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율

Search Result 1,19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특수건물 화재 경향 및 분석

  • Kim, In-Tae
    • 방재와보험
    • /
    • s.117
    • /
    • pp.46-50
    • /
    • 2007
  • 한국화재보험협회는 매년 특수건물에 대한 화재를 조사하여 손해보험회사, 소방방재청, 특수건물 관계자 및 관련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2005년도 화재조사 분석은 특수건물 19,220건 중 화재 또는 인명피해가 발생한 514건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293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으며 화재발생률은 2004년도의 2.76%보다 0.09%포인트 감소한 2.67%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손해보험업계의 화재보험에 대한 손해율(재산종합보험 손해율 제외)은 2004회계연도(2004.4.1-2005.3.31) 기준으로 특수건물 51.7%, 비특수건물은 52.8%로 나타났다. 본 고에서는 최근 특수건물의 화재경향을 살펴보고, 2005년도 화재분석 내용을 분석하여 화재예방과 피해절감 대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ainfall-Distribution-Runoff Rate During the Flood Gate Outflow Period After Completion of Daecheong Dam Construction Project (대청댐 준공이후 수문방류기간중 강우량-강우분포-유출율 분석)

  • Kang, Kwon-Su;Lee, Kyu-Ta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8-358
    • /
    • 2018
  • 대청댐은 준공이후 현재까지 37년의 수문자료가 축적되었으며 총 43회의 수문방류를 하여 연간 1.16회의 수문방류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수문방류와 지속적으로 최신화한 K-water 저류함수법을 이용하여 수문방류기간중 총강우량 현황과 강우량에 따른 11개의 강우분포형(증가, 감소, 증가감소, 균일, 감소증가, 증가계단, 감소계단, Huff1, Huff2, Huff3, Huff4)의 현황분석, 강우량별 분포형별 유출율을 분석하여 금년도 및 향후 발생이 예상되는 홍수시 수문방류결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홍수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홍수기 초반에는 장마전선으로 인한 강우가 원인이며, 장마가 끝난 7월말~8월경에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최근 엘리뇨 및 라니냐 현상의 출현에 따른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돌발호우의 증가로 홍수관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가뭄발생이 잦아 우리나라 전역에 가뭄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홍수기에도 많은 강우가 내리지 않아 2013년 이후에는 수문방류 실적이 전무한 편이다. 홍수로 인한 재해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동반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재해중의 하나이며, 재해예방을 위한 홍수예보는 강우예측과 유출해석으로 나뉠 수 있다. 강우예측은 정교한 강우모형과 기상전문가의 몫이며, 정확한 유출해석은 수문학자들에 의한 연구과제였다. 우리나라 홍수유출해석에 주로 사용되는 모형은 저류함수법이며, 1961년 일본의 Kimura에 의해 창안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한 다각도의 모형개선을 통해 수차례 모형 성능 향상이 되었다. 그동안 축적된 홍수수문자료를 바탕으로 대청댐 준공이후 수문방류기간중 강우량-강우분포-유출율 관계를 통해 강우량별, 강우분포별, 매개변수별, 유출율, 홍수조절율에 대한 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향후 발생가능한 홍수관련 업무에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수문방류기간중 호우원인(장마전선, 태풍, 국지성홍수 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호우사상별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해당 호우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Seasonal Occurrences and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Control Effect of Pseudococcus comstocki on 'Muscat of Alexandria' Organic Vineyard in Korea ('알렉산드리아' 유기 포도원에서 발생되는 가루깍지벌레의 계절적 조사 및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

  • Song, Myung-Kyu;Park, Jae-Seong;Lee, Seok-Ho;Lee, Jae-Wung;Kim, Seung-Duck;Jeong, Chang-Won;Kim, Kyl-Ha;Park, Jong-Ho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5 no.4
    • /
    • pp.773-78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amage patterns, the occurrence and migration time of Pseudococcus comstocki and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ol effect of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OAM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Okcheon's organic vineyard ($2,500m^2$, sandy loam, manure) where planted 8~9 year old 'Muscat of Alexandria' vines. The comstock mealybug's migration to grape clusters occurred from the middle of July, and produced eggs in the grape clusters from the end of July, and the density of the comstock mealybug was highest at $0.6cm^2$ in late August. The number and fruit damage of comstock mealybug in eco-friendly vineyards were higher than in conventional culture vineyard. And the marketability of green variety grape was more damaged from comstock mealybug than the black variety grape. Toxicities of 8 OAMs were evaluated to comstock mealybug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s a results, Lightyellow sophora and Derris extracts exhibited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with 100% mortality. When the Lightyellow sophora extract wa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vine from early-July to mid-July, fruit damage reduction rate was 96.2% and 84.6%, respectively. So commercial grapes could be harvested.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reduce fruit damage by controlling in early - late July (the green stage) when the comstock mealybug migrated to grape clusters in the vine greenhous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external exposure time and momentum on the control of OAMs.

