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천네트워크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Low Impact Development Experimental Complex for Hydrological cycle (부산대학교 GI·LID 물순환 실증단지 계획 및 구축)

  • Lee, Jae-Hyuk;Yoon, Eui-Hyeok;Jang, Young-Su;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9-319
    • /
    • 2016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는 약 20% 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circ}C$까지 증가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 물순환체계의 파괴는 도시물관리 여건의 악화로 이어지고 특히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수질 악화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토의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도시의 안전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물관리 정책은 먼저 물을 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체계 확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 관리를 포함한 소규모 분산관리 체계로 변화하여야 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건하고 통합관리쳬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기반의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대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 100대 국정화제에 포함시키는 등(2013.2)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설치 LID기법의 법제적 산업적 도입을 추진중에 있으나, LID 기술의 수자원 치수, 이수 및 환경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효율성 검증 및 인증시스템의 부재, LID 기술의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으로 인한 효과 저감, LID 기술의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지자체 지원 및 전문가 양성 시스템의 부재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GI 및 LID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새로운 도시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확보와 재해경감기술 패러다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기술 신뢰도 향상 및 단일화, 표준화된 효율성 검증 기술 개발과 더 나아가서 도시-건축-수자원-도로-조경 등의 종합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LID기술 통합관리 및 기술 고도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GI LID 물순환 실증단지의 계획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EPA-SWMM (EPA-SWMM 모델을 활용한 관개회귀수량 추정)

  • Ji-Hyeon Shin;Won-Ho Nam;Dong-Hyun Yoon;In-Kyun Jung;Kwang-Y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50
    • /
    • 2023
  • 농업용수는 우리나라 수자원 사용량 중 약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관리목표 중 하나이다. 논으로 공급되는 관개용수는 필지에서의 증발산량 및 침투량과 용배수로를 통한 자연적 및 인위적인 배수량으로 소비된다. 관개회귀수량 (irrigation return flow)은 관개를 통해 농경지에 공급된 수량 중 증발산에 의해 소비되지 않고 침투 또는 배수 등을 통해 하천으로 회귀되는 수량이다. 관개회귀수량 및 회귀율은 농업용수 물순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합리적인 용수의 공급과 수요 관리계획 및 수질 관리계획 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기상, 작물, 토양 등의 물리적 요소와 농업용수 공급량, 물꼬 조절, 담수심 관리 방식 등 인위적 요소의 영향을 동시에 받기 때문에 그 기작이 복잡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합리적인 수자원 개발 계획 및 관리를 위해 정확한 관개회귀수량 추정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4대강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 권역 중심의 9개 대상지구를 선정하였으며, EPA-SWMM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 기반 수로 네트워크 모의를 활용한 수원공 단위 관개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EPA-SWMM 모의 시 공급량은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 저수율 자료와 수원공 단위용수량을 활용하였으며, 모의결과 시점부 공급량 및 배수량과 강수량, 증발산량 및 침투량을 활용하여 신속회귀수량과 지연회귀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최적 농업용수 공급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water supply stability in Yeongsan river basin by water transfer control from Seomjin river basin coupling SWAT and MODSIM (SWAT-MODSIM 모형을 이용한 섬진강 도수유량 변화에 따른 영산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Kim, Sehoon;Lee, Jiwan;Kim, Yongw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1
    • /
    • 2020
  • 국토해양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보고서(2011)에 따르면 영산강 유역(3,371.4 ㎢)의 경우, 연평균 이용 가능한 수자원 총량이 우리나라의 3.9%으로 약 30억㎥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내륙 5대 권역별 중 가장 적은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섬진강 유역(4,896.5 ㎢)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고 있다. 이러한 물 부족은 이상가뭄의 발생 시 제한급수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문 모형인 SWAT과 유역간 물공급 및 분배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섬진강 유역(4,896.5 ㎢)의 도수에 따른 영산강 유역(3,371.4 ㎢)의 물 공급 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하천유역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 모형은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하여 영산강 유역 8개의 중권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모형의 유역별 유입량(공급량) 자료는 SWAT 모형의 소유역별 유출 결과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검·보정은 13년(2005~2017) 동안의 유역 내 1개 수위관측소(마륵 관측소)와 5년 5개월(2012년 8월~2017년 12월) 동안의 2개 보지점(승촌보, 죽산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마륵 수위관측소 유출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는 0.69, 0.79이며, 2개의 보에서는 NSE 및 R2는 0.68~0.70, 0.75~0.83으로 검·보정되었다. 이후 MODSIM 모형을 이용하여 37개년(1981~2017)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고 용수별(생·공·농업용수) 공급량 및 부족량을 정량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 기반 농업유역 물순환 특성 분석)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Kim, Jongg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5-19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 과도한 지하수 이용 등으로 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하천의 건천화, 지표유출량 증가, 증발산량 감소 등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있다. 물순환 과정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모의 요소와 해석 기법도 다르다. 따라서 지속가능하고 건전화된 물순환을 위해 해당 유역의 물순환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용·배수로, 농업용 저수지가 존재하며,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용수 요소별 해석 기술 및 모듈 개발, 모델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농촌수자원의 체계적·과학적 해석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촌용수의 물순환 과정을 정립하였으며, 저수지 시점부·말단부,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 요소로 저수지 수위,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물순환 해석 기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모의 요소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SWMM 모형과 모니터링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청정 수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물관리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GIS based Development of Module and Algorithm for Automatic Catchment Delineation Using Korean Reach File (GIS 기반의 하천망분석도 집수구역 자동 분할을 위한 알고리듬 및 모듈 개발)

