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도정비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Evaluation of Ec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River Improvement (하천개수 전·후 하천공간의 생태기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Il;Kim, Ji-Sung;Shin, Hyoung Sub;Kim, Kyu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4
    • /
    • pp.397-409
    • /
    • 2014
  •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 of rivers which were changed by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The evaluating factors are composed of physical structure in river channels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n river areas, and each value of the factors is quantified based on 4 and 2 variables, respectably. This scheme was applied to past (1918, before artificial river improvement) and present Mankyung River area. A GIS model was adopted for calculating, analysing, and presenting river ecological conditions using the 204 grids and 7 reaches in study area.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evaluation grade was decreased in both factors after river improvement. The main causes of lower grade (from II to IV) for physical structure are the river straightening and crossing structures. The reduction (from II to III) in ecological connectivity grade effected by linear fragmentation due to roads and rails is found to be greater than areal fragmentation due to land-use. In particular, it is also found that a high degree of ecological connectivity in 1918 was distributed along the river, but that one in 2007 showed a tendency to scatter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levee and increase of urbanized area.

The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Removal of the Hydraulic Structures near the Junction between Nam Han and Pyeong Chang Rivers (남한강과 평창강 합류부 주변의 수리구조물 제거에 따른 수리특성변화)

  • Choi, Gye-Woon;Yoon, Yong-Jin;Cho, Jun-Bu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8 s.157
    • /
    • pp.675-689
    • /
    • 2005
  •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e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through changing discharge at main channel and lateral channel and state of hydraulic structure at the natural channel junction by experiment. The experimental area is chosen at the channel junction of Nam-Han river and Pyeongchang river. The scale of the experiment is 1/200 in horizontal, and 1/66.7 in vortical, so the distoration rate is 3. From the experiment, the reduction effect of the water level is $12\%$ in the case of removing intank dam, and $5\%$ at the hydro-electronic dam removing case. Furthermore, in the case of two hydraulic structures removing, the reduction effect of water level is $18\%$ at the channel junction. Also, the stagnation zone, which is cased diminution of the channel at the junction, is decreasing through removing the stru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of I-Qing in Yi Xue Qi Meng(易學啓蒙) (『역학계몽』에 나타난 주자역학의 특징 - 소강절 역학의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

  • Yi, Suhn Gyohng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8
    • /
    • pp.387-415
    • /
    • 2010
  • This article examines Zhu Xi(朱熹)'s theory of I-Qing(易經) present in Yi Xue Qi Meng. Zhu Xi aims to establish a novel Confucian theory of I-Qing, examining the study of I-Qing in Han Dynasity and the Taoist theory of I-Qing. To this end, he embraces Shao Yong(邵雍)'s theory of Xian Tian. Adapting the notion of Xian Tian(先天) as developed by Shao, he completes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Hetu-Luoshu(河圖洛書). While discussing Hetu Luoshu, Zhu Xi argues that the Image and Number are not merely a form of prognostication, but a medium that reveals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and the sagely ways of mind. In addition, by studing I-Zhuan(易傳) in authoring Yi Xue Qi Meng, Zhu Xi maintains that the notions of Image and Number as he understands were to be approved by Confucius. This leads to the unification of Sho Yong's Tai-Ji(太極), Zou Dun Yi(周 敦頤)'s Tai-Ji, and Tai-Ji in Hetu. Through this work, Zhu Xi attempts to construct a systematic philosophy that straddles ontology and value theory, while identifying Li (理) with Xiang (象) and Shu (數). The Image-Number Theory of Hetu-Luoshu has replaced numerous theories of Image and Number at the time of Zhu Xi. Based on this theory, he restores the method of divination as presented in Xi CI Zhuan(繫辭傳). By successfully applying his theory of Image and Number to interpreting a number of recorded examples of divinatio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 Zhu Xi demonstrates that his theory is not only an abstract metaphysical theory, but also can function as an adaptable method of divination.

