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수구장치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Cutting and Crushing Instrument of Hair to Prevent Blocking U-trap in Home Drainage System (하수구 막힘 방지를 위한 모발 절단 분쇄 장치 개발 및 성능평가)

  • Kim, Donhu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6
    • /
    • pp.394-399
    • /
    • 2013
  • The recalcitrant hairs which are accumulated in the U-trap equipped to prevent the stench from the drainage produce the phenomenon of blocking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home drainage pathway. The chemical dissolution solutions commercially manufactured are excessively poured into U-trap to solve this blocking problem. In this study, the specially designed instrument was developed for the experiments to cut and crush the hairs of which main component are the recalcitrant keratin proteins.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 for cutting and crushing hairs was investigated using experimental methods. The cutting and weighing method was used in order to obtain the average length of a large amount of hairs cut by instrument. This method is relatively simple to measure the weight of cutting hairs to obtain the average length of the fibers, the values of average length showed not greater tolerances. Also the average cutting number was defin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and crushing instruments designed for this study. We were able to apply these evaluation methods to provide the criteria to obtain the optimal structure of instrument and proper operation time in the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These experimental methods and results will provide the good example to design and to analyze the various device that can be used for cutting the fibers. The cutting and crushing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 abilities to cutting the hairs. The general using the cuttting and crushing instrument at every home would be helpful to prevent water environmental pollution.

Composting of Sewage Sludge and Llum Sludge (하수슬러지와 Alum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화)

  • Chang, Ki Woon;Lim, Jae Shin;Lee, In Bog;Kim, Young Ha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 no.1
    • /
    • pp.61-71
    • /
    • 1995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ssessment of the possibility of alum sludge composting, as well as changes of some chemical properties during composting. Alum sludge was mixed in different proportions, which are 0%, 25%, 35% and 45%, respectively, with a sewage sludge and sawdust mixture. The final mixtures to be composted are placed on static piles constructed with a perforated aeration pipe on the ground, and composted for more than 50 days. During the composting of some alum sludge treatments, there was not notable difference in changes of pH, C/N ratio, and content of several minerals among the alum sludge treatments, while changes of pile temperatures and CEC were significant and these remarkable differences in related to the pile temperatures and CEC seem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alum sludge maturity.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per mixing ratio of alum sludge for composting was 25% level.

  • PDF

Analysis of Disaster for Common Utility Tunnel & Schemes of Establishing Construction criteria (공동구 재해사례와 건설기준 제정방안)

  • Yoo, Jai-Sung;L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9a
    • /
    • pp.1236-1245
    • /
    • 2009
  • 공동구는 도시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전기, 가스, 상 하수도, 전화, 통신 등의 공공시설물을 지하매설물 형태로 설치하여 시민들의 일상생활 및 사회 경제활동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안전하고 안락한 도시환경을 유지시키며, 효율적인 도시운영이 가능케 하는 공공시설물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여의도 공동구 화재(2000년), 여수 공동구 침수(2003년), 구리시 전력구 화재(2006)등과 같이 공동구 및 전력구에서의 화재, 혹은 침수 등에 의해 재해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국가적 경제적, 사회적 손실이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공동구내 설비를 화재 및 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가 미비한 실정이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동구의 관리 또한 시설관리공단이나 위탁관리기관 등으로 분산되어 있어 일정한 시설물 설치기준이나 유지관리제도가 정립되지 못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근래 국내에서 발생한 공동구 재해사례와 공동구 관련 법규를 검토 분석하였으며, 다양화되어 가는 공동구 수용시설 조건에 부합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공동구의 시공을 위한 공동구 건설기준 제정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Explanation of Foaming Mechanism and Experimental Application of Foam Reduction Techniques in the Treated Wastewater Outle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Connected to a Tidal River, Korea (감조하천에 연결된 하수처리장 방류구의 거품 형성기작 해석 및 거품발생 저감기술의 실험적 현장적용)

  • Shin, Jae-Ki;Cho, Youngsoo;Kim, Youngsung;Kang, Bok-Gyoo;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3
    • /
    • pp.187-196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foaming generated in the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March 2015 to July 2016. The main cause of foaming was air entrainment by an impinging jet and the internal accumulation by the diffusion barrier. Particularly, the foam growth was most active when there is low tide and larger discharge. To solve this problem, we experimented after installing fine mesh screen and the artificial channel device with underwater discharging outlet in the treated wastewater discharge channel and the outle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effects of foam reduction by devices ranged 85.0~92.0% and 70.7~85.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am and the noise were easily solved, first of all look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omplaints. Our device studies were applied to a single wastewater treatment plant. However,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apply in other similar cases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s.

The Analysis of Kinetic Parameters for BNR Process Simulation in Domestic Wastewater (국내하수에 적합한 BNR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최적 동력학적 계수 산출)

  • Kim, Dae-Sung;Park, Myung-Gyun;Ahn, Ho-Chul;Ahn, Won-Sik;Lee, Eui-S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85-1390
    • /
    • 2006
  • 외국에서 ASM 모델의 BNR 적용 연구결과를 국내 하수에 적용하기에는 하수농도, 온도, 슬러지농도 등이 국내와는 달라 적용상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 BNR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자료로 활용되는 인자들은 IAWPRC task group에서 제안하는 값들을 사용하되 국내 하수성상에서 필요로 하는 인자들은 직접 실험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구해냄으로써 모델 시뮬레이션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F/M비의 변화량과 1/SRT과의 관계로부터, 종속영양미생물 생산계수 $Y_H$값을 구한결과, 0.40mg VSS/mg COD였다. 이것을 ASM No.2d에 적용하기 위하여 mg cell COD formed/mg COD oxidized 단위로 환산한 결과 0.58을 나타냈다. H 하수처리장의 1차 침전지 하수를 이용하여 호기성상태에서 OUR Test를 통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섭취시 산소섭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호기성상태와 무산소상태에서 구한 쉽게 분해되는 용존성유기물(Ss)값을 비교해보면 각각 35.5mg/L와 39.9mg/L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사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동력학적 계수 중 무산소 상태에서 종속영양미생물의 ${\mu}_{max,H}$$3.56d^{-1}$로 나타났고, 호기성상태에서는 구하면 ${\mu}_{max,H}$$4.2d^{-1}$로 산출되었다. 종속영양미생물의 사멸계수 $b_H$를 구하기 위한 실험에서 초기 OUR의 10%이내가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7일정도가 걸렸으며, 사멸률 $b_H$$0.043hr^{-1}$로 나타났다. 독립영양미생물의 최대비성장률 ${\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M1), 무역적자의 폭, 산업의 생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