Population Dynamics and Damages of White Grubs in Sweet Potato Fields (고구마 재배지 주요 굼벵이 발생양상 및 피해)

  • 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Kim, Doo-Ho;Choi, Dong-Ro;Seo, Hong-Yul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6 no.1 s.145
    • /
    • pp.165-168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pulation dynamics of white grubs and its damages in sweet potato fields. There were three species of white grubs that fed on the roots of sweet potato in Honam area. Among them, Holofrichia parallela was a major insect pest. Damage rate of sweet potato by white grubs were about 2 to 40% differed with regions. In some region where it was severe the damage rate of sweet potato was about 80% or more. H. parallela overwintered as a late 3rd instar larvae in soil from late October to late-June, and the survival rate of them was 92%. The occurrence pattern of H. parallela larvae varied in different seasons. In sweet potato field, H. parallela larvae populations started being observed during late-July to mid.-August. The damage by the grub began to occur late-August in field and lasted to the harvest time.

닭에 대한 내부기생충의 피해

  • 김영환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 no.6 s.20
    • /
    • pp.41-45
    • /
    • 1971
  • 누구나 다 아는 내부기생충(회충)$\cdots$$\cdots$ 그러나 그피해는 당신이 모르게 갑자기 나타난다. 왜?$\cdots$$\cdots$1달 자란 회충 한마리가 하루 5,000여개의 알을 낳기 때문이다. 정상을 벗어난 높은 폐사율, 성장부진, 산란이 피크에 올라가지 않을때, 난중이 빨리 증가하지 않을때 여러분은 그 닭의 기생충 보유유무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 PDF

차주머니나방 "해충안전지대" 침입 - 은행나무 해충 피해실태와 방제대책 - 천적밀도, 자연폐사율 낮아 피해 계속 늘어날듯 유충 대상으로 약제살포 필요

  • 이범영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15 no.6 s.123
    • /
    • pp.70-73
    • /
    • 1994
  • 최근에 들어 서울, 인천등 도시지역에 ''차주머니나방''이 발생하면서 은행나무도 해충에 대하여 안전한 수종이 아니라는 감을 주고 있다. 은행나무의 해충으로 1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차주머니나방과 깍지벌레류 이외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 PDF

Percentile Approach of Water Level Management Criteria for Agricultural Reservoirs (Percentile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 운영기준 산정)

  • Woo, Seung-Beom;Nam, Won-Ho;Lee, Hee-Jin;Choi, Eun-Hyuk;Lee,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9-179
    • /
    • 2021
  • 가뭄은 농작물 수확량 및 농업생산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등 농업분야의 주요 문제이며 이는 피해를 야기하므로 농업가뭄의 대안 마련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현장에서의 용수공급의 경우 기상학적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여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현장에서 체감하는 가뭄은 상이하다. 따라서 농업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농업현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0만톤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 중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2017년의 일별 저수율을 정규화한 후 미국국립가뭄경감센터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에서 가뭄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는 Percentile을 활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Percentile을 활용하여 저수율 기준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수준으로 분류하고 당해 저수율의 단계별 빈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후 표준강수지수(Standra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활용한 2017년 가뭄의 공간분포와 2017년 저수율 관리기준 빈도에 따른 공간분포를 구축하여 비교 분석 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for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Level (유역 치수안전도를 위한 홍수피해잠재능의 개선)

  • Lee, Seung-Jong;Kim, Young-Oh;Lee, Jae-Hyung;Lee, Y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26-230
    • /
    • 2006
  •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은 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치수단위구역의 치수특성 및 사회경제적인 가치를 함께 평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지수로 이미 여러 유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역종합 치수계획 사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다음과 같은 이론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PFD는 처음 제안될 당시 (이하 기존 PFD) '잠재성'과 '위험성'라는 두 가지 요소가 곱해지는(multiplicative) 형태로 구성된 후 '위험성' 요소 안에 '가능성'과 '방어능력'이 더해지는 (additive)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하 수정 PFD) '피해대상', '피해가능성', 그리고 '방어취약성'이 모두 곱해져야 이론적으로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기존 PFD는 '방어취약성'이 0의 값, 즉 홍수에 대한 완전방어를 의미하는 값에 가까워져도 PFD 값이 0에 수렴하지 않는 반면, 수정 PFD는 위의 경우 홍수 피해잠재능이 0에 수렴하는 것을 요소별 시나리오 모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PFD를 이용하여 유역의 목표치수안전도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PFD의 물리적인 의미가 무차원화 된 피해량 임을 전제로, 피해대상으로부터 목표방어율을 설정한 후 이에 해당하는 목표방어취약성을 계산하는 절차를 전개하였다. 추후 이 방법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lternative Policy and Actual State on Compensation for Fisheries Damage by Oil Pollution (유류 오염에 의한 어업피해 보상 실태와 대응 방안)

