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지형도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ison of Lidar data and NGIS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for an efficient flood configuration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구축을 위한 Lidar자료와 NGIS 수치지형도 자료의 비교)

  • Kwon, Oh-Jun;Kim, Kye-Hyun;Song, Yong-Cheol;Min, Sook-Joo;Kim, Kyung-So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41-146
    • /
    • 2004
  •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홍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알맞은 홍수지도를 제작 중에 있으며, 주로 LiDAR를 이용하여 홍수지도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미 전국적으로 구축된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 지형자료 구축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제작시 가장 핵심이 되는 정확한 지형자료구축을 위해서 Breakline처리기법과 하천종횡단자료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구리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DEM을 시범제작 하였다. 수치지형도와 LiDAR를 이용하여 구축한 DEM을 검수점을 통한 RMSE오차를 이용하여 수직위치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홍수지도제작, 2002)에서 검수점으로 사용한 9점과 제방부분의 실측한 9점을 본 연구의 검수점으로 사용하였다. 비교 결과 RMSE가 수치지형도 DEM의 경우 ${\pm}2.658m$이고, LiDAR DEM의 경우 ${\pm}3.430m$로 나타났다. 두 자료 모두 알려진 오차범위보다 훨씬 높은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홍수지도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서는 수치지형도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할 것이며, 현재 도시지역에만 구축되어 있는 1:1,000 수치지형도를 주변 하천지역까지 확대해서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도입초기단계의 LiDAR 측량기술의 보급과 관련모델의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확도 높은 DEM이 요구된다면 고밀도의 방대한 양의 LiDAR 자료로 DEM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및 이용대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000-2,000{\mu}g\;g^{-1}$), 나머지 177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낸 식물로부터 분리되는 천연활성물질들은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 제공, 상호대립억제 작용성을 갖는 작물 품종 개발 혹은 개량에의 활용, 그리고 친환경 유기농업용 잡초방제에의 활용이 기대된다.내(皮膚上皮組織內)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에 비(比)해 수적(數的)으로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있었다. 그러나 Thy-1 양성(陽性) dendritic cell에서 볼 수 있는 dense-core 과립(顆粒)은 별변화(別變化)없이 쉽게 관찰(觀察)될 수 있었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한 견(犬)의 keratinocyte에 대(對)해 사람 pemphigus vulgari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하천지형 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 Lee, Jungsik;Moon, Changgeon;Kim, Seokdong;Cho, Sunggeun;Shin, Sha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5
    • /
    • pp.59-6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 comparison with simulation results of flood inundation b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For construction of river topograph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1:5,000 topographic DEM, ASTER DEM and SRTM DEM provided by WMS. Also HEC-RAS and HEC-GeoRAS are applied to analyze of inundation depth and area. Flood inundations are simulated by 3 techniques in return period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they have only a littl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at midsized catchment. (2) Flood inundations by ASTER DEM is to estimate larger than the other techniques in flood area (3) In case of SRTM DEM, the application can be expected to make use in the fields because of proper results in flood inundation analysis.

An Extraction of Geometric Characteristics Paramenters of Watershed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하천유역의 형태학적 특성인자의 추출)

  • 안상진;함창학
    • Water for future
    • /
    • v.28 no.2
    • /
    • pp.115-124
    • /
    • 1995
  • A GIS is capable of extracting various hydrological factors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One of important tasks for hydrological analysis is the division of watershed. It can be an essential factor among various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In this study, watershed itself and other geometric factors of watershed are extracted from DEM by using GIS technique. The manual process of tasks to obtain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is automated by using the functions of ARC/INFO software as GIS package. Scanned data was used for this study and it is converted to DEM data. Various forms of representation of spatial data are handled in main module and GRID module of ARC/INFO. GRID module is used on a stream in order to define watershed boundary, so it would be possible to obtain the watersheds. Also, a flow direction, stream networks and orders are generated. The results show that GIS can aid watershed management and research and surveillance. Also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parameters of watershed can be quantified with ease using GIS technique and the hardsome process can be automated.

  • PDF

A Study on the Estimating Basin Characteristics at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에 대한 유역특성 분석)

  • Oh, Yeon-Kun;Kim, Moon-Ju;Kim, Ha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77
    • /
    • 2006
  • 유역특성조사는 지형도와 원격탐사자료 및 확인조사를 기초로 지리정보시스템(GIS)기법 등 최신기법을 도입하여 유역단위의 특성인자를 도출함으로서 이수 및 치수 등 수자원과 관련된 각종 분석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유역특성 자료는 전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전반에 문헌을 통한 개괄적인 인용, 또는 수작업으로 중소하천의 유역특성인자를 파악함으로서, 일관성 및 정확도에 어느정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하천 유역별(소유역별) 유역특성 파악 및 특성인자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전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유역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단위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DEM과 하천망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유역특성 및 하천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 of Channel Networks Resolution to The Behavior of Geomorphology Based-Hydrological Response Function (지형학적기반-수문학적 응답함수의 거동에 대한 하천망 해상도의 영향 평가)

  • Kim, Joo-Cheol;Choi, Yong-Joon;Jeong, Kwan-Sue;Kim, Jae-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74-1178
    • /
    • 2010
  • 확산-유추를 기반으로 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유역의 동역학적 매개변수인 특성유속과 확산계수를 실제수문사상과 수치지형도상의 실제 하천망(Blue line)을 이용해 전역최적화 기법인 Shuffled Complex Evolution(SCE-UA)을 적용하여 산정하여 이를 하천망의 해상도에 따른 유역의 수문응답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동일한 산정된 유속조건하에서 하천망의 해상도가 커짐에 따라 첨두시간과 지체시간은 작아지는 반면 첨두유량은 커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순간단위도의 형상을 결정짓는 유하시간 분포의 분산은 동수역학적 분산에 비해 지형학적 분산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GIUH Model Applied to DEM Resolutions and Threshold Areas (GIUH적용을 위한 DEM 격자크기 및 Threshold Area의 민감도분석)

