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순

Search Result 88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 of Employee's Self-Leadership on the Job Engage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Justice (셀프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 Sun-B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77-90
    • /
    • 2022
  • The recent introduction of working from home due to COVID-19 has created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organizational leaders to face their members in person, making it difficult for leadership in the general meaning to exert influence on subordinate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self-leadership in whi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motivate themselves and lead themselves as an alterna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at self-leadership can be useful to MZ genera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elf-leadership, job engagement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loneliness was verified to determine how members' self-leadership affects their job engag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how the self-leadership of members affects lonelines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al factors of overall 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leadership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and generation MZ, and that the value of justice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each organization.

Population of Laodelphax striatellus, Percentag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RBSDV) Viruliferous Vector and RBSDV Infection of Maize in Different Locations (지역별 애멸구 발생양상과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

  • Lee, Suk-Soon;Park, Keun-Yong;Park, Seung-Ue;Lee, Sang-Seu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3 no.1
    • /
    • pp.74-80
    • /
    • 1988
  • Seasonal population changes in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small brown planthopper), percentag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viruliferous L. striatellus, and RBSDV infection of 11 corn hybrids were observed at various locations and years. The population size of L. striatellus was relatively small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but it was much greater in the southern areas. The population size of the first generation of adult L. striatellus emerged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was similar or smaller compared with that of the second generation emerged in middle June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However, in the southern areas the population size of second generation was much greater than the first generation. The percentage of RBSDV viruliferous L. striatellus differed depending on the years, locations, and testing methods. The percentage of viruliferous vector was highest in southern plain areas and it tended to de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areas. The percentage of viruliferous vectors tes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higher than that tested by rice seedling test. The RBSDV infection rate of corn hybrids was highest at Daegu and ranged from 9 to 39% probably due to both a higher L. striatellus population and a higher percentage of viruliferous vectors.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other areas and ranged from 0 to 13%.

  • PD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in Dioscorea alata L. (마(Dioscorea alata L.)의 생육과 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I.;Kang, Y.K.;Lee, B.Y.;Yoon, B.S.;Park, C.H.;Chang, K.J.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4 no.1
    • /
    • pp.55-6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gronom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process in tropical yams(Dioscorea alata L.). To make clear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of tropical yams in the Suwon area, the growth of the aboveground parts and the enlargement of tuber of Dioscorea alata, were investigated. The aboveground parts of the plants whose sprouted mother tuber were planted in late April were grown slowly until the 70-days after planting and grown rapidly after. From about 50-days after plantation, total length of vines slowly decreased due to the burning of the branch vines of lower modes. With regard to the branching progressed to 4th for the solo yam and to 6th for purple yam. The secondary branches tended to grow better. When the formation of daughter tubers was observed at the 50-days after planting, their enlargement was very slow. The rapid growth of tubers began at the 40-days and continued to the 90-days. General components such as protein, fiber, and lipid were higher in D. opposita rather than in D. alata. Hardness of D. alata was 2696.2 while that of D. opposita was 4946.9. Lightness of D. alata was 73.99, being higher than that of D. opposita.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Chironomids Larvae from the Hangang River at the Genus Level. (한강 수계 내 서식하는 깔따구류 유충의 속 수준에서의 분류 형질)

  • Jae-Won Park;Bong-Soon Ko;Hyunsu Yoo;Dongsoo Kong;Ihn-Sil Kwa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2
    • /
    • pp.140-150
    • /
    • 2023
  • The Hangang River* is necessary to manage the water environment of severe pollution due to the high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parks, and agriculture and the large population concentrated there. Benthic macroinvertebrates, such as chironomids larvae, are bioindicator species that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and are crucial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chironomids larvae inhabiting the Hangang River area for water environment surveys. For this research, 20 rivers, lakes, and urban area in the Hangang River basin were selected. Chironomids larvae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2, and their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In addition,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mtCOI gene sequences of the collected chironomids larvae, and identification at the genus level was confirmed. As a result, 32 species and 18 genera of 3 subfamilies of Chironomidae larvae were identified, and Stictochironomus sp. dominated most sites(6 sit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fied chironomids larvae, such as the mentum, ventromental plate, and antenna, were organized into table and pictorial keys, and a Bayesian inference molecular phylogeny was presented. These results provide basic morphological information for genus-level identification and can be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fluence of Sowing Date on Seed Yield and Quality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v. C heongja-3ho) in the Southern Paddy Field (남부지역 논에서 파종 시기별 검정콩의 종실 생산량 및 품질 특성)

  • Seo Young Oh;Jisu Choi;Tae Hee Kim;Seong Hwan Oh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5 no.4
    • /
    • pp.326-336
    • /
    • 2023
  • Growth and seed productivity of black soybean (cv. Cheongja-3ho) sown on four different dates were investigated in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reg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rends in consumption of soy foods, and the spread of double cropping region. Sowing date of black soybea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ove-ground growth, seed yield, useful components, etc. When sown in May, the above-ground part was plentiful, while seed yield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sown in June and July, reproductive growth was vigorous resulting in high seed yield, exceeding 200 kg/10a, and pod injury and seed coat cracking were reduced. Furtherm ore, the isoflavone content of seed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se results suggests that sowing from early June to early July is appropriate. Nevertheless, late June sowing oppears the m ost appropriate for black soybeans in the southern paddy fields, in order to avoid a risk of overlapping with sowing dates of winter crops in the double cropp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stenocephala by Sowing Time in Field Seedlings (곤달비 노지육묘 파종 시기별 생육 특성)

