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해엽률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82초

비트 흰띠명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s of Spoladea recurvalis on Beet in the Plastic Greenhouse)

  • 김주;최인영;이상구;임주락;이장호;정성수;이상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5-180
    • /
    • 2014
  • 비트에서 흰띠명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을 설정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0년도 8월 하순에 비트를 정식하였으며 흰띠명나방 2령 애벌레 밀도를 달리하여 접종한 후 생육시기별로 피해엽률을 조사하였다. 10주를 한 반복으로하여 각 처리구당 3반복으로 실험하였다. 비트에서 흰띠명나방의 피해엽률은 접종마리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해엽률도 증가하였으나 10월 초순경에 감소하다가 하순경에 다시 증가하였다. 흰띠명나방 애벌레밀도는 초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9월 중순부터 감소하다가 10월 중순에 다시 증가하였다. 흰띠명나방 접종밀도가 증가할수록 비트 잎의 수확량과 상품률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량감소율은 증가하였다. 흰띠명나방 유충을 접종한 후 3회에 걸쳐 잎을 수확하여 얻은 접종밀도(x)와 수량감소율(y1)과의 관계식은 y1 = 1.226x + 3.36이였으며 최종적으로 수학한 뿌리의 수량감소율(y2)과의 관계식은 y2 = 0.478x + 1.15이었다. 따라서 잎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10주당 1.3마리, 경제적 피해허용은 1.1마리였으며, 뿌리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10주당 8.1마리,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6.4마리로 설정되었다.

대파에서 파좀나방 가해 특성과 여름기간동안 유충밀도에 따른 피해해석 (Injury Characteristics of Allium Leafminer, Acrolepiopsis sapporensis (Lepidoptera: Acrolepiidae) in Welsh Onion and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Larval Density Levels during Summer)

  • 박홍현;김광호;박창규;최용석;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는 여름기간동안 대파에서 파좀나방 밀도에 따른 피해수준을 분석하고, 해충관리의 기초자료인 경제적피해수준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수원지역 대파 재배포장에서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성충 발생 모니터링 결과, 3~5월, 9월에 특히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다. 파좀나방의 가해양상은 유충이 잎을 뚫고 들어가 내부에서 갉아먹으면 잎 표면이 초록빛을 잃고 하얗게 변하였고, 구멍이 생겨났다. 유충 1마리가 전체 유충기간동안 평균 1.6개 잎을 가해하였고, 11.9개의 구멍을 냈으며 피해면적은 $1,321.6mm^2$에 달했다. 망사케이지에 파좀나방 유충을 밀도수준별로 접종한 결과, 파좀나방 밀도수준에 따라 파의 평균 엽수의 감소와 피해엽률의 증가에 따라 총 수량 및 상품수량이 감소되었다. 피해해석 결과, 해충밀도와 피해엽률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다. 이 식을 이용하여 대파의 상품화율 93%를 감안하여 설정한 피해한도인 피해엽률 7% 수준에서 파좀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10주당 유충 1마리로 추정되었다.

대두(大豆)에 대(對)한 아황산가스의 영향(影響) (Effect of of Sulfur dioxide gas on Soybean Plant)