  • Jang, Duck-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1 s.22
    • /
    • pp.61-70
    • /
    • 2005
  • The most likely influenced by the oil pollution at the sea is the fisheries industry, because if the destruction if the marine ecological system The rate if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IOPC Fund due to the incident if oil pollution is more or less $20\%$, which is remarkably lower than those cf our adjacent nations or European nations. The reason such a low rate cf compensation is that it is not easy to take evidences if changed caused by oil pollution requested by IOPC Fund due to the environments if our fisheries. Therefore unless the environments if our fisheries is changed completely,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ctual compensation for damages under the existing system, considering the results if the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claim cases up to now. I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actual benefits of 03FC convention that raises the upper limit if the compensation while keeping the criterion for compensation And proposed to supplement the compensation system of damage caused by oil pollution with analyzing the actual status if compensation from. IOPC Fund for the our oil pollution incidents and the judgment if Supreme Court on the case if oil. pollution acident in Keumdong No.5.

  • PDF

Characterization of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Occurrence Against Maize and Sorghum Varietie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답전윤환 포장 내 옥수수 및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발생 특성)

  • Kim, Min Joon;Yoon, Sung-Tag;Lee, Hee-Kwon;Jo, Hyeong-Chan;Kim, Soon-Il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5 no.4
    • /
    • pp.329-336
    • /
    • 2016
  • Occurrence of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and yield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for 8 maize (Eolrukchal 1, Heugjeom 2, Miheukchal, Ilmichal, Heukjinjuchal, Chalok 4, Mibaek 2, Daehakchal) and 7 sorghum (Hwanggeumchal, Anzunbaengisusu, Moktaksusu, Sodamchal, DS-202, Nampungchal, Donganme) varieties has been surveyed. In a monitoring study using a pheromone trap carried out from 15 May to 10 September, the density of O. furnacalis adults increased rapidly from about 2 weeks after maize planting and reached the highest density at mid June. After that, their density was fluctuated a little at earlier September. The number of the damaged maize and invasive pores on the stem of 2 maizes and sorghum varieties was examined. The mean number of the damaged maize per 20 plants was 19 and 18 plants, and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was 1.8 and 1.4 per maize stem in Daehakchal and Mibaek 2, respectively. In a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using 8 maize varieties, the damaged ratio was 94%, 92%, 71%, 64%, 54%, 52%, and 45% in Daehakchal, Mibaek 2, Ilmichal, Eolrukchal 1, Chalok 4, Miheukchal, and Heugjeom 2,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vasive pore per Ilmichal stem was 1.4 and that of the others was less than 1.0 per stem. In addition, the damaged ratio of maize ears was 50% in Ilmichal, 40% in Heukjinjuchal, 37% in Daehakchal, etc. The damage pattern of 2 sorghum varieties, Nampungchal and Donganme, by O. furnacalis larvae was steeply increased from planting to 2 months and the trend was continued up to earlier August. At this time, the mean number of damaged sorghum was 13 and 9.2 plants for Nampungchal and Donganme, and the number of invasive stem pores was 1.06 and 0.46, respectively. In another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for 7 sorghum varieties, their damaged ratio was 95% in DS-202, 76% in Moktaksusu, 75% in Sodamchal, 67% in Nampungchal, 57% in Anzunbaengisusu, 46% in Donganme, and 34% in Hwanggeumchal. The damage of sorghum varieties was much higher and severer than that of maizes by O. furnacalis larvae.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on a sorghum stem was 1.7 in DS-202, 1.4 in Moktaksusu, 1.3 in Sodamchal, 1.1 in Nampungchal, 1.0 in Anzunbaengisusu, 0.5 in Donganme, and 0.4 in Hwanggeumchal. Meanwhile, there was no distinct connection between damaging results and yields of maizes and sorghums by O. furnacalis larvae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Oriental corn borer in paddy-upland rotation fields for maize and sorgh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