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동기 아동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49초

저소득층 분류에 따른 학동기 아동의 굴절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ractive Power of School Children Who are Classified in Low Income Family)

  • 이완석;예기훈;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3-383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분류에 따른 학동기 아동의 굴절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영천지역 17개 초등학교 저소득층 112명과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6.00 D 이하의 중등도 근시자 중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굴절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저소득층 단계에 따른 시력 분석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국 소득 최하위군 아동의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99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81 D, 전국 소득 최상위군 아동의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26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21 D, 영천지역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85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81 D로 조사되었다. 고아의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2.75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2.42 D, 한부모가정 아동의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2.10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96 D, 두 부모가 모두 있는 가정의 아동 우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75 D, 좌안 등가구면 굴절력은 -1.73 D로 조사되었다. 결론: 학동기 아동의 시력에 대한 관심 부족은 근시유발의 한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시기의 부모와 선생님의 역할은 매우 크다. 그러나 저소득층은 부모의 역할이 제한적이므로 시력관리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저소득층 아동의 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동기 아동의 Impedance Audiometry에 대한 연구 (Impedance Audiometry in Children)

  • 소진명;전승하;장혁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2-4
    • /
    • 1979
  • 1946년 Metz가 Impedance audiometry를 처음 임상에 응응한 이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rooks, Jeger, Cooper 같은 학자들의 발표가 있었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Impedance audiometry의 결과를 보고한 바가 있다. 금번 본 교실에서는 1977년 11월부터 1979년 2월까지 본병원 이비인후과 외래에 비폐색과 난청을 주소로 하여 내원한 7세부터 16세까지의 학동기 아동 100명을 대상으로 검이경 검사와 Impedance Audiometry를 시행하여 Types of tympanogram, Static compliance 및 Acoustic reflex에 대한 연구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학동기 아동에서의 가와사끼병의 임상 특징 (Clinical fetures of kawasaki disease in school-aged children)

  • 박은영;김지혜;김혜순;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92-297
    • /
    • 2007
  • 목 적 : 학동기 아동에서의 가와사끼병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부분 불완전한 양상을 보이므로 진단이 늦어지고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임상 특징을 조사하여 이 연령군에서 가와사끼병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은 7세 이상의 소아 38명을 대상으로 임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중 7세 이상의 환아는 4.9%이었고, 남녀 비는 2.5:1이었고, 연령 분포는 7-12세였다. 76%가 불완전형 가와사끼병으로 이 때에는 발열을 제외하고 경부 림프절 비대가 가장 흔히 나타났고(69%), 다음으로 양측성 결막 충혈(62%), 부정형 발진(45%)의 순이었다. 또한 복통, 두통, 구토 및 관절통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었다. 불완전형 가와사끼병의 초기 진단명은 경부 림프절염이 10명(34%)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바이러스 감염 4명(14%), 성홍열 2명(7%), 뇌수막염 2명(7 %), Kikuchi 병(Kikuchi disease) 2명(7%)의 순이었다. 관상동맥 합병증은 15명(39%)에서 나타났고, 첫번째 IVIG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는 5명(14%)이었으며 이들에서 모두 관상동맥 병변이 발생하였다. 결 론 : 학동기 아동의 가와사끼병은 대부분 불완전형으로, 경부 림프절 비대가 흔하게 나타나며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고 비특이적인 증상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다른 감염성 질환으로 오진되기 쉽다. 따라서,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발열이 지속될 경우 가와사끼병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함으로써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성을 감소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