  • Gue-Saeng, Yeom;Jeong-Seob Moon;Song-Hee Ahn;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0-40
    • /
    • 2021
  •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에 분포하고, 우리나라는 전남 홍도가 특산 자생지이며 주로 강원도, 경북 경주, 전북 남원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곤달비는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국거리, 튀김, 묵나물로 식용한다. 특수 성분으로는 Isopropenyl, dimethoxybenzofuran, Liguhodgsonal, Ligujapon, Ligularinone A, Ligularinone B 등이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정기를 보익하고 허약함을 보하는 기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가 신경통, 유종(乳腫) 등에 쓰인다. 곤달비는 주로 시설하우스나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임간에서 재배되어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활성화를 위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기가 힘들며, 육묘 또한 시설하우스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곤달비 노지육묘 파종시기별 생육특성을 구명하여 노지재배 생력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해발 500m)에서 수행하였다. 춘파는 2019년 4월 상순, 5월 상순, 6월 상순에 각각 파종하였고 추파는 2019년 9월 상순, 중순, 하순에 파종하였다. 본포 정식은 춘파는 2019년 6월 말에, 추파는 2020년 4월 말에 식재하였으며, 파종시기별 발아율, 활착률, 생육특성, 수량성 등을 조사한 결과 파종시기별 발아율은 춘파가 35.0%로 추파 30.7%보다 높았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추파 육묘에서 8.3일로 춘파 육묘 9.3일보다 빨랐다. 파종시기별 정식시 묘소질은 춘파가 추파보다 좋은 생육상태를 보였고, 정식 후 육묘 활착률은 추파가 99.3%로 춘파 94%보다 높았고, 생존율 또한 추파 육묘에서 99.3%로 춘파 육묘 96.3%보다 높았다. 파종시기별 생육특성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춘파에서 좀 더 좋은 생육을 보였으며, 수확량은 춘파 처리구에서 798.6kg/10a로 추파 처리 621.4kg/10a보다 높았다.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Optimal Fertilizer Concentration (EC) for Fertigation Culture of Korean Cabbage in Highland (고랭지배추 관리재배시 적정 관비농도 (EC))

  • Jong Taek Suh;Ki Deog Kim;Chang Seok Kim;Sam nyu J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4-54
    • /
    • 2020
  • 배추는 근본적으로 저온성 작물로 고온에 견디는 힘이 약할 뿐 아니라 가뭄이나 다습에도 취약하다. 그런데 2007년 이 후 매년 봄·초여름 가뭄이 지속되고 있으며, 예전처럼 강우에 의한 피해보다는 빈번히 나타나는 고온, 가뭄, 폭염 등 이상기상 환경조건에서 병 발생 및 생장지연으로 고랭지배추의 안정 생산이 위협받고 있다. 가뭄이 매년 지속됨에 따라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도 관수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관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스프링클러로 관수하고, 분수호스나 점적호스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아직 토양수분, 토성이나 작물상태, 재배시기 등 환경요인을 고려한 과학적인 수분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수분관리의 과학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비재배는 적정한 비료를 필요한 위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비료의 효율을 높이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비료과다 시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고랭지배추 점적관수재배시 가뭄 극복과 효율적인 시비를 위한 적정 관비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배추품종은 수호를 이용하였으며 관비 EC농도(dS/m)는 0.4, 0.6, 0.8, 1.0, 1.2, 1.4 등 6처리를 두었으며 기준시비량은 N-P-K=32.0-7.8-19.8kg/10a로 하였다. 시험은 고령지농업연구소내 유리온실에서 4월 상순부터 5월 하순까지 직경 20cm 사각화분에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관비는 정식후 15일부터 7일 간격으로 5회 주었으며 관비량은 1회 화분당 65ml를 주었다. 화분은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초장은 정식후 38일까지 컸으며 엽장은 정식후 52일까지도 크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은 정식후 45일에 가장 많이 컸다. 초장, 엽장, 엽폭 모두 관비농도가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EC농도(dS/m) 1.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당 엽수와 주중도 EC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졌으며 EC농도 1.4 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EC 1.2 처리였다. 그러므로 관비 농도는 EC 1.4 dS/m 로 주는 것이 배추 생육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Growth of Chum Salmon Fingerlings (사육환경과 연어치어 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eong, Ki-Baik;Kim, Ju-Kyu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2 no.2
    • /
    • pp.81-85
    • /
    • 2007
  • Early growth of chum salm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rearing pond condition. The number of fingerling showed big differences by rearing pond $1,003,000{\sim}1,865,000$. The fork length of fingerlings ranged from $3.20{\sim}3.78cm$ and body weight ranged $0.34{\sim}0.49g$. Daily temperature of rearing water in January to March was $6{\sim}8^{\circ}C$, which is inadequate for salmon growth. pH was $6.0{\sim}6.3$ in early and mid February, 6.5 in late February and $6.5{\sim}7.0$ in March.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was lowest from 8 a.m. to 6 p.m. and increased after 6 p.m. The maximum value was seen from 9 p.m. to 6 a.m. The mortality of fingerlings was 5 times higher in the daytime than at night because of dissolved oxygen. Growth of fingerlings was affected by daily ratio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and rearin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