relative ascending rank)에 기초한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입학사정관전형의 실효성과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입학사정관 전형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가 입학사정관 전형의 학업성취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 수시 일반, 정시 일반 모집별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제 학생들이 일반 전형학생들에 비해서 거의 모든 학기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 전형 중에서는 수시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시 일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거의 모든 학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입학전형요소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2011학년도 A대학교 사례-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 university case in 2011-)

  • 최현석;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43-351
    • /
    • 2012
  • 본 연구는 2011학년도 A대학교 입학생 중 일반전형으로 입학하여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전형요인을 찾아 대학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 정보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입시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결과 성별, 모집시기별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다른 방식의 영향을 주는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더 높고, 수시모집 학생들에 비해 정시모집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 분석에서 남학생은 수능성적, 여학생은 학생부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집시기별 분석에서는 정시(나)는 학생부성적, 정시(다)는 수능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through Student Interactive Feedback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 허가은;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09-432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과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형성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의 하나로 설정한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비교집단에는 본인 확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는 수학적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학생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5분 테스트 활용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that five-minute tests influence low level students' improvement of their assessment in mathematics)

  • 백세현;박영용;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논문은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매 수업초 5분 동안 이전 차시에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5분 테스트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각 단원별 단원평가를 통해 5분 테스트가 수학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소재하고 있는 H중학교 2학년 학생 중 수학 학습부진 학생 4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2학년 1학기말 수학 성적을 기준으로 '2+1' 제수준별 이동반을 편성하였다. 실험반 학생을 대상으로 5분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5분 테스트를 활용한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이 향상과 수학적 성향의 변화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의 자기 조절학습 능력과 영어 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majoring in the science of nursing and other major)

  • 신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59-396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결과를 가져온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선행연구의 타당성이 다른 대상자에게서도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간호학과 학생과 일반학과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이 영어 성취도도 높은지 알아보고자 2010년 3월 10일부터 2010년 6월 10일까지 교양 영어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어떤 수준인지, 계열 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비슷한 성적의 두 집단을 동일한 조건 하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면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고찰한 결과, 전공 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고 영어 성취도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뚜렷한 목표지향성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 유발이 잘 되어있는 학생의 경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훈련이 잘 되어있고 이는 결국 영어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