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자사례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공동주택 하자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Defects of Apartment Building by Keyword Network Analysis)

  • 장호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03-410
    • /
    • 2017
  • 국내의 공동주택은 1980년대 후반에 시행된 주택공급정책으로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물량적 보급에만 치중하고 품질관리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여 다양하고 많은 하자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다양하고 많은 하자 발생에 따른 분쟁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 하자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오랜 기간 축적된 공동주택 하자 관련 연구 분야의 주요 키워드 및 트렌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포털을 활용하여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학술논문의 필터링 및 키워드 정제과정을 거쳐 분석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키워드 네트워크 관계에 대한 시각화 모델링,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매개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정도 및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 담보, 논쟁, 수리, 사례, 책임, 결로, 비용, 제도, 기준, 감정이 공동주택 하자 분야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풍수재 보험 현황 및 향후 개발 방향

  • 한석희
    • 방재와보험
    • /
    • 통권107호
    • /
    • pp.16-20
    • /
    • 2005
  • 풍수해 사고의 경우 보험사의 위험 분산이 곤란해 심한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으며 자율적인 손해율 관리가 어려워 개선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국내 풍수재 관련 보험상품 및 외국의 풍수재 보험 운영사례를 통해 향후 지향해야 할 운영방안을 모색해보도록 하자.

  • PDF

ISO/IEC 9241.10 표준에 기초한 소프트웨어 완성도-하자 감정 기법 연구 (Software Completeness Evaluation based on ISO/IEC9241.10)

  • 김도완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6
    • /
    • 2019
  • 한국저작권위원회에 의뢰된 소프트웨어 저작물 감정 대상 중 25% 이상은 소프트웨어 완성도-하자 감정이다. 기존 소프트웨어 완성도-하자 감정 사례의 대부분은 해당 소프트웨어의 기능성에 국한하여 계약서에 포함된 또는 고객이 원하는 요구사항들이 구현되어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완성도 정의에 부합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완성도-하자 감정 기법을 제안한다. ISO/IEC 9241.10 표준은 소프트웨어 품질 제고를 위한 설계표준이라 할 수 있다. ISO/IEC 9241.10 표준은 준수되어야 하는 7개 항목을 규정하고 있으며, 작업을 위한 기능상의 완전성과 작업 능률 효율화를 위한 사용상의 완전성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소프트웨어 완성도-하자 감정 방법론은 소프트웨어의 질적 품질에 대한 완성도 감정으로 기존 기능구현-작동 여부 감정 방법론은 보완하고 있다.

목재 조경시설물의 목재 종류별 하자분석 - 휴게시설물 목재기둥의 균열하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efects in Wooden Landscap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imber - Focused on the Defects in Pillars of Out Door Rest Furniture -)

  • 박원규;신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81-90
    • /
    • 2012
  •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안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조경시설물에 환경 재료의 하나인 목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미송을 사용한 목재 조경시설물은 틀어짐, 균열 등의 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수입목재인 활엽수재(hardwood)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나 수입 목재는 고가이며, 실제 하자 발생이 미송에 비해 얼마나 저감되는지에 대한 정보나 실태조사 없이 사용되고 있어, 시공자에게 목재 수종별 특성과 품질 하자 발생 정도에 대한 정보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재 조경시설물에 사용되는 미송, 부켈라, 니아토, 말라스 목재 4종류를 대상으로 목재의 균열 하자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시공자로 하여금 적절하게 목재를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게시설물 목재기둥의 목재 표면적 당 균열 하자는 미송 1.90개소/$m^2$, 말라스 0.83개소/$m^2$, 부켈라 0.14개소/$m^2$, 니아토 0.04개소/$m^2$로 조사되어 니아토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재 종류별 강도와 하자율 비교를 보면 목재의 강도는 말라스가 우수하였으나, 하자율은 니아토가 더 적게 발생한 것으로 보아 목재 강도가 높은 것이 하자가 적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목재 종류별 단가와 하자율 비교를 보면 미송이 가장 저렴하고 부켈라가 가장 고가로 조사되었으며, 하자처리 비용을 감안할 때 하자가 적게 발생하는 니아토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목재 조경시설물 설치 시 시공자로 하여금 적절한 목재를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조경시설물의 품질 향상과 하자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ottom up 기반의 ITA 구축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ITA Construction based on bottom-up method)

