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이브리드 발전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해외동향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WSLETTER 전기공업
    • /
    • no.98-7 s.200
    • /
    • pp.17-27
    • /
    • 1998
  • PDF

A Study on ESS-base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easy expansion (증설이 용이한 ESS기반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연구)

  • Kim, Hee-Chu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
    • /
    • pp.68-73
    • /
    • 2019
  • This study is the central axis of the MG (Micro-Grid) configuration and it has the link through the modular hybrid power source and the DC bus, and it provides the function to detect and block the illegal connection by using the standard socket, And to achieve stabilization. Development of power conversion device, smart distribution panel,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efficient demand management are required, and compatibility with MG whole system is urgent. This is a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is safe with a common power connection protocol and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yone. This makes it easy to manage data and prepare for expansion of various manufacturers' systems.

Evaluation of Power Generation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s applying the Piezoelectric Effects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압전 및 전자기 유도 기술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수확 블록의 발전량 평가)

  • Noh, Myung-Hyun;Lee, Sang-Yo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34-737
    • /
    • 2012
  • 에너지하비스팅이란 도시와 자연 환경 속에 상시 존재하지만 진동, 열, 빛 등과 같이 버려지는 에너지 소스로부터 전기를 수확하는 것으로 대용량 발전소와는 다른 신개념의 전기 수확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에너지 하비스팅 기술들 중에서 압전 원리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비스팅 블록에 대한 발전량을 평가하여 에너지 하비스팅 블록의 주택 도시 분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랩스케일 PZT 기반 다층 에너지 하베스터의 현 발전량을 평가하여 제시하였고, 증폭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된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된 에너지 블록과 기존 상용 제품과의 발전성능 비교 실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에너지 블록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OHTV 서비스 표준 기술 및 발전 전망

  • Lee, Dong-Jun;Kim, Yun-Hyeong;Lee, Man-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5
    • /
    • pp.37-42
    • /
    • 2013
  • 오늘날의 TV 시청형태는 TV를 통해 본방송을 시청하기도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TV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보는 비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제는 많이 알려진 IPTV나 스마트TV도 TV 프로그램을 언제든 손쉽게 접근해서 보는 기능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상파 방송사도 방송과 인터넷을 하나로 묶어 온디맨드 콘텐츠 서비스는 물론 TV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TV 서비스를 미룰수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국내 하이브리드 TV 서비스인 OHTV(Open Hybrid TV) 서비스와 표준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Hybrid Web App for Real-Time of Media Communications (실시간 미디어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 Choi, Sung Ja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
    • /
    • pp.34-37
    • /
    • 2016
  • H/W, S/W 기술과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술융합이 혁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 통신을 위한 기술 또한, 쉽고,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미디어 통신은 데이터 유형이 다양하고, 미디어 스트림의 경우 전송양이 방대하며, 전송기술 또한 다양하게 적용된다. 최근에는 웹을 활용한 전송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표준기술로 webRTC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무비용의 빠르고 쉽게 미디어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스마트 및 미디어기기에 동일한 플랫폼이 제공 가능함으로써 개발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 WebRTC 기술발전 과정 및 제공되는 플랫폼과 프로토콜 스택을 살펴보고, 멀티플랫폼이 제공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마트 앱을 제공한다.

Implementation of Content Server for TV Viewer's Preference Based Hybrid Broadcasting Service (시청자 선호 기반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서버 구현)

  • Kim, Soonchoul;Bae, Byungjun;Lim, Hyoungsoo;Hur, Nam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332-333
    • /
    • 2015
  •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의 여러 유형 중 ITU-T J.301 에서 정의한 AR-STV 환경에서 시청자가 선호하는 콘텐츠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는 시청자 경험과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는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방송망과 인터넷을 결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려 기존에 방송망에서 제공하지 못했거나 구현하기 어려웠던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청자 선호 기반 하이브리드 방송서비스는 시청자에게 방송프로그램 시청 도중에도 선호하는 콘텐츠 사업자를 변경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방송 참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콘텐츠 사업자들에게는 질 높은 콘텐츠 제공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발전된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차세대 하이브리드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HBB-NEXT 기술 동향과 전망

  • Kim, Jae-Ho;Kim, Chang-Gi;Kim, Tae-Jeong;Jeon, Ju-Il;Yu, Jeong-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4
    • /
    • pp.79-87
    • /
    • 2014
  • HbbTV는 2009년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여 유럽 방송연합(EBU)에 의해 인정받은 범 유럽 하이브리드 방송 브로드 밴드의 표준 이다. 이후 HbbtTV컨소시엄은 "HBBTV 1.5" 규격으로 까지 진화시켜 ETSI TS 102 796 표준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현재까지 독일과 프랑스등 유럽을 중심으로 상용 서비스가 활발하며 유럽뿐 아니라 비 유럽 국가들도 기존 디지털 TV의 보완 및 발전과 함께 HbbTV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EU FP7은 HBB-NEXT콘소시엄 통해서 현재의 hbbTV를 발전시켜 차세대 HbbTV규격을 만들기 위해 "HBB-NEXT"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범 유럽에서 차세대 하이브리드 미디어 서비스의 주축이 될 HBB-NEXT 규격의 진행상황, 구성, 주요 기술적인 이슈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나아가서 향후 표준화 및 상용화 전망에 대해서 알아본다.

A Study on Lithium-Ion Battery Modeling for Hybrid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 모델링 연구)

  • Lee, Hyun-Koo;Kang, Byung-Kwan;Kim, Seung-Tak;Bae, Sun-Ho;Kim, Hee-Jung;Park, J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88-1389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가장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이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는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고, 예측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기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에너지 저장장치를 붙인 하이브리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모델링하고,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