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판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Intra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econstructed with Radial Forearm Flap (전완부 유리 피판으로 재건한 구강내 편평상피암환자의 예후분석)

  • Park Myong-Chul;Soutar David S.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0 no.1
    • /
    • pp.53-62
    • /
    • 1994
  • 미세외과 수술에 의한 유리 피판술의 도입은 두경부 종양제거후 재건에 괄목할 만한 진보를 가져왔다. 특히 광범위한 종양의 제거가 필요하며 인근의 조직으로 수복이 어렵고 기능 및 외모상의 재건이 문제가 되는 경우 유리 피판은 절대적인 적응이 된다. 구강은 언어구사 와 연하(deglutition)기능을 담당하므로 재건을 위해서는 얇고 부드러운 조직으로 수복하여 주어야 한다. 전완부 유리피판은 혈관경의 위치가 대부분 일정하고 종양 제거후 결손의 모양에 따라 피판을 계획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강암 제거후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유리피판이다. 저자는 1982년 부터 1988년까지 영국 글라스고우 소재 서부 스코틀랜드 성형 및 구강외과 병원에서 구강의 편평상피암환자로 암종제거 후, 전완부 피판에 의한 재건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151명의 치료결과(재발율 및 생존율)를 분석하였다. 절제연의 종양조직의 양성(P<0.05), 경부 임파절의 extracapsular node spread여부(P<0.001), 경부 임파절 곽청술의 종류(P<0.05) 등은 재발율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에 종양의 구강내 위치, 하악골의 침범여부등은 통계적의의가 없었다. 생존율에 관하여는 종양의 구강내 위치 (P<0.05), 종양절제연 종양여부(P<0.005), 하악골의 침범여부(P<0.05), 경부 임파절의 extracapsular node spread여부(P<0.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요소로 밝혀졌다. 젊은 나이의 환자들에서(50세이하) 특징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하악골절제방법의 차이는 환자의 생존예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Esophagus and Pharynx reconstruction for head & Neck cancer (두경부암종에서 식도와 인두의 재건)

  • Son, Jin-Ho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11 no.2 s.22
    • /
    • pp.10-15
    • /
    • 2005
  • 식도와 인두 재건은 연하작용을 원활하게하고 발선기능을 보존하면서 위험부담이 가장 절은 술식을 선택하는 것이 원칙이다. 술식의 선택에 고려되어야 할 주요 인자는 결손부위의 크기, 창상의 상태, 술전 방사선치료 여부, 환자의 전신상태 등이다. 부분인두결손에는 유경근피판(pedicled myocutaneous flap)이나 유리피판이 적합하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는 유리피판이 유리하다. 흉곽입구 상부에 국한된 인두와 식도의 전체둘레결손에는 전완부, 외측 대퇴부, 공장의 유리피판이 좋다. 전완부는 피판이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여부에 합병증이나 미용상의 문제가 있고 외측 대퇴부는 공여부의 문제는 매우 적으나 피판의 사용이 전완부에 비하여 약간 제한적이다. 공장은 허혈에 약하고 공여부 합병증이 다른 피판에 비해 불리하다. 저자의 경험으로는 흉곽상부에 국한된 결손의 재건에 환자가 비만하거나 대퇴부에 털이 많은 경우는 전완부 유리피판이 좋고 그렇지 않으면 외측 대퇴부 유리피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흉곽입구 하방까지 연장된 결손이나 식도전적출술로 인한 결손에는 위전위술이 가장 적합하다. 방사선치료 등으로 창상에 혈관보호가 요구되는 경우는 대흉근피판이 유용하다. 앞으로 새로운 재건술의 개발이 이어지겠지만 모든 환자에게 맞는 이상적인 재건술은 없다. 재건술마다의 장단점과 제약점을 파악하고 환자의 조건에 따라 가장 적절한 재건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토끼 기관에 이식한 혈행성 연골막-구강점막 복합피판의 형태학적 연구

