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력별 차별출산력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Fertility Differentials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Population Census Data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 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 Lee, Sam-Sik;Kim, Dong-Hoy;Kim, Tai-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1
    • /
    • pp.1-23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차별출산력 분석으로 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초혼연령, 혼인상태 및 가족유형(가구구성)을 포함하구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거주지역, 교육정도, 경제활동상태, 직업 및 주택 점유형태를 포함하였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출산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출산수준은 현저히 낮아졌으며, 배우자와 동거하는 기혼부인의 출생아수가 가장 많았으며, 이혼한 경우 가장 적었다.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3세대 이상 가족이 동거하는 가구의 경우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최근 이혼이 급증하면서 유배우 상태가 빠르게 감소하구 1세대나 독신가구의 증가와 3세대 이상 가구의 감소는 앞으로의 출산수준을 더욱 빠르게 할 것이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차이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시규모가 클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사무직종에 근무할 경우, 그리고 전월세로 거주할 경우에 출산수준이 낮았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1980년에 가장 컸으며, 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더욱이 출산수준이 높은 농촌인구의 급감,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교육간 차이의 감소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기혼여성의 감소 등은 전체적인 출산수준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혼부인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여전히 뚜렷하였으나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출생아수가 많은 집단의 구성비가 빠르게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적인 출산수준의 감소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앞으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가 발표될 때 그 간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와 인구구성비의 변화를 분석하면 대체출산수준에 근접한 1980년 이후 빠른 출산력의 감소원인을 이해하고 출산력의 장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Women's Wage and Childbearing (여성임금과 출산력)

  • Choi, Seul-K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5 no.2
    • /
    • pp.29-53
    • /
    • 2012
  • This research studies how women's hourly wages affect childbearing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The results of discrete time hazard model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hourly wage and fertility is dynamic. Overall relationship looks negative, but they are not consistent across education levels. Women who have a high school diploma or les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childbearing when their wages increase. But women who have some college experience or a college degree are likely to have children when their wages increase. It means that only for highly educated women who are likely to be in high paying decent jobs, the rise of income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reconciling the mother's and worker's roles. Or, for less educated women who are likely to be in the low paying jobs, the rise of income is not large enough to lessen role incompati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