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수도

Search Result 3,92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search 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discharger cost in Local Government (국내 기초자치단체 하수도 원인자부담금 현황 및 특성 분석 연구)

  • Jiyeol Im;Dong Hyun Lee;Kyungik G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4
    • /
    • pp.230-236
    • /
    • 2023
  • The sewage system was continuously distributed as a concept of public service and protection for water system such as wet-lan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 management of sewage management institutions. According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various sewage policies are being promoted to streamline the management of sewage management institutions. The main points were related to costs, and typical characteristics include wastewater cost and wastewater discharger cost. In this research,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stewater discharger cost of 71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41 places (57%) were found to be less than 1,000,000 won/m3 to 2,000,000 won/m3, with an average was 1,990,653 won/m3 (median was 1,918,000 won/m3). In addition, the rate of wastewater discharger cost was increased when the wastewater discharger cost was higher stage. The influential parameters of local governments, which were relatively correlat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r cost, were analyzed as the rate of recovering wastewater cost a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wastewater discharger cost, and future researches are needed on how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level of wastewater discharger cost.

하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Kye-Hyun;Lee, Woo-Chul;Kim, Jun-Chu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181-186
    • /
    • 2000
  • 국가지리정보체계사업을 시작으로 여러 응용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지자체에서는 도시정보화 차원에서 UIS(Urban Information System;도시정보시스템)를 구축하고 있다. 지자체의 업무들은 지자체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업무 단위로 따져 볼 때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업무들이 많으며, 지리정보 관련 업무 또한 예외가 아니다. 지금까지 각 지자체의 도시정보시스템은 공통업무에 대하여 중복개발이 불가피 하였으며, 재사용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런 비효율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컴포넌트 기술이 대두되었으며, 컴포넌트 기술을 이용하여 업무변화에 유연하고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무 컴포넌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지자체의 지리정보 관련 업무의 하나인 하수도 업무 중 하수배출용량 산정을 위한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 설계를 제시하였다.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는 하수배출용량을 산정하고, 하수 배출용량을 토대로 통수능이 부족한 하수관거를 추출하며, 통수능 부족 관거에 대하여 적정한 교체 관경 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컴포넌트 설계과정은 표준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업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물로 하수도 관망해석 알고리즘을 도출하였으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수도 관망해석 업무를 수행하는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설계 내용을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로써 명세화 하였다. 현재 설계에 따라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컴포넌트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추후에는 하수도 관망해석 컴포넌트와 하수도 업무 컴포넌트와의 통합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7.0로 하고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소량(少量)넣고 8N-KOH로 pH $12{\sim}13$으로 하고 N-N 희석분말(稀釋粉末)을 지시약(指示藥) 으로써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Ca 치(値)를 얻었다. Ca와 Mg의 합계결정치(合計決定値)와 Ca 적정치(滴定値) 차(差)로 Mg 치(値)를 얻었다. 음(陰) ion 구분(區分)으로부터 상법(常法)에 의하여 $MgNH_4PO_4$의 침전(沈澱)을 만들어서 HCl에 녹키고 일정량(一定量)의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넣어 pH 7.0로 한다음 완충액(緩衝液)으로 pH 10으로 하고 BT 지시약(指示藥)을 써서 표준(標準) Mg $SO_4$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P 치(値)를 얻었다. 본법(本法)으로 Na-phytate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Na-phytate의 분자식(分子式)을 $C_6H_6O_{24}P_6Mg_4CaNa_2{\cdot}5H_2O$라고 하였을 때의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8.9% Cark 97.1%, Mg가 99.1%이고 통계처리(統計處理)한 결과분석치(結果分析値)와 이론치(理論値)는 잘 일치(一致)된다. 그러나 종래법(從來法)에 의(依)한 분석치(分析値)는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2.40%, Cark 86.80%, Mg가 93.80%로서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지 않는다. 3) Na-phytate를 전분(澱粉)과 일정(一定)한 비(比)로 혼합(混合)하고 본법(本法)으로 P,Ca 및 Mc를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이들의 회수율(回收率)은 거의 100%이었다. 4) 본분석법

  • PDF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코스모산업(주)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6 s.348
    • /
    • pp.36-39
    • /
    • 2005
  • 복개되었던 청계천을 살리기 위한 서울시의 정책추진으로 청계고가가 철거되고, 그 위를 뒤덮었던 콘크리트 도로들이 사라지면서 청계천이 사람들의 눈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오래도록 도로 아래 묻혀있던 청계천은 그 복원을 계기로 많은 이들에게 생활하천이던 청계천의 옛 모습을 기억하게 했다. 삼삼오오 둘러앉아 빨래를 하거나 멱을 감는 아련한 추억으로, 혹은 빛바랜 사진으로 말이다. 추억 속 그 시절은 사람이 많이 살지 않고 빨래나 멱을 감는 것이 큰 하수가 아니었지만, 도시가 개발되고, 사람들이 많아지고, 생활하수가 늘어나면서 하수처리의 문제는 오늘날 도시계획 속에 포함될 만큼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사람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하수가 생기기 마련이다. 생활하수이건 산업하수이건 그로 인해 생겨나는 오염된 물, 오수인 하수는 불결하기 마련이다. 이 하수가 제대로 배수되지 않으면 전염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생활 주변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수는 신속하게 사람들이 살고 있는 환경 주변에서 배제되어져야 하며 하수도는 그 하수들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하수도관과 종말처리장, 유수지 배수펌프장으로 구분된다. 이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하수관이 시가지 안의 도로 아래에 그물모양으로 어지럽게 깔려 있는데 도로 아래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한 시공이 필수적이다.

