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건천화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Watershed priority evaluation for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물순환 관리를 위한 소권역 우선순위평가)

  • Kim, Seokhyeon;Kim, Sinae;Gwak, Jihye;Lee, Hyunji;Kim, Hakkwa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9-499
    • /
    • 2022
  • 급격한 도시화와 이로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유역의 물순환을 왜곡시키고 있다. 직접유출의 증가와 침투량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지하수 함유량의 감소와 하천건천화를 유발한다. 환경부는 더 이상의 물순환 왜곡을 막기위해 물환경보전법상의 물순환율을 정의하고 물순환 관리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제3차 강우유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에서 물순환 사업 추진을 위한 소권역 별 우선순위산정을 과제로써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물순환 사업은 저영향개발기법 설치이다. 저영향 개발기법은 토지 및 공간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고 위치선정에 제약이 많으며 유지관리도 어렵다. 이에 물순환 사업에는 단순 불투수면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위해 불투수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유역 물순환 평가를 위해 PSR framework을 이용하였다. PSR framework는 OECD가 개발한 지속가능성 평가 개념이며, Pressure, State, Response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평가하게된다. PSR framework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활동들이 환경에 압력 (P)를 주고, 이로 인해 자연의 질과 영향 (S)을 미치며, 이에대한 회복을 위해 인식과 행동을 통해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반응 (R)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SR framework의 평가요소 Pressure는 불투수면 및 강우, State는 물순환, 하수관거, 수질, 수생태계, Response는 협력, 인식, 재정, 토지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불투수면적 감축 대상 소권역('30년 무대책 불투수면적률 25% 이상)소권역에 대하여 최종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bust Decision Making Technique Considering Uncertainty of Climatic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 Jun, Sang-Mook;Chung, Eun-Sung;Lee, Sang-Ho;Kim, Yeonj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9
    • /
    • pp.897-907
    • /
    • 2013
  •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worsen the depletion of streamflow in urban watershed. In this study, we therefore considered the treated wastewater (TWW) use as an adaptation strategy and devised a framework to identify prioritized areas for TWW use. An integrated framework that includes hydrological factors as well as social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decision making. Fuzzy theory was employed to consider the uncertainties in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weights of the performance value. All alternatives were evaluated using the fuzzy TOPSIS method. In addition, statistical method and decision making methods under complete uncertainty were used for robust decision making. As a result, ranking the alternatives using the fuzzy TOPSIS method and robust approach such as maximin, maximax, Hurwicz and equal likelihood criterion mitigated the level of uncertainty and ambiguity in each alternativ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prioritiz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projects considering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yongdokensis (한국고유종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 (Pisces: Cobitidae)의 분포현황과 멸종위협 평가)

  • Ko, Myeong-Hun;Han, Mee-Sook;Kweon, Seon-Ma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2 no.1
    • /
    • pp.1-7
    • /
    • 2020
  • Investigations of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yongdokensis were undertaken from 2017 to 2018. Among the 22 streams and 97 sampling sites investigated during the study period, samples of I. yongdokensis were collected from 9 streams at 37 sites (from Daejongcheon Stream of Gyeongju-si to Songcheon Stream of Yeongdeok-gun). The appearance of I. yongdokensis was relatively common in streams such as Hyeongsangang River (15 stations), Yeongdeok Oshipcheon Stream (4 stations), Gokgangcheon Stream (4 stations), Chuksancheon Stream (3 stations) and Daejongcheon Stream (3 stations). The main habitat of I. yongdokensis was in pools on flat-land in streams of clean water with slow velocity, and with pebble, gravel and sand bottoms. Previous records of the appearance of I. yongdokensis, indicate they were first seen at seven stations including Jangsacheon Stream, but they were not present in Songcheon Stream. Compared to our results there is evidence as noted for a 38.9% reduction in occupancy within 3 generations (10.5 years), and a decline inhabitat quality. Therefore, I. yongdokensis is now considered vulnerable (VU A2ace)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The main reasons for the decline were assumed to be dry weathering in the river,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exotic fish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and river refurbishment project.

