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핀테크 산업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loring Potential Application Industry for Fintech Technology by Expanding its Terminology: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ling Approach (용어 확장을 통한 핀테크 기술 적용가능 산업의 탐색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접근)

  • Park, Mingyu;Jeon, Byeongmin;Kim, Jongwoo;Geum, Youngju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6 no.1
    • /
    • pp.1-28
    • /
    • 2021
  • FinTech has been discussed as an important business area towards technology-driven financial innovation. The term fintech is a combination of finance and technology, which means ICT technology currently associated with all finance areas. The popularity of the fintech industry ha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with full investment and support for numerous startups. Therefore, both academia and practice tried to analyze the trend of the fintech area. Despite the fact,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erms of collecting relevant databases for fintech and identifying proper application area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d a new method for analyzing the trend of Fintech fields by expanding Fintech's terminology and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 new Fintech terminology list was created and a total of 18,341 patents were collected from USPTO for 10 years. The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trends of patent classification. In addition,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ends of fintech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fintech.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both managers and investors who want to be involved in technology-driven financial services seize new FinTech technology opportunities.

FinTech - Conversions of Finance Industry based on ICT (핀테크 - 금융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

  • Lee, Seong-Hoon;Lee, Dong-W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3
    • /
    • pp.97-102
    • /
    • 2015
  • It has been changed various patterns related with our consumption because of popularization and progress on mobile device and service. We can buy a necessary products anywhere and at any time during 24 hours. Through the change of patterns in our life, in recent years, Fintech attracts a lot of attention. Fintech is the fusion type of finance and technology. Industry fields related with Fintech are now proceeding well in america, england and china. Therefore, we studied the issues of Fintech, and described the industrial technology trends in this paper.

빅데이터와 핀테크 스타트업의 기회 및 동향

  • Suh, Ilseok
    • Review of KIISC
    • /
    • v.26 no.2
    • /
    • pp.20-24
    • /
    • 2016
  •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로 우리 주변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빅데이터 기술 혁신은 공히 낙후된 금융 산업에도 많은 변화를 낳고 있다. 해외에는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핀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아직 금융IT 분야에 있어 선도적인 서비스가 없어[1], 스타트업 회사들에게 많은 기회가 있다고 파악된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의 도래로 인한 시장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금융 시장의 혁신을 선도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동향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핀테크 스타트업이 앞으로 가질 수 있는 기회에 대하여 전망해 본다.

핀테크 산업의 규제 현황 및 주요 이슈

  • Gu, Tae-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66-72
    • /
    • 2016
  • 지난해 12월 3일, 금융위원회(이하"금융위")는 금융개혁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그 동안의 금융개혁 성과를 발표하였다. 지난 3월 금융개혁 추진방향 마련 시 50개의 금융개혁 실천과제를 선정하고, 규제개혁 과정에서 20개 과제를 추가 발굴하여 총 70개의 금융개혁 실천과제를 선정하였고, 그 중 (1) 제도개선이 완료되어 시행중인 과제가 24건, (2) 일부 시행중인 과제가 17건, (3) 방안은 발표했으나, 법령 개정 등 제도개선 중인 과제가 16건, 마지막으로 (4) 방안을 마련중인 과제 즉 미발표 과제가 총 13건인 것으로 밝혀졌다. 금융개혁 실천과제 중, 핀테크 생태계 구축과 관련된 과제는 5건,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과 관련된 과제는 2건 그리고 빅데이터 활성화와 관련된 과제는 2건으로 직접적인 핀테크 산업 활성화와 관련된 과제는 총 9개라고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6건의 과제는 이미 제도개선이 완료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나머지 3건은 방안은 발표되었으나, 법령 개정 등 제도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다. 여전히 은산분리 규제 완화를 위한 은행법 개정 이슈, 신용정보법 개정을 통한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등은 여전히 제도개선 과제나 규제 완화 방안이 구체화되지 않은 단계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산업에 대해서 오프라인 산업으로서 규제마인드를 갖고 있다. 국경을 넘나들며 금융서비스가 제공되는 시대에 오프라인 산업 관점의 전통적 금융규제들을 재검토해야 한다. 금융산업에서 핀테크와 쉽게 결합하여 서비스를 창출하고,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기존의 규제들을 재평가해야 한다. 인터넷에서는 국경을 넘어선 서비스를 막을 수 없으므로 국내형 규제에 얽매인 국내 금융회사들은 혁신적 서비스를 도입할 수 없어 궁극적으로 글로벌 인터넷 거인들이 결국 국내 금융회사들의 사업 기회를 빼앗아 가게 될 것이다.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이 국내 금융기관을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숙명을 빨리 깨닫고 과거의 관점에서 벗어나 온라인 서비스로 기존의 서비스를 변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금융산업은 핀테크 기업들과 협업하여 기존의 규제를 완화하거나 서비스에 맞게 변화시키고, 과감하게 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FIDO 기반 핀테크 인증 기술