  • 김선욱;박진수;이인숙;김성렬;김영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400-402
    • /
    • 2003
  • ITA 구축을 위한 접근방식 중 Bottom-up방식의 접근인 IT자산관리 측면에서의 ITA 구축에 관한 실제 사례를 알아보고, 또한 IT자산관리 측면에서의 ITA 접근시 추진 고려사항으로 IT자원관리 프레임워크 선 정립, 데이터 현행화 방안 마련, 활용분야 사전 도출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PDF

환경개선사례-타워크레인의 설치.해체 작업 안전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환경기술인
    • /
    • 제25권통권261호
    • /
    • pp.26-30
    • /
    • 2008
  • 최근, 뉴스 등에서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로 인한 사망사고를 심심치 않게 듣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은 건축공사 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설비임에 틀림없다. 타워크레인을 많이 설치하고 또 많이 사용하는 만큼 안전이 무엇보디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번 호에는 타워크레인이 어떻게 설치되고 또 어떻게 해야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 PDF

하자예방정보 넥서스 기반 건축마감공사 품질점검 지원 모델 (Nexus based Quality Inspection Support Model for Defect Prevention of Architectural Finishing Works)

  • 이혜린;조동현;박상헌;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59-67
    • /
    • 2017
  • 공사 완료 시점에는 다양한 마감 공정들이 집중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현장관리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켜 경험에 근거한 임기응변적 품질관리 업무수행을 강제함으로써 감독자나 작업자의 개인역량에 따라 공사품질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품질관리와 관련된 정보가 시방서, 도면 등 다양한 유형의 문서에 산재하여 점검사항이 누락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하자예방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상호참조 가능한 상태로 연계하여 실무자에게 점검업무 전 또는 수행 중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품질점검 대상 액티비티 또는 실 단위로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검색이 가능한 품질점검 지원 모델을 제안한다. 시방서, 설계기준, 체크리스트, 법규, 하자사례, 도면을 마감공사 프로세스 및 실과 연계하여 하자예방 정보베이스와 정보연계 넥서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등록 및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내용적으로 다양한 하자예방 정보들을 마감공사 액티비티 및 실을 중심으로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틀을 제시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시공품질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인터넷기반 공동주택 하자분류 및 관리 시스템 구축에 사례기반 추론기법을 활용한 연구 (Defect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ing CBR technique Based Internet in Apartment Housing Project)

  • 김광희;신한우;서덕석;윤지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2008
  • Management process of apartment buildings construction has increased because the after service of construction company meet the needs of customers. Many defect data, which was inspected by construction company or customers before moving into a new apartment house, were classified by field engineers and then communicated to corresponding subcontractors. The classification process needs to be performed by an expert engineer because there is so much data, it is unfeasible to complete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is classification proces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using case base reasoning (CBR)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roposed a defect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using CBR. This constructed defect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cyber after service system for tenants and the whole defect management process of construc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partment buildings. This system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expert work in terms of time and accuracy, as well as helping laymen users to conduct defect classification work as experts do.

실내디자인 업무의 클레임 현황과 분쟁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실내건축가를 대상으로 한 실무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e of Claims and Disputes in Interior Design Projects - Focusing on Practices and Experiences of Interior Designers -)

  • 이소영;김욱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16-125
    • /
    • 2018
  •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interests in interior design have increased gradually. However, interior design markets were poorly evaluated from 2015 Korean Consumer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kinds of problems, defects, and consumer claims have arisen during interior design planning and construction proced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aims and disputes in interior design project procedures and to find out when defects or claims take place in those procedures in order to reduce claims or defects. Emai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KOSID members (professional interior designers) using Google Survey.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 total of 54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9. As a result, in an agreement stage, alteration in materials is the major source of claim. More than a half of respondents addressed time shortage for programming and planning.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approximately 31% respondents experienced client dis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finishes. The reason for project completion delay was due to claims during construction. The claims most frequently appealed by clients were related to painting. The satisfaction with project 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and contents of design documents including design drawings and specifications. Regu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clients are important issues to reduce the gaps between interior designers and clients/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