Assessment for the Possibility of Water-ecosystem Restoration Applying LID Techniques in the Deokjin Park Area, Jeonju City (LID기법을 이용한 전주 덕진공원의 수생태 복원 가능성 평가)

  • Choi, Seung-Hyun;Kim, Seok-Hwi;Kim, Kangj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477-490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storation possibility of the old streams by enhancing the rainwater infiltration in the watershed of Deokjin Park, Jeonju 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odeling groundwater discharge to the streams under various conditions. We assessed the amount and loc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enhancement to restore the streams and evaluated whether the baseflows of the restored streams are sufficient to keep the water ecosystem of the Deokjin P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baseflow of the streams can persist for a longer time even during the dry season when the rainwater drainage system is recovered similarly to the those before development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The enhancements of recharge in the headwater area, which is the area around the zoo and Daeji Village in the Deokjin Park watershed, is useful to increase the baseflows of the downstream reaches. Furthermore, spreaded recharge over a widespread area is better to prevent the streams from drying than the intensive recharge at a few sites.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SWMM model (SWMM 모델 기반 농업유역 물순환 특성 분석)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Kim, Jongg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5-19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 과도한 지하수 이용 등으로 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하천의 건천화, 지표유출량 증가, 증발산량 감소 등 물순환 구조가 왜곡되고 있다. 물순환 과정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모의 요소와 해석 기법도 다르다. 따라서 지속가능하고 건전화된 물순환을 위해 해당 유역의 물순환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용·배수로, 농업용 저수지가 존재하며,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용수 요소별 해석 기술 및 모듈 개발, 모델링 기법 등을 이용하여 농촌수자원의 체계적·과학적 해석 및 관리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촌용수의 물순환 과정을 정립하였으며, 저수지 시점부·말단부,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순환 모의 요소로 저수지 수위,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물순환 해석 기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모의 요소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SWMM 모형과 모니터링을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특성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청정 수자원 확보를 위한 통합 물관리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The Estimation of Sand Dam Storage using a Watershed Hydrologic Model and Reservoir Routing Method (유역 수문모형과 저수지 추적기법을 연계한 샌드댐 저류량 산정)

  • Chung, Il-Moon;Lee, Jeongwoo;Lee, Jeong Eun;Choi, Jung-Rye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541-552
    • /
    • 2018
  • The implementation of drought measures in the upstream areas of river basins is seldom considered with respect to water supply. However, the demand for such measures is increasing rapidly owing to the occurrence of severe droughts, and interventions on streams and the water supply are needed. Physical interventions are an option to prevent streams from becoming dry and to maintain stream water flow, but dam construction is challenging becaus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iderations. Here, a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effects of sand dams, which are widely used in arid regions in Africa. The SWAT-K model, which is a hydrologic model used for Korean watersheds, is used to estimate the flow rate of water in an ungauged watershed. The changes in water storage of the sand-dammed reservoir and in downstream flow rates are estimated for two types of sand dam (natural and dredged). The results show that sand dams are capable of increasing the downstream flow rate during normal conditions and of mitigating water supply problems caused by the withdrawal of water during drought periods.

A study for Hydrological Infiltration Properties of Permeable Pavement (투수성 포장재의 수문학적 침투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ung-Min;Jun, Sang-Mi;Park, Jae-Hyeo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11-1715
    • /
    • 2006
  • 최근 급격한 도시화는 홍수량 증가 및 갈수 시 하천의 건천화 등 유역의 유출특성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인 투수성 포장의 유역 내 수문학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투수성 포장을 이용한 수리모형 실험 및 수치모형(SWMM)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수치모형은 기존 도시유출 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에 투수성 포장의 수문학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모형이며, 수리모형 실험 결과를 토대로 수치모형의 중요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실험에 의해 관측된 지표 및 지하수 유출량과 수치모형에 의해 산출된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수정된 SWMM 모형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강우강도가 65 mm/hr, 90 mm/hr, 95 mm/hr인 강우를 4시간씩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3가지 수리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실험 결과 강우강도는 지표면 유출의 크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하수 유출량은 강우강도 보다는 지하수위 조건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리모형 실험결과 및 수치모형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토양 함수량 및 지하수위 변동 특성은 초기에서 정상상태로 전이되는 부분과 강우 정지 후 감소되는 부분에서 수리모형 실험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하수위는 실험 시 발생하는 공기층의 포집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함수량 변화에 있어서는 수치모형(SWMM)의 모의 결과가 과도하게 감소하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었다. 즉, 유출량의 특성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지하수위 변화 및 토양 내 함수량 변화 예측에 있어서는 그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투수성 포장과 지하수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집적과 분석결과는 현장기술 적용 시 매개변수의 유용한 선택과 도시유역의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적용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blems of Water Use and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North Han River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I) -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Downstream Area (남북공유하천 북한강의 물이용 문제점 및 수리권 추정 (II) -하류유역 수리권 추정)

