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민감도

Search Result 30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Unveiling the susceptibility of agricultural drought damages in Hoseo: A profound analysis on sensitivity towards impacts (호서 지역 내 농업가뭄 피해 사례들에 대한 심층분석: 피해 민감도를 중심으로)

  • Hoyoung Cha;Jongjin Baik;Jinwook Lee;Kihong Park;Chang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7-1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자료를 바탕으로 호서 지역 내 농업가뭄 피해 사례들을 심층분석하고, 당시 지원된 농업용수 공급량에 주목하여 실제 용수 공급에 영향을 미친 잠재적 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먼저, 농업가뭄 피해를 가뭄 당시 실제 공급된 농업용수량으로 정의하고, 피해 민감도라는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여 잠재적 영향 요인들과 농업용수 공급량 간의 지역별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농업 환경과 기상 조건 관련 인자들을 잠재적 영향 요인으로 규정하고, 연도별 도시면적당 농경지 면적 비율, 도시인구수 대비 농업종사자 비율, 전체 용수 이용량 대비 농업용수 비율, 월별 강수량, SPI(-3, -6, -9 및 -12)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인자들의 변화에 따른 실제 공급된 농업용수량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여 지역별 피해 민감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잠재적 영향 요인과 실제 공급한 농업용수의 전월대비 증감량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월별로 계산하였으며, 최대·최소 정규화를 통해 0부터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하였다. 앞서 언급한 월별 증감량의 비율을 바탕으로 4년간의 절대적 수치 변화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업 환경 관련 인자들 중 전체 용수 이용량 대비 농업용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피해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상 조건 관련 인자의 경우, SPI-9에 대한 피해 민감도가 가장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피해 민감도 산정 결과들이 도출된다면 농업가뭄 피해 시 농업용수 공급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f drought damage assessment based on cluster analysis (군집분석기반 가뭄 피해도 평가의 영향인자 민감도 분석)

  • Yu Jin Jung;Ho Yeon Choi;JinGyeong You;Byeong Heon On;Do Gue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5-43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국가면적이라 할 수 있는 국내에서도 가뭄과 홍수가 지역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등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 중 가뭄은 타 풍수해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무강우에 의해 발현되고, 피해가 발생할 경우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 다양한 지역의 용수사용특성에 따라 피해가 집중 및 가중되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가뭄피해도에 영향을 주는 영향인자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뭄 피해도"는 용수별 직간접 피해의 정도를 점수 또는 등급 등의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정의된다. 우선, 국가가뭄정보통계집(2018-2020)에서 제시된 지역별 가뭄피해정보자료와 용수사용특성을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문기훈(2022)의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최근 발행된 2021년의 피해정보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가뭄피해도 군집등급에 영향을 주는 과거 피해인자와 용수사용특성을 함수화하고, 지역별 불확실성을 반영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별 과거의 가뭄피해경험여부 및 용수사용특성의 변동에 따라 지역적 가뭄피해도 군집등급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eal-Time Risk Analysis of Heavy-Snow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nd Area (교통과 지역의 특성에 따른 대설의 실시간 피해 위험도 분석 연구)

  • KwangRim, Ha;YongCheol, Jung;JinYoung, Yoo;JunHee, L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6
    • /
    • pp.77-93
    • /
    • 2022
  • In this study, we present an algorithm that analyzes the risk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factors affected by direct and indirect damage from heavy-snow. Factors affected by heavy-snow damage by 29 regions are selected as influencing variables, and the concept of sensitivity is deriv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damage. A snow damage risk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machine learning (XGBoost) algorithm by setting weather conditions (snow cover, humidity, temperature) and sensitivit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risk deriv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dependent variables.

Different Photosynthetic Responses of Black Cherry (Prunus serotina) with Different Sensitivities to Ambient Ozone Concentrations under Natural Conditions (자연상태에서 대기 중 오존 농도에 상이한 민감성을 가진 Black Cherry(Prunus serotina)의 상이한 광합성 반응)

  • Yun, Myoung-Hui;Chevone, Boris 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0 no.4
    • /
    • pp.132-140
    • /
    • 2008
  • Two different sensitivity classes of black cherry (Prunus serotina) under the natural grow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assessed adjacent to Air Monitoring Station located at Horton research center in Giles County, Virginia, USA. Ambient ozone concentrations, leaf gas exchange, and visible foliar injury were measured on-site during the growing seasons of 2000, 2001, and 2002. Ambient ozone exposures were sufficient to induce typical foliar visible injury corresponding with the reduction in photosynthetic activities only in sensitive black cherr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creasing cumulative ozone concentration and percent reduction in maximum net photosynthetic rates ($Pn_{MAX}$) under saturating light conditions and in quantum yield for carbon reduction (${\Phi}CO_2$) of sensitive black cherry compared to tolerant black cherr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 content and percent leaf injury in sensitive black cherry. Furthermore, $Pn_{MAX}$ was inversely related to percent leaf injury.

