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중-변위선도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5초

비선형 대변형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열가소성 고무부품의 밀봉성능 예측 (Sealing Performance Prediction of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using Non-linear Large Deformation F.E.M.)

  • 박선;이신영;강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669-673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and evaluate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thermoplastic rubber component in the proto-design stage. The large strain and large deformation properties of rubber are modeled by strain energy function and the related material constants are calculated from the test data. The viscoelastic property of the rubber is also considered using the coefficients in a Prony series representation of a viscoelastic modulus ken the compression stress relaxation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design of cap mount system has 2-different stiffness caused by the cap-mount contact and the viscoelastic property of rubb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ime dependent deformation.

  • PDF

SA508-3재의 제하컴플라이언스법과 하중비해석을 이용한 파괴저항곡선 평가 (J-R Curve Characterization by Load Ratio Analysis and Unloading Compliance Method for SA508 C-3 steel)

  • 임만배;차귀준;윤한기;안원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5-75
    • /
    • 1998
  • The fracture resistance curve is one of most important and design techniques employed in nuclear pressure vessel structure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J-R curve characteristics for the SA508C-3 by the unloading compliance method and load rato analysis. The effect of strain aging for the exponential correlation of the J-R curve in this metal a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20$0^{\circ}C$ and 30$0^{\circ}C$. The load ratio analysis method can evaluate the J-R curve by using the simple tension load-displacement curve only without the repeat of the unloading and loading. Therefore, the analysis by the proposed load ratio method has a merit, in comparison with the unloading compliance method, which can measure the crack length without the precision measurement equipment.

  • PDF

LWD를 활용한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의 정상 표면처짐 범위 연구 (A Study on Normal Range of Surface Deflection for Epoxy Asphalt Pavement using Light Weight Deflectormeter)

  • 박기선;김경남;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29-236
    • /
    • 2015
  • 본 연구는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 내부 상태 평가를 위해 이동 차량하중 모사가 가능한 회복탄성계수 실험과 LWD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복탄성계수 실험에서 측정된 변위는 일반 아스팔트와 달리 잔류변형이 매우 미소한 수준으로 탄성변형과 유사한 거동을 보여 정상 상태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성계수에서 측정된 변위 결과를 처짐 탄성계수로 변환 후 1 SIGMA 단계를 적용하여 정상 처짐 탄성계수 범위를 산정하였다. $60^{\circ}C$에서의 파손 의심 처짐 범위와 하중-변위 선도 개형으로 포장 내부 상태를 예측하였다. 정상 표면처짐 구간인 $140{\mu}m$의 일부 구간에서 수분 침투 및 접착성능 저하가 관찰되었으나, 하중-변위 선도 개형에서 변곡점 발생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현장 확인 결과 제시된 기준은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3차원 내공변위의 해석을 통한 막장전방 지반상태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 in Ground Condition Ahead of Tunnel Face Using Three-dimensional Convergence Analysis)

  • 김기선;김영섭;유광호;박연준;이대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6호
    • /
    • pp.476-48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막장전방에 파쇄대가 존재할 때 터널 3차원 내공변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석하여 변위의 변화 경향을 밝히고 지질변화를 예측하는 계측해석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안정된 지하 암반에 터널을 굴착하게 되면, 터널 막장면을 포함한 무지보 굴착면 주위에 3차원적인 하중전이 현상이 나타나는데 막장 전방의 지반 상태가 변화하거나 연약 파쇠대층이 존재하면 특정한 변위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기존 연구결과 알려져 있다. 터널 천단부 축방향 변위/수직변위 비 등으로부터 터널 막장 전방에서 지반의 강성이 변화하는 불연속면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공중인 터널 내에서 3차원 절대 내공 변위를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계측해석 기법을 적용하면 터널 막장 전방의 지층변화나 파쇄대층의 존재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층경사각에 의한 횡변위를 고려한 비정형 고층건물의 횡변위 평가/보정 (Evaluation and Adjustment of Lateral Displacement of Complex-shaped RC Tall Buildings Considering the Displacement by Tilt Angle of Each Floor)

  • 김윤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551-558
    • /
    • 2015
  • 비정형 고층건물의 경우 편심중력하중에 의해 횡변위가 발생한다. 일반해석은 완공시점에 건물 조건을 기준으로 모든 하중을 고려하기 때문에, 시공중 부재 수직도 확보를 통해 각 단계별 보정량을 반영할 수 없어 골조자중에 의한 횡변위를 과대평가한다. 시공단계해석은 통상적인 시공과정에서 각 층마다 바닥평활도 및 기둥/벽체 수직도를 확보하는 것을 고려하여 타설이전에 발생하는 변형각을 보정하기 때문에 일반해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계측을 통해 타설시점의 좌표를 설계좌표점으로 시공할 경우 각 시공단계에서 추가적인 횡변위보정(원점보정)이 가능하다. 횡변위는 고층부로 갈수록 급격히 증가하므로, 이러한 사전해석을 통해 합리적인 보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보정에도 횡변위 관리기준를 초과하는 경우는 선보정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때 사전해석의 불확실성 측면을 고려하여 선보정량을 결정하고, 실제 건물거동의 모니터링을 통해 선보정계획을 지속적으로 수정하여 건물수직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컴팩트 인장 시편을 이용한 연성 재료의 불안정 균열 성장에 관한 연구 (Crack Growth Instability for Ductile Material Using the Compact Tension Specimen)

