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폐수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stimation for the effect of untreated effluent on river's water quality (환경기초시설 미처리수 방류에 따른 하천 영향 예측)

  • Hun Kyun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1-491
    • /
    • 2023
  • 환경기초시설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시설이다. 이는 환경기초시설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경우 농도와 양적인 측면에서 부하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면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초래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환경기초시설 중 하폐수처리장은 수계관리에 있어 대표적인 점오염원으로 해당 방류수역의 적절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는 수질기준을 엄격하게 준수함을 넘어 수질기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수의 농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재난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하폐수처리장의 정상운영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방류수역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실제 경주 및 포항지진, 태풍 매미 등 자연재해로 인한 하폐수처리장의 피해가 다수 발생하여 해당 방류수역에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나 과거 피해를 입은 환경기초시설의 경우 시설 자체에 대한 피해정도나 복구상황에 대한 조사 및 후속보고는 있었으나 하페수처리장의 기능상실에 따른 해당 수역의 오염정도나 피해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이는 하폐수처리장의 기능상실이 해당 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함으로 실질적인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 없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어떠한 대처가 필요한지에 대한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폐수처리시설이 여러변수에 의해 피해를 입어 정상적인 가동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여 유입수가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었을 때 방류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였다. 낙동강으로 처리수를 직접 방류하는 달성2차 산업단지 폐수처리장을 대상으로 모의를 진행하였고 모의결과는 하폐수처리장의 미처리수 방류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방류수의 수질상태 보다는 유량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폐수처리장의 기능상실에 따른 피해정도를 가늠함으로 향후 하폐수처리장의 기능상실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대응대책 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과학기술정보-열대어를 이용한 새로운 폐수처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10 s.101
    • /
    • pp.38-40
    • /
    • 1977
  • 일본열대어연구소에 의하면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수나 식품가공공장 등에서 방기되는 폐수를 열대어로 정화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폐수처리방법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널기 사용되어온 물리적, 화학적인 폐수처리방법과는 달리 열대어를 중심으로한 일종의 동식물의 천적이용이란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우기 2차 공해의 염려도 없기 때문에 금후 활성오니법(박테리아가 혜우기물을 섭취함으로써 폐수를 정수로 전환케 하는 폐수처리법)등과 같은 다른 처리방법과 함께 일본 각지로 보급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열대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하여 소개하리고 한다.

  • PDF

생활폐열회수를 위한 열교환기 개발 중심 폐열회수 고효율 난방 시스템

  • 신현준;이태원
    • 월간 기계설비
    • /
    • s.46
    • /
    • pp.65-73
    • /
    • 1994
  • 도시생활폐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폐열을 열펌프의 열원으로 하는 폐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오래전부터 집중되어 있었지만 폐수 열교환기 전열면의 오염문제 때문에 실용화에 커다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생활페수는 비교적 저온이기 때문에 열펌프시스템의 설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이러한 폐열을 회수하여 유효에너지 자원화 하기 위한 신기술이 이루어 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시생활 폐수열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열원으로 하는 열펌프의 개발을 위한 폐수 열교환기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The Application of R/O Membrane System in Municipal Wastewater Reclamation (R/O Membrane system을 이용한 하수처리)

  • 이규현;안준수;유제강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4a
    • /
    • pp.23-26
    • /
    • 1991
  • 산업화, 선진화 및 인구의 급격한 도시집중화 현상 등으로 인하여 생활 및 공업 용수의 사용량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인한 하.폐수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정된 수자원을 가지고 용수 확보를 위한 댐등의 건설도 한계가 있으며, 또한 하.폐수의 방류로 인한 환경오염의 측면도 신중히 다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써 하.폐수 재활용 공정이 이용될수 있으며, 최근 역삼투막 system을 이용한 재활용 공정이 활발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 PDF

Membrane에 의한 도금폐수 중 크롬이온의 분리에 관한 연구

  • 이선주;이효숙;정헌생;김동운;주창업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4a
    • /
    • pp.59-60
    • /
    • 1994
  • 도금공업은 주로 금속,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하는 각종 제품의 표면을 전기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따라 석출된 비철금속질로 피복가공하여 제품의 내식, 장식적 효과 내마모성, 전기특성, 광택성, 열특성등 많은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금산업은 각종 유해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관계로 도금폐수도 역시 많은 유독한 화학약품이 포함되어 있어 엄격한 규제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의 도금폐수처리는 대부분 위탁업자에 의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위탁업자는 웅집침전법에 의한 슬러지화(함수율 80% 이하) 하여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매립물은 침출수를 방출하여 환경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도금폐수 중 유가금속(Zn, Cr, Ni, Cu등)을 membrane을 이용하여 회수하고, 생성되는 물을 도금공정에 다시 투입하므로서 공해가 없는 무공해공정을 설계하는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유가금속 중 Cr을 회수하기 위하여 Cr도금 모델폐수를 이용하여 Cr의 농도, 압력, pH등을 변화시키면서 membrane과 Cr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 PDF

수학적 모델로 이용한 질소$\cdot$인 처리 공정 설계

  • 안세영
    • Environmental engineer
    • /
    • v.18 s.193
    • /
    • pp.28-32
    • /
    • 2002
  • $\cdot$폐수처리시설의 설계에서 컴퓨터 모델링을 사용하는 목적은 처리공정을 최적화 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하$\cdot$폐수처리장을 생물학적 질소$\cdot$인 제거 (이하 BNR) 시설로 개조하거나 신설 BNR 공정을 설계하려면 계획 시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수행해야 하는데, 여러가지 처리공법을 분석하여 처리공정을 선정하고 선정된 공정의 성능과 운영방법, 그리고 시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 PDF

Design of Heat Pump Renewable Energy System Using Wastewater with a Heat Source (폐수열 히트펌프 재생에너지 시스템 설계)

  • Choo, Yeon-Gyu;Kim, Bong-Gi;Kim, Su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787-7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페수열 회수 보일러에서 버려지는 페수열을 재생하여 에너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능제어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폐수유입온도의 변화와 폐수유입량의 변화를 파라미터로 하여 컴프레서의 정속운전 대수와 토출온수온도의 특성곡선을 전문가의 지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폐수열 회수 보일러에 유입되는 폐수부하에 따른 컴프레서의 정속운전 대수를 최소화 하기위해 폐수유입온도와 유입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최적의 정속운전 대수 및 인버터 운전량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지능제어기를 설계하여 페수열 부하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추정하여 최소의 컴프레서 운전대수 및 조작량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