  • Cho, Hyo-Seob;Jung, Kwan-Sue;Kim, Jae-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799-810
    • /
    • 2003
  • Hydrologic models generally require land surface analysis to different topographic parameters defined as direct or indirect input variables to the model. Specially GIS supply the these parameters from digital data set of land surface The sensitivity analysis to DEM(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and the threshold area are of GIS extracted digital data set applied GIUH(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model is investigated. Also it is compared the responses of GIUH model as input data of stream networks from digital data set(blue line) of NGIS and those extracted from DEM of various grid siz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GIUH model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EM resolution and threshold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DEM grid size is suitable from 25m to 50m. Also threshold area is in the range of 30%∼50% for exceedance probability.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 with Floodplain Vegetation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연구)

  • Lee, Kyungsu;Noh, Joonwoo;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56-360
    • /
    • 2015
  • 기존의 하천관리는 이 치수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하천복원사업을 통해 주변환경을 개선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하천에 분포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생은 지형변화, 유속 및 수위 변화 등 직 간접적으로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흐름에 대한 식생의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수리 수질 통합분석이 가능한 EFDC모형을 이용하여 홍수터 식생에 의한 하천의 수리특성 변화를 모의하였다. 금강수계 공주보~백제보 구간에 대한 수치지도 및 수심측량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3차원 정밀지형도와 30~50 m 간격의 직교곡선격자망을 이용하여 지형을 구축하고, 홍수터 식생에 의한 흐름저항을 반영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통해 작성된 식생분포지도를 토대로 교목류(Tree), 관목류(Shrub), 초본류(Herb), 수체(Water) 4가지로 구분하여 분포밀도, 흉고직경, 교목의 높이를 모형에 적용하였다. 2일 간의 보 운영조건에 따라 상류의 공주보 방류량과 하류의 백제보 수위를 경계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동일기간 61개 관측지점 중에서 상 중 하류 4개의 임의지점에 대하여 유속측정결과와 모의결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홍수터가 완전히 잠겨 식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유량 조건에 대하여 식생의 적용 여부에 따른 수리특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홍수터의 경우 일부구간에서 유속이 감소하였으나 인근 주수로의 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위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f Rainfall-Runoff Variation by Grid Size and Critical Area (격자크기와 임계면적에 따른 홍수유출특성 변화)

  • Ahn, Seung-Seop;Lee, Jeung-Seok;Jung, Do-Joon;Han, Ho-Chul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6 no.4
    • /
    • pp.523-532
    • /
    • 2007
  • This study utilized the 1/25,000 topographic map of the upper area from the Geum-ho watermark located at the middle of Geum-ho river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r the analysis, first, the influence of the size of critical area to the hydro topographic factors was examined changing grid size to $10m{\times}10m,\;30m{\times}30m\;and\;50m{\times}50m$, and the critical area for the formation of a river to $0.01km^2{\sim}0.50km^2$. It is known from the examination result of watershed morphology according to the grid size that the smaller grid size, the better resolution and accuracy. And it is found,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gree of the river according to the minimum critical area for each grid size, that the grid size does not affect on the degree of the river, and the number of rivers with 2nd and higher degree does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 while there is bi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1st degree rivers.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thought that the critical area of $0.15km^2{\sim}0.20km^2$ is appropriate for formation of a river being irrelevant to the grid size in extraction of hydro topographic parameters that are used in the runoff analysis model using topographic maps. Therefore, the GIUH model applied analysis results by use of the river level difference law proposed in this study for the explanation on the outflow response-chang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a critical value of a minimum level difference river, showed that, since an ogival occurrence time and an ogival flow volume are very significant in a flood occurrence in case of not undertow facilities, the researcher could obtain a good result for the forecast of river outflow when considering a convenient application of the model and an easy acquisition of data, so it's judged that this model is proper as an algorism for the decision of a critical value of a river basin.

Study on the Utilizing Methods of Spatial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GIS Contents (신설도로건설 구간의 지형분석에서의 위성영상 적용실험)

  • Yeon Sang-Ho;Kim Joo-Il;Lee Jin-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8-1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정사투영 영상을 제작하고, 지상의 기준점 측량을 GCP를 이용하여 실시하여 경도, 위도 고도의 참조좌표를 정확히 수집하였다. 1:5,000 지형도를 디지타이징하여 만들어진 등고선도를 DEM으로 변환하여 고도별 RGB영상으로 화면에 보여지도록 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제작된 정사투영 영상에 중첩해 봄으로써 제작된 정사투영영상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수치지형도를 대신할 수 있는 3차원 영상지도를 제작하였다. 대상지역의 입체지형분석을 위한 3차원 입체 영상지도를 제작과 더불어 DEM을 이용한 지형의 경사도 분석과 방향분석, 지형표고모델, 다방향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차 국토계획 및 건설분야에서의 지형분석과 각종 구조물의 배치 및 관리, 하천 수계의 분포에 대한 댐 건설 최적지 선정, 도로계획선에 따른 각 방향의 조감도 제작, 토지 피복분류에 의한 토지이용과 지역개발계획 등 지역환경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볼 수 있는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적용실험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