Analysis of River Disturbance using a GIS(II)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I))

  • Park, Eun-Ji;Kim, Kye-Hyun;Jang, Chang-Lae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4
    • /
    • pp.27-35
    • /
    • 2008
  • Current re-arrangement of rivers and waterways have been made uniformly igno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ivers thereby aggravating artificial river restructuring. On the contrary, quantitative techniques to evaluate the aftermath of artificial river disturbance such as uprising of river bed, intrusion of foreign fisheries, and changes of ecological habitats are not available. To establish such quantitative techniques, analysis of the river changes to evaluate the major causes of the river disturbance and its impacts is essential. Therefore, research for proposing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to investigate river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major factors for the domestic rivers using airphotos and GIS techniques was preceded.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o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as selected and analysis of river disturbance using preceding method was done to confirm the benefit of analyzing river disturbance using GIS techniques. Trend analysis of the waterway sinuosity and changes of the flow path leaded to detailed verification of the river disturbance for specific location or time period, and this enabled to generate relatively accurate numbers representing sinuosity of the waterway and relevant changes. Al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ffect on the current re-arrangement of the river and waterway to river flow using the analysis of past river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IS based proper measures for environmental river restoration us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future works.

  • PDF

Flow Analysis Based on the Recovery of Lateral Connectivity in the River (하천 내 횡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흐름 해석)

  • Lee, Jin Woo;Chun, Seung Hoon;Kim, Kyu-Ho;Kim, Chang 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2
    • /
    • pp.213-220
    • /
    • 2014
  • Recently, river maintenance is change due to concern for the environment increases. Thus, the river restoration and river environment is best part of river maintenance. In case of Korea, existing river is improvement straightly for flood control and transportation. When the stream channel is straightly, maintain stability is important. Thus, construction of levees along the river. The various river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transportation are inhibit factors of longitudinal and lateral connectivity. Connectivity is defined as the maintenance of lateral, longitudinal, and vertical pathways for biological, hydr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 Long-term point of view, increased connectivity is very important for a healthy ecosystem composition. As the first step of river restor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ory and concept of river continuum and the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a real topography to simulate the flow analysis with or without segregated and blocked space in the Mankyung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the watershed connectivity assessments methods in order to the river restoration.

Application of GSTARS and HEC6 for Long-term Prediction of Bed Change in Hyungsan River (형산강의 장기하상변동예측을 위한 GSTARS와 HEC6의 적용)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8-962
    • /
    • 2008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제방 축조 등의 인위적 정비로 충적층 발달이 미약한 우리나라 하천은 상대적으로 종단형의 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천의 이수, 치수 및 환경기능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하상변동 예측을 국가하천 형산강에 대해여 HEC6 모형과 GSTARS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sim}2007$년 동안 형산강에서 직접 실측한 유량-유사량, 하상토, 하천측량자료를 GSTARS와 HEC6 모형에 적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표 지점인 형산교(모아), 강동대교(안강), 국당2교(부조), 신형산교(대송)를 내부경계조건으로, HEC-RAS를 통하여 조도계수 값을 보정하였으며 유량 값은 유황곡선을 통하여 연간유입량을 각 날짜별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Laursen (1963), Laursen (Modified by Maddden, 1985),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Yang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최심하상고 변화량 제곱근 오차가 가장 작은 공식을 선정하였다. 2006년 형산강에서 실측된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14년간 장기하상을 모의해 본 결과 형산강 유역에서는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HEC6)와 Laursen (1958, GSTARS)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HEC6와 GSTARS는 하상변동의 경향을 잘 나타내었다. 형산강의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은 상류지역은 전반적으로 하상이 저하하였고 하류지역은 하상이 상승하였다. 또한 하류부는 하상이 안정화를 이루고 있어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 기간 동안의 골재채취와 보의 설치 등의 외부 여건과 신뢰성 있는 유입유량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량-유사량의 관측과 자료의 보완 및 정밀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Dam by Considering Discharge and Downstream Flow Pattern (방류량 및 하류부유황을 고려한 팔당댐의 수문조작기준 선정)

