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 거리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juries of Landscape Trees and Causes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피해현황 및 요인분석)

  • 최일홍;황경희;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1
    • /
    • pp.10-21
    • /
    • 200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njury rates of landscape trees planted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and to analyse their causes in planting environment. The planting environment such as soil properties, reclaimed depth of soil, soil hardness, salt consistency of soil, and drainage system were surveyed in 8 reclaimed seaside areas in the middle and southern regions of the country. Injury rates of 42 species, 1,233 trees and growth of branches in 6 species. 130 trees were measured and analysed to fond out salt-resistant trees in the reclaimed lan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average injury rate of evergreen trees was 32%.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of deciduous trees as 52%. The lower injured trees in the 8 reclaimed lands were Pinus thunbergii, Pinus parvinora. Juniperus chinensis 'Kaizuka', Pinus koraiensis, Acer trifdum, Koelreuteria paniculata an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The higher injured trees were Acer palmatum, Magnolia kobus. Lagerstroemia indica, Diospiros kaki, Cercidiphyllum japonicum, Sorbus commixta, Prunus yedoensis, Pinus desinora, Chaenomeles sinensis, Albizzia julibrissin and Zelkowa serrata. At least the mounding of 1.7m depth of soil is needed from the tidal saline soil to the roots of trees to protect trees from salt injury Roots of trees were found to have infiltrated to 0.77m under the soil of which solidity was over 4.5kg/㎥. And 22 of total 25 soils were acid from pH 3.72 to pH 5.85. Injury rate of trees was much higher when they were detached from the sea, and planted on the drainage.

A Study on the Consequences of Underground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고압 매몰 천연가스 배관 누출사고 피해해석에 관한 연구)

  • Lee, Seungkuk;Shin, Hun 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2
    • /
    • pp.44-49
    • /
    • 2013
  • Due to rapid rise of consuming rate for natural gas,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is inevitable for high rate of gas transportation. Accordingly incidents on the underground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come from various reasons will lead to massive release of natural gas and gas dispersion in the air. Further, fire and explosion from ignition of released gas may cause large damage. This study is for release rate, dispersion and flash fire of natural gas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setting emergency plan and safety distance.

Noi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Highspeed Train in Outdoors (고속철도소음의 전파특성)

  • 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3-79
    • /
    • 1996
  • 우리나라와 같이 철도의 운행위치와 소음 피해를 받는 수음자 간의 거리가 인접되어 있는 경우, 소음의 전파특성은 과도형상을 나타내는 구간에 속하게 되어 전파중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과 경계면 등의 이피던스 값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소음의 소음원 자체에 대한 모델링 기법과, 자유공간을 전파할 때 나타나는 거리감쇠 효과 등을 고려한 음향학적인 연속선음원 및 유한 불연속 선음원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고, 특히, 소음원의 크기에 비교하여 수음자의 위치에 따라 저감되는 음향전파특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한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철도차량의 소음원 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국내에서 운행되리라 예상되는 고속철도의 음향파워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음향파워로부터 철도변의 소음분포를 도출하였으며 고속철도의 경우 운행시 소음피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예상하였다.

  • PDF

A Study on Expression Interpolation Algorithm of Hazard Mapping for Damaged from flood According to Real Rainfall Linkage (실측 강우 연계에 따른 호우피해예상도 표출 보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im, So Mang;Yu, Wan Sik;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1-381
    • /
    • 2018
  •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인 자연재해로 각기 다른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홍수 침수 관련 지도가 작성되어 왔다. 연구 성과로 작성된 계획 빈도 및 상위 2개 빈도의 호우피해예상도를 실측 강우와 연계하여 재난관리단계별 대응단계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간 피해위험구역을 표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피해위험구역을 표출하기 위해 실측 강우와 연계된 호우피해예상도에 공간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 한다. 호우피해예상도란 돌발호우나 태풍으로 인하여 홍수가 발생하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지역을 미리 예측 가능하도록 제작된 지도이다. 지형자료(DEM), 하천 중심선(Stream Centerline), 하천 횡단면(Cross-Section Line), 제방고(Bank), 수문기상 자료(Hydrological Data), 조도계수(Roughness) 등을 사용하여 하천법 제 21조와 하천법시행령 제 17조를 근거로 작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우피해예상도에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역거리가중법) 보간,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system, 불규칙삼각망) 보간, Kriging 보간 방법 적용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호우피해예상도에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 보간 방법에 따른 적용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한 호우피해예상도 보간을 통하여 계획빈도 및 상위 2개 빈도 이외의 빈도(하위빈도-계획빈도, 계획빈도-상위빈도 구간)에 대한 호우피해예상도의 피해위험구역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호우피해예상도에 IDW, TIN, Kriging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계획빈도 및 상위빈도 이외의 빈도에 대한 피해위험구역을 표출 할 수 있다. 표출된 계획빈도 및 상위빈도 이외의 빈도를 지점확률강우량-빈도에 대한 Matching table을 통하여 실측 강우와 연계 가능하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풍수해피해예측시스템에 활용하여 재난관리단계별 예방 및 대응 단계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화약산업의 발파안전 대책 - 소음진동 및 안전거리 설정을 중심으로 -