  • 이홍서;김희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928-93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Shih등이 제안한 찢어짐 계수인 T$_{\delta}$의 불안정 파괴 매개 변수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컴팩트 인장 시편(compact tension specimen dlgk CTS로 칭함)을 사용하여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시험기에 스프링을 부착하여 시편에 불안정 파괴 실험을 수행한다. 재료의 불안정성을 판정하는 찢어짐 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CTOD-정항 곡선을 결정해야 한다. CTOD는 하중선 변위를 측정하여 CTOD- 하중선 변위 관계식으로 평가한다.한다.

SA106 Gr.C 모재와 용접재의 파괴인성에 미치는 온도와 하중속도의 영향

  • 김진원;박치용;김범년;김인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324-329
    • /
    • 1998
  • 본 연구는 주증기배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SA106. Gr.C의 모재와 용접계에 대해서 파괴인성에 미치는 온도와 하중속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양한 온도와 하중속도에서 J-R 시험 및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두 재료 모두 동적변형시효의 영향을 받고 있는 온도영역에서 약 40% 정도의 파괴인성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하중속도에 따른 파괴인성 감소영역은 serration과 인장강도 증가 영역의 하중속도 의존성과 일치하였다. 원자력발전소 운전온도에서 모재와 용접재 모두 하중선변위속도가 4.0mm/min 일 때 파괴인성치의 최저를 보였으며, 하중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동적하중속도(800, 40mm/min)일 때 최대를 보였다. 모재와 용접재를 비교하면 용접재에서 serration이 뚜렸했고, 보다 넓은 온도영역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인장강도의 증가가 보다 고온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용접재가 모재에 비해 냉각률이 크고 미세한 결정입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망간의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형상기억합금 선 작동기를 삽입한 복합적층 보의 좌굴 및 좌굴후 제어 (Buckling and Postbuckling Control of a Composite Beam with Embedded SMA Wire Actuators)

  • 최섭;이정주;서대철;최선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45-5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형상기억합금 선을 편심하게 삽입한 복합적층 보의 좌굴 및 좌굴후 제어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임계좌굴하중을 향상하기 위하여 형상회복모멘트의 특성을 활용하였다. 좌굴제어의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페루프 제어를 사용하여 좌굴후 제어의 거동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좌굴제어 실험을 통하여, 임계좌굴하중을 증가시키고 좌굴모드가 반대방향으로 변화하는 거동을 보의 세장비 및 기하학적 초기결함, 형상기억합금 선의 삽입 위치 등을 고려하여 하중-변위의 결과로부터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적당한 형상회복모멘토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형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외부하중을 받는 보의 좌굴후 제어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 PDF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이용한 앵커형 네일의 적용성 검토 (Investigations of Application of Anchor Type Nail Using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 김동건;정길수;조광준;유남재;엄재경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19-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지반 내 보강재를 삽입하여 원지반 전체의 전단강도와 활동저항력을 증가시켜주는 네일링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PC강연선을 결합한 앵커형 네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앵커형 네일의 거동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보강, 네일링, 앵커형 네일 각각에 대하여 실내모형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하중-변위, 벽체변위 등을 분석하였다. 실내모형실험결과 프리텐션을 가한 앵커형 네일의 경우 일반네일과 비교할 때 하중증가에 따른 수평변위량이 크게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벽체상부의 변위 억제력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치해석결과도 실내모형실험과 유사한 해석결과를 나타내었다.

풍화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하중전이기구 (Load Transfer Mechanism of Drilled Shafts in Weathered Rock)

  • 권오성;조성민;정성준;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87-196
    • /
    • 2005
  • 풍화 및 절리가 발달한 암반에 근입된 말뚝의 허용지지력 결정에는 침하량이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며, 설계단계에서 말뚝두부의 침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하중전이기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화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하중전이기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직경 1m의 총 5본의 현장 타설말뚝을 풍화된 편마암 부지에 시공하구 재하시험 및 하중전이 계측을 수행하여 말뚝의 축방향 지지거동을 분석하였다. 암반상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재하시험 부지의 암반에 대한 엄밀한 현장/실내시험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암반상태가 말뚝의 하중전이기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중전이 계측을 통해 얻은 주면하중전이 (f-w) 곡선은 풍화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MW) 연암의 경우, 수 mm의 변위에서 항복에 도달하며, 이후 변위에 따른 지지하중의 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풍화암/풍화토에 근입된 말뚝의 f-w 곡선은 뚜렷한 항복점을 보이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큰(>15m) 변위까지 주면하중이 쌍곡선 형태로 증가하였다. 선단하중전이(q-w) 곡선은 암반상태에 관계없이 선단변위 (q-w)까지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