  • PARK, Yong-Gil;KIM, Kye-Hyun;YOO,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4
    • /
    • pp.126-138
    • /
    • 2017
  • Recently, the national interest in environment is increasing and for dealing with water environment-related issues swiftly and accurately, the demand to facilitate the analysis of water environment data using a GIS is growing. To meet such growing demands, a spatial network data-based stream network analysis map(Korean Reach File; KRF) supporting spatial analysis of water environment data was developed and is being provided.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delineating catchment areas, which are the basis of supplying spatial data including relevant information frequently required by the users such as establishing remediation measures against water pollution acci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was made.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steps such as designing a delineation method, and developing an algorithm and modules. DEM(Digital Elevation Model) and FDR(Flow Direction) were used as the major data to automatically delineate catchment areas. The algorithm for the delineation of catchment areas was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catchment area grid extraction, boundary point extraction, and boundary line division. Also, an add-in catchment area delineation module, based on ArcGIS from ESRI, was developed in the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and utility of the program. Using the developed program, the catchment areas were delineated and they were compared to the catchment areas currently used by the gover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tchment areas were delineated efficiently using the digital elevation data. Especially, in the regions with clear topographical slopes, they were delineated accurately and swiftly. Although in some regions with flat fields of paddles and downtowns or well-organized drainage facilities, the catchment areas were not segmented accurately, the program definitely reduce the processing time to delineate existing catchment areas. In the futur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current algorithm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higher precision of digital elevation data, and furthermore reducing the calculation time for processing large data volume.

Classification, Analysis on Attributes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포항시 비오톱의 유형 구분, 속성 분석 및 복원 방안)

