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문 분야

검색결과 1,247건 처리시간 0.029초

제어공학의 추이와 기계공업에의 응용

  • 이봉진
    • 기계저널
    • /
    • 제16권4호
    • /
    • pp.4-11
    • /
    • 1976
  • 근년 산업계는 여러 가지의 분야가 서로 영향을 미쳐 이복잡성이 복합된 system내에서 그 합리 화, 고효율화를 위한 탐색이 진행되어가고 있다. 공학의 각 분야들로 각기 진보함에 따라 인접하 는 분야 사이에 경제영역이 생겨 그 인접경계를 다루는 학문의 가속된 발전으로 오늘날의 고도 산업구조를 형성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제어공학이란 학문도 역시 이런 인접된 경계를 다루는 기술공학이라 하겠는데 종래의 공학계학문이 종적인 반면 이 제어공학은 횡적인 경계를 취급하는 소위 매개체적인 학문이라 하겠다. 따라서 제어공학은 인접된 분야와 상호 확산을 하 면서 그 경계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고 하겠다. 제어공학의 역사적 배경이 어떤 것인가를 살 펴 봄으로써 이 분야의 학문을 이해하고 나아가서는 이 학문이 실산업계 특히 기계공업을 중심 으로 보았을 때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장차 이 분야의 전공을 지향하는 학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이 과제를 택해 적어보기로 한 것이다.

  • PDF

연구자의 투고 학술지 현황에 근거한 국내 학문분야 네트워크 분석 (Analyzing the Network of Academic Disciplines with Journal Contributions of Korean Researcher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7-345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연구자의 학술지 논문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학문분야간 학술지 공유도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국내 학문분야의 구조를 나타내는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는 '생물학' 분야를 핵심으로 하는 생명과학 분야가 중앙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문학과 의약학, 공학에 속한 학문끼리는 학문간 연계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가중 네트워크로부터 각 학문분야의 중심성과 학제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엔트로피 공식과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척도를 적용한 결과 전역 중심 학문, 지역 중심 학문, 전역 연계 학문, 기타 일반 학문의 네 가지 유형을 식별할 수 있었다. 가중 네트워크를 이진 네트워크로 변환한 패스파인더 네트워크에서는 다수의 약한 링크가 모인 데이트 허브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가중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 지수인 삼각매개중심성의 측정 범위를 지역에서부터 전역까지 달리하며 측정한 결과로부터 '인지과학'분야와 같은 학제성이 높은 데이트 허브를 식별할 수 있었다.

분야별 연구자들의 국내.외 문헌에 대한 의존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Researchers' Language Preference for Citing Documents in Different Subject Fields)

  • 조현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1-221
    • /
    • 2010
  • 이 연구는 학문분야별 연구자들이 정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참고하는 주요 정보원을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하여 국내 문헌과 국외 문헌에 대한 학문 분야별 선호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의 8개 학문분야 대분류에 따라 분류된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 가운데 선정된 학술지 8종에 대해서 '논문 수', '논문당 인용건수', '논문당 국내 문헌 인용건수', '논문당 국외 문헌 인용건수', '국내-국외 참고문헌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에 있어서 인용하는 국내 외 문헌에 대한 선호도는 평균 인용문헌 수와 비율에 있어서 학문분야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문분야별로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정책과 학문의 연계성 중심으로- (A study on Scientific Paradigm Format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Fire Service Science - Focused on Liaison Between Policy and Study -)

  • 최성룡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62-171
    • /
    • 2008
  • 하나의 학문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 학문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이해하고 공유하는 가치기준(패러다임 : paradigm)이 있어야 하고 어떤 독자적인 학문체계(정체성 : identity)가 정립되려면 관련학회의 학문연구 활동을 통한 경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학문의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므로 정치학, 경제학, 심리학 등 분야에서는 이를 위한 노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방학 분야에 있어서는 학문의 공동연구를 위한 학회의 활동은 물론, 학자 간 학문의 교류 연구가 미미하여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근원을 파악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복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Fusion Complex for Smart Tourism)

  • 이익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10-2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관광분야의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는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 복합에 대한 개념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 복합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관광분야, 디자인 분야, IT 분야, 인문학 분야 등에서 관광 콘텐츠를 위한 융 복합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관광산업의 신활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미래 관광산업이 직면하게 될 스마트환경에서의 관광사업 시스템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환경분야를 위한 공간정보 분석 기술의 동향과 전망 - 지구통계학을 중심으로