  • 김복영;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5-112
    • /
    • 1979
  • 대기오염물질의 하나인 아황산가스를 $0.2mg/{\ell}$$0.5mg/{\ell}$의 농도(濃度)로 대두(大豆)에 접촉(接觸)시켜 접촉시간(接觸時間) 및 시각(時刻)에 따른 피해증상(被害症狀), 피해엽률(被害葉率), 수량(收量), 체내유황함량, 엽록소함량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가, $0.5mg/{\ell}$ 아황산가스를 시간별(時間別)로 접촉(接觸), ${\bullet}$ 5분간(分間)의 단시간접촉(短時間接觸)에서 52%의 감수(減收)를 가져왔고 60분접촉(分接觸)에서 76.4%로 감수(減收)하였다. ${\bullet}$ 가스접촉시간(接觸時間) 및 감수률(減收率)과 체내유황함량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수용성(水溶性) 유황(硫黃)이 전유황(全硫黃)보다 유의도(有意度)가 높았다. 나, $0.2mg/{\ell}$의 아황산가스를 시각별(時刻別)로 접촉(接觸), ${\bullet}$ 엽피해(葉被害)는 10-11시(時)에 가장 심(甚)하였으며 22-23시(時)에는 육안적(肉眼的) 피해(被害)가 없었다. ${\bullet}$ 엽(葉) 경내 유황함량(硫黃含量)은 10-11시(時)에 가장 많았고 18-19시(時)에 가장 적었으며 엽록소함량은 10-11시(時)에 가장적고 22-23시(時)에 가장 많았다. ${\bullet}$ 엽내유황함량(葉內硫黃含量)과 피해엽률(被害葉率)은 정(正)의 상관이 있었으며 엽록소함량과 피해엽률(被害葉率)과는 부(否)의 상관이 있었다. ${\bullet}$ 엽록체의 흡광도(吸光度)는 10-11시(時)에 가장 감소(減少)가 컸고 22-23시(時)에 가장 감소(減少)가 적었으며 $456m{\mu}$$663m{\mu}$에서 흡광도(吸光度)의 감소(減少)가 컸다.

  • PDF

염소(鹽素) 및 염화수소(鹽化水素)가스가 수도(水稻)와 대두(大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hlorine and Hydrogen Chloride Gas Fumigation on Rice and Soybean Plants)

  • 김복영;김규식;한기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58
    • /
    • 1982
  • 수도(水稻) 및 대두(大豆)를 pot재배(栽培)하여 가스접촉실내(接觸室內)에서 $Cl_2$가스 및 HCl가스를 0.1, 0.25, 0.50, $1.0g/m^3$의 농도(濃度)로 1시간(時間)씩 접촉(接觸)시켜 가스접촉후(接觸後)에 나타나는 피해증상(被害症狀), 피해엽률(被害葉率), 수풍(收豊) 및 chlorophyll함양등(含量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염소(鹽素)가스는 수도(水稻), 대두(大豆) 모두 엽전면(葉全面)에 회백색(灰白色)의 미세(微細)한 반점(斑點)이 나타나며 심(甚)할 경우(境遇)는 백색(白色)으로 고사(枯死)하나, 염화수소(鹽化水素)가스는 엽(葉)의 가장자리에서부터 회백색(灰白色)으로 고사(枯死)한다. 2) 가스농도(濃度) 증가(增加)에 따라서 감수(減收)가 컸으며 수도(水稻)는 염화수소(鹽化水素)가스에서 대두(大豆)는 염소(鹽素)가스에서 피해(被害)가 컸다. 3) 동일농도(同一濃度)에서의 피해엽률(被害葉率)은 염소(鹽素)가스에서는 대두(大豆)가, 염화수소(鹽化水素)가스에서는 수도(水稻)가 크게 나타났다. 4) 수도엽(水稻葉)의 chlorophyll함량(含量)은염소(鹽素)가스접촉(接觸)이 염화수소(鹽化水素)가스 접촉(接觸)보다 피해(被害)가 적었다. 5) 수도엽(水稻葉)의 chlorophyll함양(含量)과 피해엽률(被害葉率)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부(否)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토마토에서 Hemiptarsenus zilahisebessi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 기생율 (Parasitism of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by Hemiptarsenus zilahisebessi(Hymenoptera: Eulophidae) on Tomato)

  • 문형철;최정식;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5
    • /
    • 2002
  • 토마토에서 Hemiptarsenus zilahisebessi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밀도억제 효과를 실내와 온실에서 확인하였다. 토마토에서 외부기생봉류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생율은 26~45%이었으며 이 중 H. zilahisebessi의 비율은 47~75%이었다 암컷 성충의 기주체액섭취율이 기주 1령유충과 3령유충에서 각각 40.4%와 37.9%이었으나 1령과 3령유충을 동시에 접종할 때 1령보다는 3령유충을 주로 체액섭취하였다 사육실에서 H. zilahisebessi 암컷과 기주 3령유충을 1 : 10, 1 : 20, 1 : 30으로 접종시 기주 시망율은 각각 93.1%, 92.1%, 89.8% 이었다. 토마토 포장에서 주당 암컷 3마리, 5마리를 접종한 결과 접종 4주째에 80%정도의 기생율을 나타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유충밀도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피해엽률 또한 접종 4주후부터 무접종구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접종밀도에 따른 기생을, 기주 유충 생충율 및 피해엽률의 차이는 없었다.