  • Jung, Song Hie;Kim, Dong Uk;Lim, Bong Soon;Kim, A Reum;Seol, Jaewon;Lee, Chang Se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2 no.3
    • /
    • pp.245-265
    • /
    • 2019
  • Biotope,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need to be identified a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ecosyst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cological urban planning by analyzing types and attributes of the biotop established throughout the whole area of the Pohang city, a representative industrial city in Korea. The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is composed of 12 types including forests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s), agricultural fields (rice paddy and upland field), green facilities, river, reservoir, bare ground, residential area, public facilities,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oads, and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erties according to biotop types,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which represent urban areas, was dominated by introduced vegetation. Moreover the introduced vegetation is usually composed of exotic plants or modified forms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horticulture rather than native plants, which reflects ecological property of both region and site. As the distance from the urban center increases, the agricultural field showed a form of typical farmland, whereas the closer it is, the more form of greenhouse farming. Natural green spaces were divided into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ed along the stream and forest vegetation. Forest vegetation is consisted of secondary forests (seven communities) and plantations (three communities). The urban landscape of Pohang city is dominated by the industrial area. Among them, the steel industry, which occurs large amounts of heat pollution and carbon dioxide,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n the other hand, green space is very insufficient in quantity and inferior in qualit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restoration plans and further, a green network, which ties the existing green spaces and the green space to be restored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in this area.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Suncheon Bay (순천만 수저질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k;Heo, Sung-sil;Choi, Jeong-min;W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10
    • /
    • 2019
  • 순천만은 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여 여수반도와 고흥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지형 형태로 만 전체를 순천만이라고도 하나, 보통 고흥군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의 만을 여자만이라 하고 만내부에 위치한 여자도라는 섬의 위쪽으로 순천시의 해안하구에 형성된 지역을 순천만이라 일컫는다. 순천만은 순천시에서 유입되는 동천과 이사천 및 해룡천의 하류에 형성되어 있어서 육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물과 유기물로 인하여 갯벌과 갈대등이 잘 형성된 습지로서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 갯벌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고, 2006년 1월 국내 연안습지로는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Suncheon Bay"로 등록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 순천만습지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28.0km^2$)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서, 넓은 사니질 갯벌과 갈대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소중한 생태자원으로서, 순천시에서는 순천만을 자연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각종 자연학습자료들과 영상물들을 갖춘 생태전시관과 갈대숲 탐방로, 용산전망대, 야생화 정원, 담수습지, 갈대정자, 갯벌관찰대 등 사계절 생태체험을 위한 각종 시설들을 잘 갖춰놓고 많은 관광객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갯벌은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으로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km^2$에 달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있다. 이러한 갯벌은 퇴적된 입자의 구성에 따라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도 바뀌게 된다. 순천만갯벌과 여기에 조성되어 있는 습지환경에 따라 확인되고 있는 수산자원으로는 새꼬막, 꼬막, 눈알고둥, 갯고둥, 비툴이고둥, 돌조개, 접시조개, 새알조개, 가무락조개, 바지락, 우럭, 가재붙이, 방게, 칠게, 농게 등의 저서 생물들과 짱뚱어, 문절망둑 등의 어류가 있으며, 해조류로 우뭇가사리 등이 있고, 인근의 어민들의 어업형태는 꼬막 등 패류의 채취나 종패를 뿌려 일정기간 양성하여 수확하는 양식업, 육상부에서 폐염전 등을 활용한 전어나 새우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 수산물을 직접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잡는 맨손 어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의 어민들의 생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천만의 습지는 뻘층이 깊고, 분해성 미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여 유기물 분해능력이 뛰어나며, 유기영양분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습지로 평가되고 있으나, 순천시 등 순천만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간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임없는 생태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순천만의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저질 환경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의 70% 이상은 하천이나 강을 통해서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보고(寶庫)라고 알려진 순천만의 지속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유입수계 하천의 수질현황 및 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의 수저질 특성과 여기에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환경 현황 및 오염원을 파악함으로써 순천만의 보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순천만의 수질평가지수에 의한 등급(WQI)은 III등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득량만, 광양만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및 T-N, T-P의 농도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순천만에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와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해룡천 및 연안에 위치한 어촌으로부터 직접 방류되고 있는 일부 정화조 유출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순천만의 갯벌과 습지의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유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순천만 연안의 오염물질 방류를 총량관리로 전환하여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Schemes of Wind Ventilation Forest Types -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 EUM, Jeong-Hee;OH, Jeong-Hak;SON, Jeong-Min;KIM, Kwon;BAEK, Jun-Beom;YI, Chae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12-2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alysis schemes of urban forests acting as wind ventilation corridor(wind ventilation forest). For this purpose, wind corridor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ind-generating forests(WGF), wind-spreading forests (WSF), and wind-connecting forests(WCF),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WGF, WSF and WCF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ensity of forest type map, vegetation index, and ventilation network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wind corridor forests for Daegu Metropolitan City(883.56㎢), the area of WGF was classified as 443.1㎢ and distributed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mong them, the first grade of WGF occupied the largest area(345.59㎢) and the highest rate(54.44%) in Dalseong-gun. On the other hand, WGF was not found in Jung-gu, because this administrative district is isolated from the forest area. WSF was 32.4㎢, which included representative urban park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WSF were found relatively much in Suseong-gu and Dalseong-gun. However, WSF were distributed throughout Metropolitan City, and the vegetation index was not high. The ventilation network that can form WCF included major rivers and roads in Daegu Metropolitan City, but this network was not connected to the urban park from the outer forest.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formation of WCF connecting WGF outside the city and WSF inside the city would be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wind corridor forest project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wind corridor forest analysis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Studies on the Desertification Combating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III) - Revegetation and Soil Conservation Technology in Desertification-affected Sandy Land - (사막화방지(沙漠化防止) 및 방사기술개발(防沙技術開發)에 관한 연구(硏究)(III) - 중국(中國)의 황막사지(荒漠沙地) 녹화기술분석(綠化技術分析) -)