  • PDF

구미 및 동남아세아지역 하수도 시찰 보고서

  •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 수도
    • /
    • s.10
    • /
    • pp.38-51
    • /
    • 1977
  • 서울특별시 광역하수처리계획에 따른 기본계획 작성과 실시설계에 앞서 선진외국의 하수도시설을 시찰한 구미 및 동남아세아지역 하수도 시찰 보고서를 3회에 걸쳐 게재하오니 많은 참고 바랍니다. 이번 하수시찰단은 정규영 서울특별시하수국장 (본회부회장)을 단장으로 하여 이후철 (서울특별시 하수국 하수시설과장, 본회회원), 박중현 (서울대 공대교수.본회이사), 신응배 (한국과학기술연구소 환경실장) 박사 등 4명으로 시찰기간은 1977년 2월1일부터 2월27일까지였다.

  • PDF

진공식 하수도 시스템

  • 산중윤일
    • 월간 기계설비
    • /
    • s.58
    • /
    • pp.48-52
    • /
    • 1995
  • 문화적인 생활의 대명사로서 하수도의 정비가 거론되는 생활대국 5개년계획에서, 대체로 2000년의 하수도관 보급률을 70$\%$까지 끌어 올리는 계획이 세워져 있다. 이 계획을 실현하는 수법의 하나로서 대체하수도의 채용이 1988년부터 건설성토목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검토되었고, 1990년의 압력식 하수도시스템에 이어서 1991년에는 진공식 하수도시스템의 기술지침(안)이 발표되었다. 본고에서는 진공식 하수도시스템의 메카니즘과 그 적용에 관해서 최근의 기술개발을 소개코저 한다.

  • PDF

Design of versatile controller system for water treatment (수 처리를 위한 다목적 컨트롤러 시스템 설계)

  • Baek, Sung-hyu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432-435
    • /
    • 2014
  • 하수관거는 생활환경의 개선, 공중위생, 침수방지 공공수역의 수질보전 및 건전한 물 순환 등을 구축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도시기반시설이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시가지의 하수를 배제, 처리하여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전함으로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우수를 신속히 배제함으로써 도시재해를 방지하는 등 2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지금 현 상 하수도 시스템은 우수, 하수나 둘 다 무조건 하수처리장으로 유하하여 처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평상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강우 시에 한 번에 많은 우수가 하수 처리장으로 유하되어 하수 처리장의 처리 능력이 초과 되어 오히려 역효과를 일어 날 수 있고, 하수처리를 할 때 필요한 세제 및 재료들이 추가로 더 사용되기 때문에 정부의 국고 낭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 처리를 위한 다목적 컨트롤러 시스템을 설계 및 제안한다. 그 결과, 하수관거의 유량 및 수질을 검사 하여 하수일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하하고, 깨끗한 수질일 경우에는 바로 공공수역과 하천으로 흘려보내어 하수 처리장의 불필요한 처리능력에 대해 감소시킬 것이다. 추가로 각 디바이스에서 유 무선 통신으로 인한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항상 저장하기 때문에, 디바이스에 대한 관리가 쉬워지며, 관리에 대하 관리비를 줄 일 수 있기 때문에 1석 2조의 효과를 거 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Wastewater Reuse: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Paddy (하수재이용에 따른 논에서의 수질 특성 분석)

  • Ko, Jae-Young;Jang, Tae-Il;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58-962
    • /
    • 2006
  •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관개함에 있어서, 관개 유입수 및 논 담수에서의 수질은 작물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하수재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사용함에 있어서 수질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환경부에서 $\ulcorner$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lrcorner$을 마련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에 제시된 수질기준과 본 시험에 사용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하수재 처리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의 적합성을 판단하였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논에서의 수질 정화효율을 알아보았다. 본 시험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하수처리장 인근에 시험포장을 설치하였으며,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하수재처리수(여과, 소독, 저류)를 이용하여 논벼 작물 생육시험을 실시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과 하수재처리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년간 실시된 논 유입수 및 담수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논에서의 수질 정화 효율은 TN의 경우 $40{\sim}65%$, TP의 경우 $15{\sim}60%$로 나타났다. 이는 배출수를 통한 하천이나 호소로의 유입에 있어서 환경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농작업시 인체에 미치는 보건위생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표미생물의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하수 재이용에 따른 농업용수 활용에 있어 인체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sed on IoT for eco-friendly river ecosystem preservation Development of sewage information platform (친환경 하천 생태계 보존을 위한 IoT 기반 하수정보화 플랫폼 개발)

  • Kim, Chang-young;Woo, Young Woon;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631-633
    • /
    • 2018
  • 국내 하수처리장의 수질기준이 강화되고 하수처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하수처리장이 수용할 수 있는 처리용량의 한계와 이에 따른 관리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열악한 하수 환경과 높은 처리 비용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오염도에 따라 하수량을 제어함으로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부하를 경감하여 하수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생태계 보존을 위한 IoT 기반 하수정보화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