  • 안명석
    • Journal of KSNVE
    • /
    • v.2 no.1
    • /
    • pp.15-20
    • /
    • 1992
  • (1) 화약발파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필히 시험발파, 안전진단을 통해 공해 및 안전사고 발생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파악하여 발파공법, 천공공법, 사용폭약 의 종류, 사용약량 등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안전거리의 설정, 안전덮게, 안전망의 사용, 필요시 휀스철망 설치등의 안전조치를 완벽히 취해야겠다. 또한 현행 소음진동규제법에 의하면 폭약 사용시 7일전 신고의무 규정을 우리나라의 공사 현실을 감안해 볼 재검토 할 필요가 있다. (2) 선진국의 발파진동 기준을 우리나라 의 경우와 비교 분석해 볼때 우리나라의 경우 발파진동 안전기준은 도심지에는 대체 로 0.5cm/sec가 적당하고 고주택, 아파트 등이 밀집된 지역이나 건물지반이 특히 약한 곳은 0.2cm/sec을 적용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심지에서의 안전발파 를 위한 터널공법으로는 주변 생활환경 소음진동방지를 위한 심발법으로 브이 컷법 을, 여굴방지와 미려시공 등 공사시 안전사고, 소음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슬러리, 파이 넥스 폭약을 이용한 정밀면 발파법을 권장한다. (3) 연화발사시 안전 거리를 3.deg. 기준 최소반경 129m, 12" 기준 최고 반경 200m로 설정하여야 겠다. 또한 연화발사시 발생하는 폭발 소음은 80 - 100dB 정도로써 대량으로 장시간 발사 시는 청력장해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발사 총 시간이 대체로 30분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관람자나 일반인들이 소음피해를 호소할 수준은 아니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수 있다.

  • PDF

Installation of Sound Barrier to Prevent Damage to Structures Caused by Artillery Fire Impact Sound (포 사격 충격음의 구조물 손상 방지를 위한 방음벽 설치 방안)

  • Park, June;Ha,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0 no.3
    • /
    • pp.31-39
    • /
    • 2021
  • During artillery fire, an excessive level of impulse noise propagating in the form of a storm wave is generated. Since the sound of impact from the fire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the artillery and the structure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roper distance to avoid damages from friendly fire. However, if they have already been built within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s by building sound barriers between them. In this study, the proper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rtillery and the structure was calculated, and the insertion losses due to various heights and shapes of the sound barrier were simulated by using the BEM(Boundary Element Method), and conclusively the optimal sound barrier was selected.

Thalweg Change According to Outer-bank Distance of the Submerged Vane in Curved Channel (날개형 수제의 이격거리에 따른 개수로 만곡부의 유심선 변화)

  • Ham, Gwang Hyeon;Jeon, Woo Sung;Sim, Young Ju;Park, Sang 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1-261
    • /
    • 2021
  • 자연하천은 직선하천보다 만곡하천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하천의 만곡부에서 2차류 흐름과 나선형 흐름, 원심력이 수충부와 외측제방에 작용하여 하상에 국부적인 세굴이 발생한다. 세굴이 발생하게 되면 수충부나 외측제방에 붕괴나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 세굴의 피해를 줄이고 만곡부유로를 조정하기 위해 날개형 수제를 설치할 수 있다. 날개형 수제를 설치한 하상은 수제의 두께, 길이, 높이, 간격, 위치, 배열 등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곡 개수로에 잠긴 날개형 수제를 설치할 때 만곡 외측에서 수제 열까지의 거리가 만곡부의 유심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동상 개수로 수리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이동상 수리실험은 폭 1.16 m, 깊이 1 m, 길이 24 m인 90° 만곡 개수로에 d50이 3.3mm인 잔자갈을 깔아 하상경사 1/300로 정리한 후 수제를 설치하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수제는 폭 20mm, 길이 70mm의 직사각형 단면 목재로 제작하여 설치하였고, 실험별 이격거리는 외측 제방으로부터 8.4 cm, 14 cm, 19.6 cm로 하였다. 실험유량은 140l/s로 3시간 동안 흘린 뒤 하상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주요 횡단면별 하상고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심하상고의 크기와 위치, 유심선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 PDF

