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공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KOREAN CHILDREN USING PANORAMIC RADIOGRAPHS)

  • 홍소이;정서영;마연주;정영정;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68-375
    • /
    • 2011
  • 본 연구는 소아에서의 성공적인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를 분석하였다. 총 240명의 7-15세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여, 연령에 따라 7-8세, 9-10세, 11-12세, 13-15세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였다. 좌우측의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 악각전절흔, 하악지 전연, 하악지 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교합평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과 악각전절흔의 거리의 비와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지 전연과 하악지 후연의 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공의 하악지 내 상대적 위치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되나, 수직적인 위치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하악공의 교합평면과의 상대적인 위치는 연령 증가에 따라 교합평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연령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3) 여자보다 남자에서 하악공이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더 상방에, 하악지 내 전후방 및 수직적으로는 하악지의 후상방에 위치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소아 청소년에서 하악공 및 하악소설의 위치에 대한 CBCT 분석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Mandibular Lingul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CBCT)

  • 이지혜;최남기;김병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4-7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해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하악공과 하악소설의 위치 및 하악소설의 형태를 평가하고,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고려할 수 있는 자입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 또는 매복치 평가를 위해 CBCT를 촬영한 만 6 - 16세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연령에 따라 만 6 - 7세, 10 - 11세, 15 - 16세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당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여 총 180명의 하악지 좌우가 분석되었다. 좌우 측의 하악소설로부터 하악지의 전연, 후연, 상연, 하연까지의 최단거리를 계측하고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최단거리,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수직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를 기준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하악지의 전후방 및 수직적 기준점으로부터 하악소설의 위치는 연령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거리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 및 하악공의 거리는 연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결절형, 절두형, 동화형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수평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연령에 따라 각각 17 mm, 18 mm, 19 mm로 증가된 지점이 권장되며, 수직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연령에 따라 교합평면 상방 2 - 3 mm, 5 - 6 mm, 9 - 10 mm로 자입점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인 아동의 하악공 위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Korean Children)

  • 한세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7권7호통권122호
    • /
    • pp.521-524
    • /
    • 1979
  • The Author measured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with oblique cephalography in 41 8-aged, and 45 12-aged Korean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re as follows; 1) The distance from the posterior occlusal plane to the mandibular foramen was 1.85±1.23mm. in age 8 and 1.85±1.21mm. in age 12 to the below. 2) The meeting point of the occlusal plane and anterior of the ramus to the mandibular foramen was 16.68±1.68mm. in age 8 and 16.84±2.09mm. in age 12. 3) the angulation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the line connecting the mandibular foramen and the meeting point of anterior of the ramus with occlusal plane was 8.15±1.87˚ in age 8 and 7.11±1.89˚ in age 12 to the below. 4) % depth was 53.98 ±3.40% in age 8 and 53.81±4.05% in age 12.

  • PDF

하악공 전달마취 후 발생한 일시적인 시력 저하 (Transient Visual Acuity Decrease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 임지영;윤희정;방난심;정복영;김기덕;박원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3
    • /
    • 2012
  •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dentistry is the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but visual problem can occur during this procedure. Transient visual acuity decrease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can result from unintended intravascular injection.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ocular complication that has rarely been reported. The understanding of anatomy related to this case is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proper management of the patients. The dental management for ocular complications includes a correct diagnosis, management by understanding of patient's anatomic variations. This will prevent intravascular injection.

Orthopantomogram을 이용한 하악공 및 하악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Foramen and Mandibular Canal using Orthopantomograms.)

  • 김희상
    • 치과방사선
    • /
    • 제13권1호
    • /
    • pp.117-126
    • /
    • 1983
  • The mandibular canal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during surgical treatment, especially surgical extraction of the impacted tooth and intraosseous implant because it contains the important inferior alveolar nerve and vessel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urvatUre of the mandibular canal, the positional frequency of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and gonial angle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the mental foramen to the tooth site using orthopantomograms. The materials consisted of 295 orthopantomograms divided into seven groups ranging from the first decade to 6th. dec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ition of mandibular foramen was most frequently below occlusal plane in Group Ⅰ (78.6%) and Group Ⅱ (71.2%), above occlusal plane in Group Ⅲ (63.0%), Group IV (71.1%), Group V (57.6%), Group (76.7%) and Group VII (70.0%). 2. The curvature of mandibular canal was 142.8° in Group Ⅰ, 142.09° in Group Ⅱ, 139.34° in Group Ⅲ, 141.48° in Group Ⅳ, 138.45° in Group Ⅴ, 140.77° in Group Ⅵ and 143.89° in Group Ⅶ. 3. The gonial angie was 125.82° in Group Ⅰ, 123.18° in Group Ⅱ, 124.06° in Group Ⅲ, 120.45° in Group Ⅳ, 121.12° in Group Ⅴ, 121.63° in Group Ⅵ and 121.24° in Group Ⅶ. 4. The position of the menta] foramen was most frequently below the apex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in Group Ⅰ (57.2%), between the apex of mandibular first and second premolar in Group Ⅱ (59.6%) and Group Ⅲ (48.9%), and below the apex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 in Group Ⅳ (39.2%), Group Ⅴ (48.5%) Group Ⅵ(46.6%) and Group Ⅶ(56.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