벼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의 경제적 피해수준 (Economic Injury Levels for the Rice Leaf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Lepidoptera: Pyralidae) in the Rice Paddy Field)

  • 이건휘;박채훈;최민영;서홍렬;배순도;최용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7-331
    • /
    • 2006
  • 벼 혹명나방 유충이 벼에 주는 피해를 해석하기 위해 유충 마리당 가해엽수를 조사하고, 생육시기별 절엽 수준(0, 10, 30, 50, 70 및 90%)을 달리하여 수량 및 수량구성 요인을 조사한 결과, 유충 1마리가 유충기간 동안 벼 잎을 $6{\sim}7$개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수전(유수분화기)에는 절엽률과 등숙률과는 Y = -9.379X + 83.630 ($R^{2}=0.493$), 절엽률과 수량감소율과는 Y = 0.139X + 0.490 ($R^{2}=0.925$), 절엽률과 완전미율과는 Y = -4.880X + 81.116 ($R^{2}=0.665$)의 관계가 있었다. 출수 후(유숙기)에는 절엽률과 등숙비율과는 Y = -23.0l4X + 83.589 ($R^{2}=0.915$), 절엽률과 수량 감소율과는 Y=0.141X + 3.466 ($R^{2}=0.842$), 피해율과 완전미율과는 Y = -13.795X + 81.964 ($R^{2}=0.898$)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출수전보다 출수 후가 혹명나방 피해를 받았을 때 수량이나 수량구성요소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혹명나방 피해허용수준은 출수 전(유수분화기)에는 피해엽률 30%, 출수 후 (유숙기)에는 피해엽률 7%였다.

묘엽 품종의 진딧물 피해율에 관한 연구 (Varietal Differences in the. Resistance to Aphidiae (Aphis, gossiypii GLOVER) Injury in Rape)

  • 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7-70
    • /
    • 1979
  • 유채의 주요해충인 진딧물의 내충성 육종을 위하여 목포지장에서 재배주인 품종보존 320품종에 대한 진딧물의 복해정도와 아울러 개화기 협착밀도 및 기상조건과 피해협율간의 관계를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품종 가운데 대부분이 3월말에서 4우러초에 개화되었으며 그가운데 4월 4일을 전후하여 개화되는 품종이 38.3%로서 제일 많았고 개화기와 피해협율기에는 정의 상관관계 (r=0.71)가 인정되었다. 2. 진딧물에 의한 피해엽율은 최고 33.0%에서 최저 2.0%, 평균 12.98%이었다. 그가운데 4%∼6%의 피해를 받은 품종이 50품종(17%)으로 제일 많았고 특히 20%이상의 패해협율을 보인 품종은 전체품종의 0.4%이었다. 3. 협착밀도에 의한 품종별 피해엽률조사에서 협착밀도가 낮은 품종이 높은 품종보다 피해협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개화시기와 착협시기인 4월과 5월의 기상관계와 피해협율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평균기온과 강우량과는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대(對)한 Ozone 가스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1. Ozone 가스에 대(對)한 수도생육시기별(水稻生育時期別)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ffects of Ozone Gas in Paddy Rice;1. Effects of Ozone Gas on Growth Stage of Rice)