  • Ahn, Jong-Seo;Lee, Gwang-Man;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4
    • /
    • pp.315-325
    • /
    • 2011
  • There are not many practical measures to solve a water conflict, when a hydromorphologically asymmetric situation in international rivers exists whereby downstream users may not affect upstream users but upstream users do cause downstream impacts. In taking advantage of this merit, North Korea has built Imnam Dam in upstream of North Han River and uses water for trans-basin hydropower generation. As an impact of this dam South Korean' area as a downstream user has been suffered from water deficit and dry river. It is very critical for South Korea to solve a key problem such as water allocation for water supply and river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is aim to suggest alternatives for equitable water allocation in consideration of special circumstanc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For this, reviewing the allocation methods of water rights is carried using lessons obtained from international river ca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inimum desired streamflow is calculated at 7.3 $m^3/sec$; water budget analysis by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streamflows at the border line of the North Han River, the difference in water supply deficiency is at 3.7 $m^3/sec$ before and after Imnam Dam; in the determined distribution method, the difference in water deficiency is at 11.38 $m^3/sec$. These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 should be secured 11.38 $m^3/sec$ from North Korean's Imnam Dam in respective of water use right and sound river maintenance.

Baseflow Separation from Complex Hydrograph using Eckhart Filter (Eckhart filter를 이용한 복합수문곡선에서의 기저유출분리)

  • Kang, Boo-Sik;M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92-1295
    • /
    • 2009
  • 일반적으로 유역의 기저유출 산정에는 적용의 간편성을 이유로 수평직선분리법, N-day법등을 주로 사용해 왔으며 이를 단기호우사상에 대한 모의에 적용해 왔다. 그러나 수평직선분리법이나 N-day에의한 기저유량의 산출은 연구자의 주관성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하며 총 유출에 대한 기저 유출의 기여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장기유출모의에 이용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분석을 수행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Digital Filtering' 방법이 수문곡선 분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Eckhardt 필터는 출력의 신호대 잡음비가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사용하는 최적선형필터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BFImax 변수 값을 이용하여 수문분석 시 대수층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BFImax 변수 값에 따라서 분리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값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정확한 수문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대상 유역 내 대수층의 특성에 가장 부합되는 BFImax 변수 값을 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수곡선 분석방법과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BFImax 변수 값을 결정해 주는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금강유역의 수문곡선분리를 위해 먼저 금강 유역 내 관측소의 강우 및 수위 일 자료를 수집하고 수위자료는 동향, 옥천, 천천, 청성, 호탄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관측단위는 일 단위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수문곡선에 대한 검증은 지하수관측이나 중간유출에 대한 관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량적인 검증은 쉽지 않은 상황이고 수문곡선에 대한 시각적 판단에 의지하고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기저유출분리가 가능해진다면 하천 건천화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및 지표수 영향에 대한 보다 신뢰도 있는 전망이 가능해지므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라 판단된다.

  • PDF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전주지역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 Oh, Choong-Hyeon;Choi, Il-Ki;Lee, Eun-Heui;Lim, Dong-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1
    • /
    • pp.37-4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database for bioto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Jeonju region in North Cheolla Province. To accomplish this task,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region. From May to June 2008, the flora and lists of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se data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as follows: a total of 113 families and 54 species were found in the flora.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m amounted to 19 families and 54 species.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most high in the biotope type of rural dried stream(36.4%). The biotype that showed the lowest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oniferous natural forest type, which had no naturalized plants in it. The average naturalization ration of the Jeonju region turned out to be 18.9%,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ther mid-size citi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