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셔리나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Spectrum of CT Findings of COVID-19 Pneumonia: Acute Alveolar Insult and Organizing Pneumonia as Different Phases of Lung Injury and Repair (COVID-19 폐렴의 다양한 CT 영상 소견: 급성 폐포 손상과 기질화 폐렴)

  • Yun Su Kim;Ung Rae Kang;Young Hwa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2 no.2
    • /
    • pp.359-370
    • /
    • 2021
  • Purpose To analyze the findings and serial changes in chest CT lesions in 123 symptomatic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 to April 7, 2020, a total of 123 confirmed COVID-19 patients (male, 44; female, 79; mean age, 59.2 ± 18.6)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 total of 234 CT scans were reviewed for the following patterns: acute alveolar insult (AAI) patterns: ground-glass opacity (GGO), crazy-paving appearance, mixed pattern, and consolidation; organizing pneumonia (OP) patterns: perilobular patterns, band opacity, curvilinear opacity, reversed halo opacity, and small nodular consolidation; resolving patterns: pure GGO, remnant curvilinear, small nodular consolidation, and serial changes of lung abnormalities. We compared the proportions of AAI pattern, OP pattern, or resolving pattern with time progression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tterns and disease severity using Pearson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Predominant CT patterns were AAI pattern (87%) in the early hospital period group (0-10 day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OP pattern (45.7%) in the later hospital period group (after 10 days), and resolving pattern in discharge and follow-up group (47.2% and 84.8%,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s of predominant CT patterns with time prog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Pearson's chi-square te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atterns and disease severity (p = 0.055, Fisher's exact test). No fibrous changes in the lesions were observed on follow-up CT scans. Conclusion The serial CT scans of COVID-19 patients showed the spectrum of COVID pneumonia CT manifestations as different phases of lung injury and repair.

Feasibility study of indirect coal liquefaction process (석탄 간접액화 공정의 경제성 분석)

  • Kim, Hak-Joo;Jung, Heon;Lee, Ho-Tae;Yang, Jung-Il;Chun, Dong-Hyun;Yang, Jung-Hoon;Park, Ji-Chan;Kim, Byung-K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6.2-76.2
    • /
    • 2011
  • 석탄으로부터 합성석유를 생산하는 상용기술을 도입하여 건설하고 이와 더불어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국산화 기술 개발을 병행하여 향후 고유가 시대를 대비한 국가 에너지 안보 확립과 국내 기술 개발의 가속화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타당성 조사는 3종류의 석탄(호주 Wyong탄, 인도네시아 NTC탄, 인도네시아 KBB탄)으로부터 가스화에 의하여 합성석유스를 생산하는 공정에 대한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 FS)를 Class 5(하한 -50~-20%, 상한 30~100%)의 정확도로 수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플랜트의 규모는 합성석유 기준으로 20,000배럴/일이다. 플랜트의 건설을 위해서 광양제철소 슬래그처리장 내 12만평 부지에 조성 중인 포스코 SNG 생산공장 부지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석탄의 종류에 따라서 가스화기의 종류 및 성능이 결정된다. 본 타당성 조사 연구에서 선정된 3종류의 석탄의 조성, 발열량, 회분 함량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석탄에 적합한 현존하는 상용급 가스화기를 선정하였다. 해당 석탄이 가스화기 종류에 따라 적절한 전처리 과정(건조, 분쇄, 슬러리화)을 거친 후 가스화기에 공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석탄의 원소분석 조성, 발열량, 회분함량, 회분조성, 회 용융점 등의 변수에 따라서 각각 해당 가스화기에서 가스화되었을 때의 생성되는 합성가스의 조건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얻었다. 가스화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합성석유 및 합성천연가스 생산을 위한 공정의 물질수지식 및 에너지수지식이 계산되었으며 이로부터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생성물과 폐기물에 대한 양이 결정되고 이를 처리하는 방안 등도 제시되었다. 실증시설은 20,000배럴/일 규모의 CTL 및 전기 병산 시설이 적합하다. 더 큰 규모 공장은 투자비가 너무 커서 유가 또는 석탄가 변동에 따라 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변하여 위험도가 큰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CTL 공장에 전기 병산이 추천되는 이유는 산소생산공장(APU), 압축 등 석탄전환공장에는 자체적인 전기수요가 막대하여 따로 스팀터빈용 발전소를 운영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대체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즉, 석탄가스화에 의해 기름을 최대한 만들고 미반응가스는 가스터빈 및 스팀터빈의 복합발전에 의해 고효율로 전기를 생산하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한 전기를 생산하여 자체소비 전력을 충당하고 남는 전기는 판매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