  • 김복영;조재규;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3-128
    • /
    • 1982
  • 수도(水稻)(서광(曙光)벼)의 활착기(活着期), 분고최성기(分藁最盛期),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출수기(出穗期)때에 ozone가스 0.5ppm을 4시간(時間)씩 가스접촉실내(接觸室內)에서 접촉(接觸)시켜 가스접촉후(接觸後)에 나타나는 피해증상(被害症狀), 피해엽률(被害葉率), 엽록소함양(葉綠素含量)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zone 가스에 의(依)한 수도엽(水稻葉)의 피해증상(被害症狀)은 은백색(銀白色)의 미세(微細)한 반점(斑點)이 엽맥(葉脈)을 따라 발생(發生)되며, 적갈색(赤褐色)${\sim}$암갈색(暗褐色)의 반점(斑點)이 발생(發生)되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2) Ozone가스 접촉(接觸)에 의(依)한 수도(水稻)의 생육시기별 감수정도(生育時期別 減收程度)는 분고최성기(分藁最盛期)>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활착기(活着期)>출수기(出穗期)의 순(順)이었다. 3) Ozone가스 접촉(接觸)에 의(依)한 수도(水稻)의 생육시기별 피해엽률(生育時期別 被害葉率) 및 엽록소감소정도(葉綠素減少程度)는 분고최성기(分藁最盛期)>활착기(活着期)>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출수기(出穗期)의 순(順)이었다. 4) Ozone가스 접촉(接觸)으로 수도엽중(水稻葉中)의 실소함량(室素含量)이 감소(減少)되었고 도체엽중 실소함량(稻體葉中 室素含量)이 높은 시기(時期)에 피해(被害)가 컷다.

  • PDF

혹명나방 개체군의 수원지역 발생 패턴 및 몇가지 약제에 대한 반응 (The Occurrence of Rice Leaf-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Lepidoptera : Crambidae) in Suwon and its Responses to Insecticides)

  • 박홍현;조점래;박창규;김광호;고현관;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9-226
    • /
    • 2010
  • 연구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수원지역에서 혹명나방 발생과 피해 특성들 및 우리나라와 베트남에서 채집한 개체군들이 몇 가지 약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포장에서 채집한 유충들의 발육단계는 본 연구의 실내사육충을 대상으로 측정한 두폭과 체장자료를 통해 구분이 가능하였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벼 포장에서 조사된 혹명나방은 발생이 많거나 적은 해로 패턴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발생이 적은 해(2004년 및 2006년)에는 성충이 한 번의 발생 최성기(8월 하순)를 가졌고, 7월 하순의 피해주율이 10% 미만이었으며, 9월 동안에 피해엽률이 2% 수준이었다. 하지만 발생이 많은 해(2005년 및 2007년)에는 두 번의 성충 발생 최성기(8월 초순과 9월 중순)를 가졌고, 피해주율도 7월 하순에 약 30%에 달하였으며, 9월동안에 피해엽률이 15~30%로 경제적 피해수준을 넘었다. 특히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조사된 성충 밀도나 피해주율의 크기는 9월에 발생하는 피해규모와 밀접하게 정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혹명나방 성충의 발생 및 벼 피해에 관한 예찰정보는 벼 생육후기의 피해예측 및 방제적기 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우리나라와 베트남에서 채집한 혹명나방에 대한 약제반응은 두 지역 채집계통에서 모두 IGR계인 tebufenozide, methoxyfenozide나 유기인계인 chlorpyrifos-methyl, pyridaphenthion에는 매우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나, 칼탑계인 cartap에는 약제 감수성 정도가 다소 낮았다.

시설하우스내 수박 재배 작기별 작기별 해충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s of Insect Pests in Watermelon under Greenhouses as Affected by Cropping Season)

  • 문형철;김웅;최민경;권성환;신용규;김대향;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5-352
    • /
    • 2008
  • 전북 고창의 시설하우스에서 수박 재배 작기에 따른 해충의 시기별 발생 밀도를 2006년부터 2007년 까지 조사하였다. 촉성재배에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목화진딧물이었으며, 다발생기는 3월 중순과 4월 하순이었다. 반촉성재배에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목화진딧물과 응애류(점박이응애+차응애) 이었으며, 다발생시기는 6월 이었다. 억제재배에서는 목화진딧물, 응애류(점박이응애+차응애), 아메리카 잎굴파리, 목화바둑명나방의 발생과 피해가 많았다. 목화진딧물과 응애류는 9월에 발생량이 많았다. 아메리카잎굴파리는 9월 상순에 발생량이 많았다. 목화바둑명나방은 8월 중순부터 피해가 나타났으며, 9월 중순에 피해엽률이 79.4%로 가장 큰 피해를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