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중측정

검색결과 1,511건 처리시간 0.052초

풍력발전기 하중 측정을 위한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Analysis Program for the Load Measurement of Wind Turbines)

  • 길계환;전형원;윤영덕;김희섭;정진화;한경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706-710
    • /
    • 2005
  • 포항공과대학교의 포항풍력에너지연구센터(PoWER Center)가 개발에 참여했던 750 kW급 직접구동형 국산화 풍력발전 시스템(KBP-750D)은 그 개발이 완료 단계에 이르러 설치를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 KBP-750D의 상용화를 추진하기 위한 출력성능 및 하중 측정을 통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EC 61400-13의 규격을 기준으로 수행되는 하중 측정은 수개월간 지속되는 측정을 통한 방대한 하중 데이터 수집 과정과 데이터 검증, 데이터 분류, 시계열 해석, 하중 통계 해석, 주파수 분석, 하중 스펙트럼 해석과 등가하중 해석의 측정 데이터 처리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중 측정 데이터를 처리 해석함에 있어서 성력화를 도모하고 정확하면서도 객관적인 성능평가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하중 측정에 대한 전용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하중 측정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해석 과정을 소개하고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및 수행 결과를 보고한다.

  • PDF

IP Colum 특허기술 평가결과 활용사례 - 하중측정장치의 지각변동 예약한 NGWS - 기술가치평가 결과가 NGWS 완성의 중요한 토대

  • 한국발명진흥회
    • 발명특허
    • /
    • 제34권7호
    • /
    • pp.38-42
    • /
    • 2009
  • (주)인벤티오는 신개념 하중측정 기술인 NGWS(Next Generation's Weighing Sensor)를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 하중센서인 로드셀(Load Cell)과 마그네틱밸런스용 하중센서(Magnetic Balance)의 장점을 두루갖춰 현재 측정 곤란한 고하중, 고정밀 분야의 측정을 가능케 하는 등 기존 하중센서 시장을 재편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주)인벤티오는 이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기술가치평가를 받았으며, 중소기업청에서 추진하는 2007년 신기술아이디어 사업으로 채택되어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 받았다.

  • PDF

KBP-750D의 출력 성능 및 하중 측정을 위한 계측장치의 구성 (Construction of measuring equipment for the power performance and load measurement of KBP-750D)

  • 전형원;길계환;박인수;김영찬;정진화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2-314
    • /
    • 2006
  • 포항공과대학교의 포항풍력에너지연구소(PoWER Center)가 개발에 참여했던 750kW급 직접구동형 국산화 풍력발전시스템(KBP-750D)은 그 개발이 완료되어 2005년 말경 대관령의 풍력실증단지에 설치되었고 현재는 시험운전이 수행되고 있다. KBP-750D의 상용화를 위하여 출력성능 및 하중측정을 통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KBP-750D에 대한 출력성능 및 하중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측장치가 설치되어 시험 측정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풍력발전시스템에 설치된 계측장치의 구성 및 설치 결과를 상세히 보고한다.

  • PDF

도로교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입력하중 측정을 위한 FBG 기반 하중 측정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BG-Base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Highway Bridge)

  • 이규완;한종욱;김철영;박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469-475
    • /
    • 2019
  • 구조물의 장기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교량 장기계측시스템이 도입되어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교량 장기계측시스템은 응답만 측정하고 입력하중은 측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추세분석에 의한 관리기준 상회여부만을 판단하고 있어 정량적인 구조계의 상태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도로교 입력하중 측정을 위한 FBG 기반 입력하중 측정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실내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750 kW급 직결형 국산화 풍력발전시스템의 기계적 보정 (Mechanical Calibration of 750 kW Gearless Type Wind Turbine(KBP-750D))

  • 길계환;최효진;김영찬;정진화;조주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7-340
    • /
    • 2008
  • 포항공과대학교의 포항풍력에너지연구소(PoWER Center)가 개발에 참여했던 750 kW급 직결형 국산화 풍력발전 시스템의 상용화를 추진하기 위한 출력성능 및 하중 측정을 통한 실증연구가 대관령의 풍력실증단지에서 수행되었다. IEC 61400-13의 규격을 기준으로 수행된 하중 측정의 일환으로 스트레인 게이지의 기계적 하중에 대한 외부 하중부가에 의한 기계적 보정이 추진되었다. 기계적 보정의 수행 중 일부스트레인 게이지가 단락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비교보정을 통하여 기계적 보정작업을 완수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하중부가에 의한 기계적 하중의 보정절차를 소개하고, 수행된 기계적 보정시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기계적 보정의 결과를 보고한다.

  • PDF

수미크론 두께를 갖는 TiN코팅층의 미소경도 측정법 (Microhardness measurement for a few micron thick TiN thin films)

  • 조영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0-315
    • /
    • 1995
  • 기계적으로 연마한 고속도강과 구리 두 종류의 서로 다른 기판상에 dc 마그네트론 스파터법으로 TiN 박막을 성막시켜 코팅층의 비커스 미소경도를 측정하였다. 압입체의 침투깊이와 시험하중과의 관계를 log-log 좌표상에 도시함으로써 기판의 영햐응ㄹ 받지 않고 코팅층만의 경도를 측정할수 있는 최대하중인 임계하중(critical load)을 구할수 있었다. 임계하중을 가했을 때 압입체의 침투깊이와 코팅층 두께간의 비율은 코팅층의 두께에 무관하였고 기판의 경도에 크게 의존하였다.