  • Woo, Bo-Myeong;Lee, Kyung-Joon;Choi, Hyung-Tae;Lee, Sang-Ho;Park, Joo-Won;Wang, Lixian;Zhang, Kebin;Sun, Baopi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1
    • /
    • pp.90-104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and to evaluate the revegetation and soil conservation technology in desertification-affected sandy land, resulting from the project of "Studies on the desertification combating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 Main native plants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desertified regions are partially concentrated vegetation distribution types including the a) desert plants in low zone of desert or sanddune of depressed basin, b) salt-resistant plants around saline lakes, c) grouped vegetation with Poplar and Chinese Tamarix of freshwater-lakes, saline-lakes and river-banks, d) gobi vegetation of gravel desert and e) grassland and oasis-woods around the alluvial fan of rivers, etc. Generally, Tamarix ehinensis Lour., Haloxylon ammodendron Bunge., Calligonum spp., Populus euphratica Oliver., Elaeagnus angustifolia L., Ulmus pumila L., Salix spp., Hedysarum spp., Caragana spp.,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Nitraria tangutorum Bobr., Lespedeza bicolor, Alhagi sparsifolia Shap., Capparis spinosa L., Artemisia arenaria DC., etc. are widely distributed in desertified regions. It is necessary for conducting research in the native plants in desertified regions. Analysis of intensive revegetation technology system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 In the wind erosion region, the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s of rational farming systems (regional planning, shelterbelts system, protection system of oasis, establishment of irrigation-channel networks and management technology of enormous farmlands, etc.), rational utilization technology of plant resources (fuelwood, medicinal plants, grazing and grassland management, etc.), utilization technology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ning of watershed, construction of channel and technology of water saving and irrigation, etc.), establishment of sheltetbelts, control of population increase and increased production technology of agricultural forest, fuelwood and feed, etc. are preponderantly being promoted. And in water erosion region, the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s of development of rational utilization technology of land and vegetation, engineering technology and protection technology of crops, etc. are being promoted in priority. And also, the experimental researches on the methods of utilization of water (irrigation, drainage, washing and rice cultivation, etc.), agricultural methods (reclamation of land, agronomy, fertilization, seeding, crop rotation, mixed-cultivation and soil dressing works, etc.) and biological methods (cultivation of salt-resistant crops and green manure and tree plantation, etc.) for improvement of saline soil and alkaline soil in desertified-lands are actively being promoted.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s on the revege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desertified-lands are sincerely being required.

  • PDF

Policy for Establishment of Green Infrastructure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 Park, Jae-Chul;Yang, Hong-Mo;Jang, Byou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5
    • /
    • pp.43-50
    • /
    • 2012
  • The Green Infrastructure Framework refers to an interconnected network formed by greenways that links gardens, parks, green spaces, streams, wetlands, agricultural lands, and green belts. Green infrastructure supports diverse functions to environment, provides various benefits to people, and helps in the community's health and viability. It can store stormwater runoff and abate its non-point source pollutants. Due to its advantages and profits, advanced countries in environment policies have adopted green infrastructur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have focused upon grey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the past, which causes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draught, flood, and landslides, degradation of water and air quality, decline of biodiversity, and even inhibi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it is requested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green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government level. USA and Korean situ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investigated; forty components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drawn. Nine policies utilized in the USA cases were identified, which are applicable to Korea. Among them, five policies can be implemented in public sector and four in private one. The green infrastructure law needed in Korea was suggested. The amendments of laws regarding green infrastructure and alternatives expending it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