  • 김은서;홍원표;이정권;정유삼;최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6.04a
    • /
    • pp.88-88
    • /
    • 1996
  • 선천성 또는 외상등에 의한 후천성 기도 협착의 치료는 아직도 어려운 문제중 하나로서 해결하여야 할 많은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안정되고 유연한 구조적인 골격과 함께 호흡성상피로 피복되는 기관점막은 기관기능 보존에 있어 필수적 조건이다. 저자들은 현재까지 보고자에 따라 견해 차이가 있는, 이식연골막 및 이식점막의 운명에 대하여 시기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즉 저자들은 혈행성 복합피판의 형태로 이식한 점막에 일어나는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혈행이 유지되지 않는 유리이식(free graft)으로 구성된 복합피판을 이용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이식 초기에 일어나는, 이식점막과 결손부 주변조직사이의 재생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토끼 40마리를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20마리씩으로 하였으며 술후 각각 2주, 4주, 6주 및 8주에 기관에 이식한 피판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섬모의 재생상태는 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각 군당 4마리의 토끼를 술 후 1일과 2일에 Brdu-Anti Brdu로 염색하여 결손된 점막의 주변부와 이식한 점막사이의 재생능이 복합피판의 구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1. 혈행성의 복합피판으로 구성된 구강점막은 원주상피로 화생(metaplasia)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리 연골막에 부착한 구강점막에서는 괴사가 진행되면서 주위의 점막에서 성장해 들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2. Brdu-Anti Brdu 염색의 결과, 복합피판의 구성에 따라 이식점막과 주위 기관상피의 염색양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Dorsalis Pedis Tendocutaneous Delayed Arterialized Venous Flap in Hand Reconstruction (지연처치후 동맥화된 족배 정맥 건피판을 이용한 수부의 재건)

  • Cho, Byung-Chae;Lee, Dong-Hoon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v.8 no.1
    • /
    • pp.56-63
    • /
    • 1999
  • We report two patients whose acute soft tissue and tendon defects in the hand were treated by the dorsalis pedis tendocutaneous delayed arterialized venous flap between 1994 and 1997. The surviving surface area was 100% in both patients. The flap size was $10{\times}10cm\;and\;6{\times}6cm$. At two weeks postoperatively, active flextion and passive extension commenced, and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an additional 5 weeks. Flaps showed a similar color match and skin texture compared with the normal skin of the hand. Advantages of the tendocutaneous delayed arterialized venous flap are developing a larger flap than can be obtained with pure venous flap or arterialized venous flap, increasing survival rate of the arterialized venous flap which permits using a composite flap, preservation of main artery of the donor site, taking thin non-bulky tissue and easy elevation without deep dissection. The disadvantages are the requirement of a two stage operation, donor site scarring and weak extension of the toe.

  • PDF

Reconstruction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족관절 및 족부에 발생한 연부 조직 악성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재건술)

  • Kwon, Young-Ho;Cho, Yool;Kim, Jae-Do;Chung, So-Hak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4 no.1
    • /
    • pp.33-43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usability of reconstructive methods, and how to select flap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Materials and Methods: The 15 cases shown in the 14 patients (In case of a male patient,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two times due to local recurrence.) with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after wide excision from March 2000 until March 2007. Oncologic, surgical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used were anterolateral thigh perforator flap (5cases), Reversed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4 cases), dorsalis pedis flap (3 cases), local flap (3cases). The defect, mean size was $5.5{\times}5.7\;cm$, was reconstructed with rotation flap or free flap, mean size was $5.9{\times}6.0\;cm$, skin graft for remnant. The mean operation time was 310 minutes (120~540 minutes); it took 256 minutes to reconstruct by rotation flap, and 420 minutes by free flap. As oncologic results, 7 patients were no evidence of disease, 6 patients were alive with disease and 1 patient was expired by pulmonary metastasis at the time of the last follow-up. 4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and 4 pateints had distant metastases. As functional results, 14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average score of 68.8% using the system of th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Conclusion: The dorsalis pedis and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rotation flap which is easy procedure, has less complication and takes short operation time, can be primarily considered to reconstruct a small defect. And the anterolateral thigh perforator flap is suitable for coverage of a large defects after wide excision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in ankle and foot.