  • Kim, Su-H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59-65
    • /
    • 2016
  • 최근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핀테크 서비스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 금융거래 프로세스에서 경험했던 불편함과 비효율을 개선하여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편리성과 비용절감이라는 혜택을 제공하고,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 금융 산업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핀테크 서비스가 가져다 줄 혜택과 기회는 완벽한 보안에 기반하지 않으면 엄청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핀테크 보안 기술 중 최근 급격히 관심을 받고 있는 FIDO (Fast IDentity Online) 인증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편의성과 보안성 측면에서 한계를 갖고 있던 기존 인증 기술들이 핀테크 서비스를 확산시키는데 장애가 되었다면, 최근 도입되기 시작한 FIDO 기술은 편리하고 강력한 인증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기업 모두의 관심을 얻는데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고에서는 FIDO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고, FIDO 기술을 활용한 응용 보안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FIDO 기술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표준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들을 통해 핀테크 인증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 결론을 맺는다.

A Study of Self-Checklist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FinTech Service: For the Simple Payment Service (핀테크 서비스의 개인정보보호 자가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간편결제 서비스 중심)

  • Kang, Min Soo;Back, Seung Jo;Lim, Jong I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4
    • /
    • pp.77-102
    • /
    • 2015
  • FinTech service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around the world. It has driven innovation in financial and payment service industry with different channels such as mobil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owever, FinTech service is vulnerable to different security threats due to use the valuable data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nd financial information. It is undeniable that collection and use of those information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dentity theft or privacy breach. In this paper will develop a self-checklist for the Simple Payment service users (Privacy Pragmatists) who want to make a rational decision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 checklist is going to let the users asses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performing the assessment themself when they use the service. The body of this paper is going to analyze the items of the checklist and through the analysis, will suggest a security policy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FinTech service.

Security threats and Review for FinTech (핀테크 보안 위협 및 고찰)

  • Joo, Jae Woong;Wu, DaMing;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412-414
    • /
    • 2015
  • 최근 금융과 IT가 결합한 핀테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통적 금융 서비스에서 벗어나 소비자 접근성이 높은 인터넷, 모바일 기반 디바이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송금, 결제, 자산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핀테크 기술 발전으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시스템 등 각각의 부문에서 새로운 보안 위협 요소가 증가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핀테크 보안의 고려사항과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핀테크 분야에서 보안이 적용된 시스템에 대해 분석하고 취급되는 정보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Trend Analysis of FinTech and Digital Financial Services using 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핀테크 및 디지털 금융 서비스 트렌드 분석)

  • Kim, Do-Hee;Kim, Min-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131-143
    • /
    • 2022
  • Focusing on FinTech keywords, this study is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and Twitter data by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rends in the industry of domestic digital financial service. In the growth of FinTech lifecycle, the frequency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four important points: Mobile Payment Service, Internet Primary Bank, Data 3 Act, MyData Businesses.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which combines the keywords 'China', 'USA', and 'Future' with the 'FinTech', has been predicting the FinTech industry regarding of the current and future position. Next, sentim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witter to quantify consumers'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FinTech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s able to share meaningful perspective in that it presented strategic directions that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can use to understanding future FinTech market by combining frequency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Legal Research on FinTech Regulatory Sandbox Fostering Financial Innovations in Korea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 샌드박스의 도입 방안 연구)

  • Ko, Young-Mi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53
    • /
    • pp.213-267
    • /
    • 2017
  • Regulatory barrier is considered most challenging out of all FinTech barriers, which many technology innovators have always experienced. Even though technological solutions promise customers accessibility to more cost-effective and secured financial services, it is quite challenging to create regulatory environment that enables innovation FinTech industry. Especially, a common challenge FinTech innovators and business face is regulatory uncertainty and confusion rather than any particular regulation. Since many FinTech models are continuously introducing new innovative ways in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significant confusion could be raised in applying principles of existing law and regulations. In addition, it is uncertain whether or not applying complex regulatory compliance model intended for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to small start-ups is appropriate since most existing regulations and rules are established and introduced without considering innovative tools such as mobile instruments, e-trade, and internet. Therefore, new mechanism to access to regulatory information in a more cost-effective, quick and immediate way should be created. Regulators, technological innovators, and financial customers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find out appropriate solutions for those issues. Many regulators are introducing regulatory sandbox which provides service providers with opportunities to test their innovations, during the test, providing regulators with enough time to understand risks of innovations. However, regulatory sandbox is not a panacea for all challenges to FinTech innovations. Therefore, regulators should make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efforts including regulatory sandbox in supporting FinTech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