  • 박노욱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7-187
    • /
    • 2010
  • 공간자료를 다루는 일반적인 과정은 연구자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료 수집, 자료 구축, 분석 및 결과 도출의 일반적인 과학/공학적 분석 절차와 유사하다. 산업체의 관점에서 볼 때, 1990년대 초기 국가GIS 사업이 시작될때부터 현재까지는 공인된 자료 구축에 많은 주안점을 두어서 기존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자료 가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의 시각화 등의 일반적인 자료 구축 및 도시에 주안점을 두어왔다. 또한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원격탐사 자료와 같이 다중 근원 자료의 이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공간자료의 갱신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자료를 다루는 일련의 과정이 궁극적으로는 특정 분야에서의 의사 결정보조자료의 제공 등을 지향한다고 간주할 때, "from data to information to knowledge"의 중간 혹은 최종 단계의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 기술의 개발 및 적용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공간분석을 별도의 학문분야로 간주하느냐 아니냐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최근 20년간 공간분석은 GIS 및 원격탐사 분야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공간자료를 다루는 많은 응용분야에서 공간자료의 이해와 부가정보의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술 분야로 간주되어 왔다. 공간분석의 여러 응용 분야중에서 환경분야에의 적용 연구는 또한 환경과학이라는 별도의 분야 뿐만 아니라, 기존 학문들인 지리학, 생태학, 지구과학, 사회학, 경제학, 도시 계획 등의 하위분야에서 중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기술 세미나에서는 환경분야에 직간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정보 분석 기술의 동향을 지구통계학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크리깅으로 대표되어온 지구통계학은 적용하는 학문 분야에 따라 보다 넓은 의미를 가지는 공간 통계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학문적/기술적 의미로 살펴보면 공간분석의 특화된 분야로 간주할 수 있다. 1950년대 알려진 광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은둔 광상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기본 개념이 소개된 이후에 수학적으로 이론이 1960년대 정립된 지구통계학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크리깅을 고급 내삽 기법으로만 간주하여 단순 주제도 작성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 세미나에서는 특정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지구통계학의 기본 개념을 우선 소개한 후에, 국내외 학계에서의 환경주제도 제작과 관련된 주요 응용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후에 지구통계학이 적용될 수 있으면서,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이슈가 될 수 있는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내 교통연구 분야의 경향 분석 (A Study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Trends)

  • 정희라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5년도 제28회 학술발표회
    • /
    • pp.3-17
    • /
    • 1995
  • 국내에 교통학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지나 어느정도의 학문적 성숙단계에 올라 있어서 국내 교통분야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성과를 정립할 필요가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 교통연구의 체계적 정리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관련 논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교통연구분야의 연구경향과 추이를 분석하고, 장래의 학문적 연구방향을 고찰하였다. 교통학회지와 토목학회지, 국토도시계획학회지의 3개 학회지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이론적 논문이 증가하고 교수와 연구원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실무자를 위한 실증적 연구분야의 계획 필요성이 요구된다.

  • PDF

정형외과 슬관절 연구의 기계공학적 접근 사례

  • 김철웅
    • 기계저널
    • /
    • 제50권2호
    • /
    • pp.28-35
    • /
    • 2010
  • 최근 학문간의 장벽이 무너지고 융합학문이 큰 이슈가 되면서 다양한 결합이 시도되고 있다. 의학분야중 특히 정형외과 분야는 기계공학의 고체 및 바이오공학과의 융합연구로 매우 매력도가 높은 분야이다. 이 글을 통해 정형외과 분야 중 슬관절 분야가 기계공학도에게 왜 흥미로울 수밖에 없는가에 대해서 몇 가지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과학기술 지식흐름 연계 네트워크 분석

  • 박현우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205-230
    • /
    • 2009
  • 기술지식으로서의 특허가 과학지식으로서의 과학논문을 많이 인용하면 할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상호작용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고, 또한 인용까지의 평균시차가 짧으면 짧을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확산속도가 그만큼 빠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과학논문과 특허를 대상으로 과학집약도가 높은 기술분야, 여러 학문분야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기술분야, 그리고 여러 기술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문분야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특허가 다른 특허에 인용되는 관계를 통해 피인용특허의 기술분야와 인용특허의 산업분야에 대한 연계 매트릭스를 구성함으로써 기술지식이 파급 연계되는 산업분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과학기술 지식의 연계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지, 어떤 기술 분야가 과학적 지식을 가장 역동적으로 활용하는지, 그리고 산업계의 요구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학문분야는 어떤 분야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