Risk Assessment Based on Highway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Scenario Using GIS (GIS를 활용한 고속도로 염화수소 가스 누출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평가)

  • Kim, Kuyoon;Lee, Jaejoon;Yun, Hongsi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3
    • /
    • pp.591-601
    • /
    • 2021
  • As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continues to develop,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chemicals increases every year. Road freight in Korea accounts for more than 90%, and most of the chemical transportation is done through roads. These chemical vehicles can lead to major accidents if accidents occur. Transportation vehicles are likely to cause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which are factors of environmental damage, as well as traffic accidents that are the primary damage. In this work, we write a scenario for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by setting Banpo IC and Seocho IC sections as research areas, and use the ALOHA program to measure the predicted distance and analyze the time when hydrogen chloride gas reach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addition, risk assessment using population density was carried out for areas of damage caused by time using GI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in areas of damage.

Measurement of Moving-Flot Distance by Digital Video in Open Channel (개수로에서 디지털동영상을 이용한 부자의 이동거리 측정)

  • Kim, Ho-Seop;Park, Sang-Deog;Shin, Seung-Sook;Kim, Seon-Jeong;Kim, G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25-1529
    • /
    • 2010
  •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고 산지하천을 따라 대부분의 도로와 농경지 또는 주거지가 분포하고 있어 집중호우시 산지하천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하천계획에서는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하천제방 등의 하천설계에 활용하는데 이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유출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홍수자료 생산에서는 수위-유량관계곡선 자료가 필요하며 이는 수위와 유속을 동시에 측정하여 취득된다.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에서 집중호우시에 유속을 측정을 할 경우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유속측정방법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이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상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부유물의 이동거리를 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개수로에서 부자의 실제이동거리를 이론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림 1과 같이 개수로에서 부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그림 2와 같이 실제이동거리와 이론이동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의 부자를 이용할 경우 영상이미지에서 이론적인 부자 이동거리 산정이 가능함하고 개수로에서 표면유속측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속과 수면변동이 큰 개수로에서 부자이동거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Facilities Damage Characteristics Caused by Forest Fire in Goseong-Gun (고성산불로 인한 시설물피해특성 연구)

  • Yeom, Chanho;Lee, Si-young;Park, Houngsek;Kwon, Chunge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469-478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ies we examine the facilities damage characteristics caused by forest fire. Therefore, we surveyed damaged facilities from forest fire which was occurred on Goseong-Gun on march 28 in 2019.(damaged areas was 40ha) The types of facilities uses were house, public facility, warehouse and so on. 17 facilities were destroy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where damage from a similar type of disaster occurs repeatedly by conducting the consciousness survey targeting at experts and disaster safety officials in a local government. Method: We surveyed meteorological factors(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humidity) per a minute for analyzing weather condition on Goseong-Gun when forest fire was occurred, spread and extinguished. And we surveyed forest fire risk factors(a slope degree, a slope direction, a geographical feature, a distance between forest and facility, main species, the existence of crown fire ignition, the direction of facility, the main material of building) around 10 damaged facilities. Finally, we analyzed damage pattern of facilities using meteorological factor and forest fire reisk fator Result: The weather condition of Kanseonng AWS (No.517) was high temperature, arid and strong wind, when the forest fire was occurred and spread. An average wind speed was 4.1m/s and the maximum wind speed was 11.6m/s. The main direction of wind was W(225~315°). Damaged facilities were located on the steep slope area and on the mountaintop. The forest density around facilities was high and main species was korean red pine. The crown fire was occurred in the forest around damaged facilities. The average distance was 13.5m from forest to facilities. When the main matarial of building was made by fire resistance materials (for example, rainforced concrete), the damage was slightly. on the other hand, when by flammable material (for example, a Sandwich Panel), the facilities were totally destroy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ich were the thinning around house, making a safety distance, the improvement of main material of building and etc, will be helpful for establishing a counter measure for a forest fire prevention of facilities in wild land urban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