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문 분야

Search Result 1,24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제어공학의 추이와 기계공업에의 응용

  • 이봉진
    • Journal of the KSME
    • /
    • v.16 no.4
    • /
    • pp.4-11
    • /
    • 1976
  • 근년 산업계는 여러 가지의 분야가 서로 영향을 미쳐 이복잡성이 복합된 system내에서 그 합리 화, 고효율화를 위한 탐색이 진행되어가고 있다. 공학의 각 분야들로 각기 진보함에 따라 인접하 는 분야 사이에 경제영역이 생겨 그 인접경계를 다루는 학문의 가속된 발전으로 오늘날의 고도 산업구조를 형성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제어공학이란 학문도 역시 이런 인접된 경계를 다루는 기술공학이라 하겠는데 종래의 공학계학문이 종적인 반면 이 제어공학은 횡적인 경계를 취급하는 소위 매개체적인 학문이라 하겠다. 따라서 제어공학은 인접된 분야와 상호 확산을 하 면서 그 경계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고 하겠다. 제어공학의 역사적 배경이 어떤 것인가를 살 펴 봄으로써 이 분야의 학문을 이해하고 나아가서는 이 학문이 실산업계 특히 기계공업을 중심 으로 보았을 때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장차 이 분야의 전공을 지향하는 학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이 과제를 택해 적어보기로 한 것이다.

  • PDF

Analyzing the Network of Academic Disciplines with Journal Contributions of Korean Researchers (연구자의 투고 학술지 현황에 근거한 국내 학문분야 네트워크 분석)

  • Lee, Jae-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4
    • /
    • pp.327-345
    • /
    • 2008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truct a Korean science network from journal contributions data of Korean researchers, and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First of all, the association matrix of 140 scholarly domain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contributions in common journals, and then the Pathfinder network algorithm is applied to those matrix. The resulting network has several hubs such as 'Biology', 'Korean Language & Linguistics', 'Physics', etc. The entropy formula and several centrality measures for the weighted networks are adopted to identify the centralities and interdisciplinarity of each scholarly domain. In particular, the date hubs, which have several weak links, are successively distinguished by local and global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A Comparative Study on Researchers' Language Preference for Citing Documents in Different Subject Fields (분야별 연구자들의 국내.외 문헌에 대한 의존도 비교 분석)

  • Cho, Hyun-Ya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211-22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there is any difference on researchers' language preference for citing documents in different subject fields. 8 scientific journals were selected one of each from 8 main categories, given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ive variables including the rate of citing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for each journals were choose, and the differences on language preference among researchers of different subject fields were checked by implementing ANOVA. As a resul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language preference, in terms of the average number and percentage of foreign documents, among researchers, based on their subject background. It also found that 8 subject categories divided into 4 small clusters.

A study on Scientific Paradigm Format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Fire Service Science - Focused on Liaison Between Policy and Study -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정책과 학문의 연계성 중심으로-)

  • Choi, Seong-Ry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3
    • /
    • pp.162-171
    • /
    • 2008
  • For a field of research to be an independent area of study, there must be a common paradigm that is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a study, several relating scientific communities should actively study and research, which lead to a new paradigm. Effor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found in Politics, Economics, and Psychology. Yet, the field of Fire Service Science have not yield these results which include active scientific communities, scholars and experts who research on the subject and exchange their expertises. New paradigm for the field i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research probes the origins of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 proper scientific paradigm and direction for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Fire Service Science in Korea's ambiance.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Fusion Complex for Smart Tourism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복합에 관한 연구)

  • Lee, Ik-S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10-2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관광분야의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는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 복합에 대한 개념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관광을 위한 학문간 융 복합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관광분야, 디자인 분야, IT 분야, 인문학 분야 등에서 관광 콘텐츠를 위한 융 복합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관광산업의 신활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미래 관광산업이 직면하게 될 스마트환경에서의 관광사업 시스템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환경분야를 위한 공간정보 분석 기술의 동향과 전망 - 지구통계학을 중심으로