  • PDF

변형률 게이지 측정원리를 이용한 충격 하중 센서의 개발 및 암석의 동적 압열 인장 실험에 적용 (Development of the Strain Measurement-based Impact Force Sensor and Its Application to the Dynamic Brazilian Tension Test of the Rock)

  • 민경조;오세욱;;전석원;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35권3호
    • /
    • pp.15-20
    • /
    • 2017
  • 발파 하중에 대한 암석의 동적 응답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내충격 고감도의 충격하중센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충격 하중 센서는 석영(quartz) 하중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변형률 게이지를 적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석영 및 압전소자의 경우 고가이기 때문에, 충격하중가압시험과 같이 압력 센서의 손상이 빈번한 경우에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압축셀에 변형률 게이지 측정원리를 적용한 내충격 고감도 하중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중 센서는 Nonex Rock Cracker (NRC) 구동 고속충격 하중 장치를 이용한 화강암 동적 압열 인장 실험에 적용하여 동적하중이력의 측정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NRC 구동 고속충격하중장치는 암석 강도의 중간 변형률 속도 의존성 연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콘크리트 교량의 고정하중 응력에 관한 실험적 측정방법 (An Experimenta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Dead Load Stress in Existing Concrete Bridges)

  • 박대성;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A호
    • /
    • pp.701-706
    • /
    • 2006
  • 이 논문은 콘크리트 교량의 내하력 평가에서 고정하중이 차지하는 응력을 현장측정 기법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론적인 구조계산에만 의존하고 있는 고정하중에 대한 응력평가는 열화된 교량의 실제응력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한 방법으로 부분절단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은 외부의 추가적인 하중재하없이 순수 고정하중에 의해 유발된 부재응력을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부분절단법의 적용은 기존의 이론적인 구조계산방법을 보완하고 보다 실질적인 고정하중 응력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현장 측정 방법의 적용성은 기존평가방법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피로하중에 의한 포천화강암의 미세균열 발달특성 (Microcrack Development in the Pocheon Granite due to Cyclic Loading)

  • 장보안;김영화;김재동;이찬구
    • 지질공학
    • /
    • 제8권3호
    • /
    • pp.275-284
    • /
    • 1998
  • 포천 화강암에 피로하중을 가할 때 암석의 변형 거동과 피로하중에 의해서 생성되는 미세균열의 발달특성을 초음파 속도측정 및 차분변형율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미세균열은 피로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하게 생성되며, 피로하중이 가해지는 초기에는 기존의 미세균열이 전파되면서 생성된다. 새로운 미세균열은 피로파괴횟수의 약 1/8-l/6 이상의 지난 후 생성되기 시작한다. 초음파 속도 측정, 차분변형율 분석 및 영구변형 측정은 암석내의 미세균열 발달을 잘 지시한다. 그러나 각 방법에 의하여 규명된 미세균열의 발달상태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 미세균열의 발달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를 종합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80% 피로하중 수준에서 초기에 발달하는 미세균열은 70% 하중수준에 비하여 2배 정도로 높아서 하중수준이 커질수록 초기에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량은 많아질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파괴 직전의 시료에 발달한 미세균열의 량은 암석 부피의 약 0.3% 정도로, 포천화강암의 경우 부피의 0.3% 정도의 미세균열이 발달하면 암석이 파괴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달경로 해석 사례 (Transfer Path Analysis)

  • 이상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49
    • /
    • 2010
  • 전달 경로 해석 기법은 NVH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소음원 X 전달 경로= 응답 모델을 사용한 접근방식입니다. 수음(응답)점에서 문제의 진동 및 소음 응답을 고체 및 공기 음원이 응답에 미치는 기여도 또는 개별 경로, 모드, 판넬 기여도의 합으로 세분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문제 해결 및 대책 방안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며, NVH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건물에 설치되는 설비의 작동 시 고체 음원 평가 및 철도 소음의 공기음과 구조음 기여도 평가를 위해 적용된 전달 경로 해석 기법 사례를 소개할 것입니다. 설비 작동시의 전달 경로 해석 기법에 의해 평가된 고체 음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bullet$ 직접 측정된 하중 데이터와 역행렬 기법에 의해 예측된 하중 비교 및 $\bullet$ 가진 햄머로 가진시의 가진력과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사용하여 역행렬 기법으로 계산된 하중의 비교를 수행하였습니다. 철도 소음의 공기음 및 고체음 기여도 평가를 위해서는 $\bullet$ 열차 주행중 철로에서 측정된 가속도를 사용하여 철로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역행렬 기법으로 계산하였으며 $\bullet$ 철로 주변에서 거리별 측정된 소음중, 고체음의 기여도 파악을 위해서, 전달 경로 해석기법으로 예측된 고체음과 측정된 소음을 비교하였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