  • 서규우;이종설
    • Water for future
    • /
    • v.29 no.2
    • /
    • pp.209-219
    • /
    • 1996
  • The existing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hydroelectric plant has been used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dam in 1973 except partial modifica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Chungju multipurpose dam in 1985. The water level near the downstream of Paldang dam has been lowered about 3 m because of the channel maintenance of Han River development project. Thus, the discharge estimation formula based on the submerged orifice type spillway has to be re-evaluated by considering various patterns of the gate operation rules and lowered channel bed.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gate openings were tested to select the proper gate operation rules through the hydraulic model test for various discharges and opening heights. Also, the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simulate the flow patterns of downstream. As a result, the gate operation rule, which opens 5 gates each time from the left side, was selected as the proper gate operation rule of Paldang dam.

  • PDF

Analysis of Flooding Effect by Sediment Inflow (토사 유입에 의한 홍수 영향 분석)

  • Han, Man-Shin;Choi., Gye-Woon;Lee, So-Young;Cho, Hy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14-414
    • /
    • 2012
  • 하천에 산사태, 하천 주변 개발, 제방 및 댐 붕괴 등으로 인하여 다량의 토사가 돌발적으로 유입될 경우 유입된 토사가 하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또한 하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보와 같은 수공 구조물로 인하여 단면형태가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경우나, 구조물로 인하여 토사가 퇴적되는 경우 하천의 수위 변화를 크게 유발하여 하천 범람과 제방 침식 등을 발생시키며 하천의 안전에 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현재 다량의 토사가 하천에 돌발적으로 유입되는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토사 유입 방지 대책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사업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치수대책이 완전하다고 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홍수 조절 및 방재를 위한 수방대책 수립 및 수자원의 집중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이와 같은 토사에 의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서 수리학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에 발생한 강우에 의하여 침수피해가 발생된 경기도 이천의 오천천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통한 침수 범람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공장의 경우 내부가 1m이상 침수됨에 따라 흔적수위 및 현장 상황을 조사하였고, 당일 강우를 통한 홍수위를 산정하여 여러 가지 원인별 홍수 원인을 분석하였다. 2011년 7월에 발생된 강우는 복하천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설계빈도로 30년 빈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강우에 의한 영향보다는 외부 영향으로 판단되며, 상류로부터 순간적으로 유입된 토사의 과다 퇴적에 의한 수위 상승에 의하여 교량 및 보 등의 수공구조물과 연계된 통수 단면적의 부족 등의 영향으로 홍수 범람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홍수 범람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강우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 보다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원인 규명을 통한 대처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 PDF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table Cannel Analysis and Design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의 개선과 적용)

  • Jang, Eun-kyung;Ji, Un;Ahn,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14
    • /
    • 2017
  • 안정하도란 하도형성유량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해 단면내에서 발생하는 유사량과 유입되는 유사량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단면을 의미하며,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란 현재 단면을 안정하도 단면과 비교하여 평가하거나 안정하도를 만족하는 하상경사와 하폭, 수심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는 하천을 정비하거나 복원하는 과정에서 장기적인 하상 평형상태를 고려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으며, 하상 침식 혹은 퇴적에 대해 지점별 평가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안정하도 단면은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대상구간의 발생 유사량의 평형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사량 자료의 정확성과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산정의 정확도가 전체 평가 결과의 신뢰도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활용되어 온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의 경우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결정을 위한 유사이송공식의 선택이 특정 공식으로 한정되어있어 국내 하상과 적합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가능한 안정하도 평가 모델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실무자가 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친화적인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Stable Channel Analysis and Design, SCAD)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인 Copeland 방법을 분석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단면 유사량 분석 계산과정에서 자갈하상 공식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의 유사이송공식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개발된 SCAD 프로그램은 정확도 및 적용성 향상을 위해 청미천과 내성천 모래하상 구간 그리고 원주천 자갈하상 구간에 대해 시험계산을 수행하였고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웹 포팅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서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사이송공식 선택에 따른 안정하도 산정 결과 값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범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