Analysis of the Sensitivity and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 of the Urban Stream Using SWMM (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민감도 및 미래 유출특성 분석)

  • Hwang, Sung-Hwan;Lee, Bo-Ram;Yoon, Tae-Hyu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4-604
    • /
    • 2015
  •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보수 및 유수기능이 감소하였고,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국지성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기존 우수관망시스템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발생하는 도시유역의 홍수 피해는 대부분이 내수에 의한 침수 피해로 이러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천에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침수 위험 유역을 정확히 예측하여 사전 보강 및 예 경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잦은 침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민감도 및 미래 유출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자료 및 관거 자료, 2014년에 완공된 저류지 및 펌프시설 자료를 모두 적용하여 유역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모형을 설계하고 실측유량과 모형유량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최적화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도림천의 유출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인 강우량과 불투수율의 경향성을 반영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첨두유출량, 침수심, 침수면적, 홍수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강우량을 20% 감소시켰음에도 최대 침수심과 침수면적이 3.772m, 침수면적이 $5.027km^2$로 여전한 내수침수가 발생하고 있어 도림천 유역이 치수로 부터 취약한 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으로 강우를 산정하고 log형 회귀식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을 모의한 결과 2020년과 2030년의 최대침수심이 각각 4.9352m, 4.9954m로 현재의 최대 침수심(4.8093m)보다 평균 0.156m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와 미래의 홍수위와 여유고를 이용하여 제방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현재에도 전체구간이 안전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2030년으로 갈수록 안정단면은 평균 8.5% 감소하고 위험단면은 평균 17%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추후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 및 효과적인 대피소, 대피경로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men's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공군장병의 거부민감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효과)

  • Park, Won-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4
    • /
    • pp.353-361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oth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 method of screening soldiers at high risk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terventions for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data about anxiety, dep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as collected from 126 airmen in S city, South Korea.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which the rejection sensitivity, anxiety,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their interaction terms were hierarchically entered. The moderation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The specific interaction patterns in each of thes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examined. Finally, the importa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as a high-risk factor in army life and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Vulnerability Assessments of Climate Change on Flood Damage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 Jung, Il-Won;Lee, Byong-Ju;Kim, Kwang-Che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89-293
    • /
    • 2008
  • 현재 기후변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홍수피해는 더욱 증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이 측면에서 이러한 홍수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유역별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유연한 적응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유역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표를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을 민감도(sensitivity), 노출(exposure), 적응능력(adaptation)의 함수로 정의하고, 각 유역별 지표들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민감도와 노출정도가 클수록 기후변화에 대한 홍수피해에 취약하고, 적응능력이 클수록 취약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국내 139개 유역에 대해 상대적인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한 결과 과거 유역별 홍수 피해액의 분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상황에서의 홍수피해 취약성에 대해 평가한 결과 국내 유역의 홍수피해는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유역별 공간적인 취약성은 크게 변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업기술: 화산회토 감귤원에서 발생한 붕소 결핍증상과 응급대책

  • Han, Seung-Gap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4
    • /
    • pp.42-42
    • /
    • 2011
  • 감귤재배 시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분 중의 하나인 붕소는 잎에서 광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진 당분을 과실, 뿌리 및 줄기 등으로 이동하도록 돕는다. 하지만 적은 양으로 민감하게 피해현상이 발생하므로 일반 온주밀감재배에는 붕소를 별도로 거의 시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신품종이 보급되면서 특이 품종에서 붕소의 결핍증상이 쉽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사례와 결핍 시 방지대책과 과잉으로 사용 시 나타나는 피해증상을 조사했다.

  • PDF

Pollution Risk Assessment of Oil Spill Accident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 Lee, Moon-Jin;Kim, Hye-Jin;Hwang, Ho-Ji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9-14
    • /
    • 2007
  • 해양유류오염사고 유출유 피해 위험도 산정을 위한 평가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위해도 평가에서는 과거 사고 사례에 근거하여 선정한 사고 해역에 대하여 여러 경우의 유출유 확산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 규모 둥을 산정한다.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규모는 환경민감자원 현황에 근거한 해역별 해안 및 어장 양식장을 대상으로 산정하며, 각 해역별 피해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해역별 위해도를 산정한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피해 위험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피해 위험 예측과 연계하여 보다 타당성 있는 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