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이퍼캠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3초

산화첨가반응의 수득률에 미치는 용매효과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f Solvent Effect on Yield of Oxidative Addition Reaction)

  • 이철재;김병소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86-5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3-dicarbonyl 화합물과 올레핀 화합물의 산화첨가반응에서 $Ag_2CO_3$/celite (SC)를 촉매로 하여 1,3-cycleohexandion (1,3-CHD)과 ethyl vinyl ether (EVE)를 acetonitrile (AN), dimethyl sulfoxide (DMSO), benzene (BZ), heptane (HT)을 각각 용매로 하여 반응을 진행시켜 보았다. 그 결과 수득률이 78, 40, 15,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용매의 효과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이퍼캠의 반경험적 방법으로 PM3와 ZINDO/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론적 고찰을 해 보았다.

트립탄 유도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n Structural Properties of Triptan Derivatives)

  • 이철재;남기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03-508
    • /
    • 2023
  • 트립탄 유도체는 급성 편두통을 치료하는 물질로 크로마토그래피, 전기화학, 분광학 및 모세관 전기영동학 등의 분석법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 분석화학자들의 약물 분석과 생물학적 중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더욱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립탄 유도체의 분자단위 수준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yperChem8.0의 반경험적 PM3 방법을 이용하여 수마트립탄, 리자트립탄, 나라트립탄 그리고 엘레트립탄의 전체에너지, 밴드갭, 정전포텐셜, 전하량을 계산하여 각 유도체의 분자 구조적 변화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마트립탄, 나라트립탄 그리고 엘레트립탄의 경우 황 원자에 결합된 산소와 질소 원자를 중심으로 화학작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황원자가 없는 리자트립탄의 경우는 5원헤테로 고리화합물의 17, 19번 질소에서 화학작용이 진행될 것으로 나타났다.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n Structural Properties of Phenthylamine Derivatives)

  • 이철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61-766
    • /
    • 2020
  • 페네틸아민 유도체는 생화학적 작용을 하는 물질로 향정신성 약물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특히 에페드린, 암페타민, 펜터마인 그리고 도파민과 같은 물질의 정량적 검출과 관련해서는 전기화학적, 진공자외선법, 그리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선행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분자 단위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연구는 많이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yperChem8.0, HC)의 반경험적 PM3 방법을 이용하여 에페드린, 암페타민, 펜터마인 그리고 도파민의 전체에너지, 밴드갭, 정전포텐셜, 전하량을 계산하여 각 유도체의 분자구조적 변화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에너지의 경우 -43,171.8, -32,9538.3, -36,407.3 그리고 -43,061.2 Kcal/mol로 각각 나타났으며 밴드 갭의 경우 10.1637937, 9.9531666, 9.7878002 그리고 9.0589282 eV로 나타났다. 또한, 정전포텐셜의 경우 1.301~-0.045, 1.694~0.299, 0.694~-0.158 그리고 1.587~-0.048로 각각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알짜전하 분포를 살펴보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그리고 탄소 원자의 경우 각각 -0.312~-0.242, -0.161~-0.051 그리고 +0.13~-0.1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페네틸아민 유도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페닐기와 산소 및 질소 원자를 중심으로 화학작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