  • Park, No-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7-187
    • /
    • 2010
  • 공간자료를 다루는 일반적인 과정은 연구자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료 수집, 자료 구축, 분석 및 결과 도출의 일반적인 과학/공학적 분석 절차와 유사하다. 산업체의 관점에서 볼 때, 1990년대 초기 국가GIS 사업이 시작될때부터 현재까지는 공인된 자료 구축에 많은 주안점을 두어서 기존 아날로그 자료의 디지털화, 자료 가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의 시각화 등의 일반적인 자료 구축 및 도시에 주안점을 두어왔다. 또한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원격탐사 자료와 같이 다중 근원 자료의 이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공간자료의 갱신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자료를 다루는 일련의 과정이 궁극적으로는 특정 분야에서의 의사 결정보조자료의 제공 등을 지향한다고 간주할 때, "from data to information to knowledge"의 중간 혹은 최종 단계의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 기술의 개발 및 적용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공간분석을 별도의 학문분야로 간주하느냐 아니냐의 문제와는 상관없이, 최근 20년간 공간분석은 GIS 및 원격탐사 분야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공간자료를 다루는 많은 응용분야에서 공간자료의 이해와 부가정보의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술 분야로 간주되어 왔다. 공간분석의 여러 응용 분야중에서 환경분야에의 적용 연구는 또한 환경과학이라는 별도의 분야 뿐만 아니라, 기존 학문들인 지리학, 생태학, 지구과학, 사회학, 경제학, 도시 계획 등의 하위분야에서 중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기술 세미나에서는 환경분야에 직간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공간정보 분석 기술의 동향을 지구통계학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크리깅으로 대표되어온 지구통계학은 적용하는 학문 분야에 따라 보다 넓은 의미를 가지는 공간 통계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학문적/기술적 의미로 살펴보면 공간분석의 특화된 분야로 간주할 수 있다. 1950년대 알려진 광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은둔 광상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기본 개념이 소개된 이후에 수학적으로 이론이 1960년대 정립된 지구통계학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크리깅을 고급 내삽 기법으로만 간주하여 단순 주제도 작성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 세미나에서는 특정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지구통계학의 기본 개념을 우선 소개한 후에, 국내외 학계에서의 환경주제도 제작과 관련된 주요 응용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후에 지구통계학이 적용될 수 있으면서,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이슈가 될 수 있는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Trends (국내 교통연구 분야의 경향 분석)

  • 정희라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5.12a
    • /
    • pp.3-17
    • /
    • 1995
  • 국내에 교통학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지나 어느정도의 학문적 성숙단계에 올라 있어서 국내 교통분야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성과를 정립할 필요가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 교통연구의 체계적 정리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관련 논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교통연구분야의 연구경향과 추이를 분석하고, 장래의 학문적 연구방향을 고찰하였다. 교통학회지와 토목학회지, 국토도시계획학회지의 3개 학회지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이론적 논문이 증가하고 교수와 연구원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실무자를 위한 실증적 연구분야의 계획 필요성이 요구된다.

  • PDF

정형외과 슬관절 연구의 기계공학적 접근 사례

  • Kim, Cheol-Ung
    • Journal of the KSME
    • /
    • v.50 no.2
    • /
    • pp.28-35
    • /
    • 2010
  • 최근 학문간의 장벽이 무너지고 융합학문이 큰 이슈가 되면서 다양한 결합이 시도되고 있다. 의학분야중 특히 정형외과 분야는 기계공학의 고체 및 바이오공학과의 융합연구로 매우 매력도가 높은 분야이다. 이 글을 통해 정형외과 분야 중 슬관절 분야가 기계공학도에게 왜 흥미로울 수밖에 없는가에 대해서 몇 가지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과학기술 지식흐름 연계 네트워크 분석

  • Park, Hyeon-U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05-230
    • /
    • 2009
  • 기술지식으로서의 특허가 과학지식으로서의 과학논문을 많이 인용하면 할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상호작용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고, 또한 인용까지의 평균시차가 짧으면 짧을수록 과학지식과 기술지식의 확산속도가 그만큼 빠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과학논문과 특허를 대상으로 과학집약도가 높은 기술분야, 여러 학문분야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기술분야, 그리고 여러 기술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문분야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특허가 다른 특허에 인용되는 관계를 통해 피인용특허의 기술분야와 인용특허의 산업분야에 대한 연계 매트릭스를 구성함으로써 기술지식이 파급 연계되는 산업분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과학기술 지식의 연계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지식이 기술혁신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지, 어떤 기술 분야가 과학적 지식을 가장 역동적으로 활용하는지, 그리고 산업계의 요구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학문분야는 어떤 분야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