  • PDF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Defects Using Lateral Thigh Free Flap (외측대퇴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결손의 재건)

  • Lee, Nae-Ho;Yang, Kyung-Moo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v.7 no.2
    • /
    • pp.146-156
    • /
    • 1998
  • Microvascular surgery has been widely used clinically for over 30 years. Although many types of free skin and myocutaneous flap are being used at present, surgeons are still looking for new flaps to suit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different recipient sites, to reduce the deformity at the donor site, to ease the management of the flap and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hose operations. The lateral thigh free flap was designed and reported simultaneously with the medial thigh free flap by Baek in 1983. The flap, based on the third perforator of the profunda femoris artery. is designed on the posterolateral aspect of the distal thigh. Clinically, the vascular variations and the locations of perforators of this system can be determined preoperatively with simple angiograms and Dopper audiometry. The lateral thigh free flap is suitable for reconstruction of defects in an oral floor with tongue and esophageal deficits, scalp defects with dural defects, and large full thickness defects of the lip. The advantages of this flap are safe elevation, a long vascular pedicles with a large lumen, skin that is generally thin, and good pliability. Furthermore, the skin territory is very wide and long. The donor site is hidden and therefore more acceptable to the patient. The disadvantage of this flap is that the anatomy of the pedicle vessels has irregular derivation from the main vessel. We had reconstructed lateral thigh free flap to the nine patients from January, 1997 to July, 1998 and got satisfactory results. In this paper we illustrate the arterial anatomy of the thigh and usefulness of this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 PDF

Reconstruction of Pharyngoesophageal Defects Using free Flaps (유리 피판을 이용한 인두식도 결손의 재건)

  • Moon, Ji-Hyun;Lee, Nae-Ho;Yang, Kyung-Moo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v.8 no.2
    • /
    • pp.154-162
    • /
    • 1999
  • The laryngopharyngectomy for tumor ablation i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pharyngoesophageal reconstruction in our country. Most of these cases are advanced laryngeal cancer that has spread beyond the larynx, 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Such patients are obviously unable to breathe, swallow, or speak in the normal manner. The ideal reconstruction would restore normal anatomy, permitting patients to breathe and swallow without aspiration, and would not require a permanent tracheostomy.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eal defect traditionally been carried out with tubed local random flap, deltopectoral or musculocutaneous flap. Another approach is the pedicled enteric flap. But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pharyngoesophagus, using either the free jejunal or the tubed radial forearm flap, have now become the preferred technique. Among them, we used jejunal free flap in 39 cases, tubed radial forearm free flap in 5 cases, patched radial forearm free flap in 2 cases and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island flap in 2 cases from December 1990 to Febrary 1999. In this paper we illustrated that both forearm and jejunal free flap is a usful alternative in reconstruction of hypo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 PDF

Unexpected Pulmonary Embolism Following Microvascular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재건 후 발생한 폐색전증 2예 및 문헌고찰)

  • Choi, Eun Chan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0 no.1
    • /
    • pp.20-22
    • /
    • 2014
  •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재건후 폐색전은 드물게 발생한다. 수술후 예상하기 힘들고 갑작스럽게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가 아주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즉각적인 발견과 적절한 치료만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재건후 발생한 폐색전증 2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요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한 연구개 결손부 재건후 기능평가

  • 박해섭;김민식;선동일;유우정;김형태;박영학;조승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8-188
    • /
    • 1998
  • 구강후부암은 흔히 연구개, 설근부 등을 침범하여 연구개의 절제가 동반되고 이에 따른 발성, 연하 등에 장애를 남기게 된다. 이의 재건을 위해 다양한 피판술이 고안되고 있으며 그 중 요전완유리피판은 피판이 얇고 유연하여 입체적 형태의 재건이 용이하며 감각신경을 포함하여 재건할 수 있고 장장근인대를 포함시킬 경우 연구개의 역동적인 기능까지 재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