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미생물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19초

세포조직배양법을 이용한 쥐 인공피부의 개발 (Development of Dermal Equivalent Using Mouse Fibroblasts)

  • 양은경;이재호;최태부;박정극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1-391
    • /
    • 1993
  • As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skin, fibroblasts were cultured in the collagen matrices to make a living dermal equivalent. Mouse embryonic fibroblasts were incorporated into a collagen matrices on plastic dishes containing concentrated DMEM culture media supplemented with sodium bicarbonate, hepes, antibiotics and fetal bovine serum. As the growth stimulation components, glycosaminoglycans were added: hyaluronic acid, chondroitin sulfate, heparin, chitosan were incorporated into the media at a concentration of either 1% or 5% w/w/ to collag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development of dermal equivalent. After the few days of incubation, gel matrics were contracted and firm dermal equivalent were formed. And the keratinocytes were cultured on top of dermal equivalent and make a three dimensional artificial skin tissue.

  • PDF

생물막 생성 Staphylococcus xylosus S170 균주의 유전체 분석연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iofilm-producing strain Staphylococcus xylosus S170)

  • 홍지수;노은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7-168
    • /
    • 2018
  • Staphylococcus xylosus는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피부에 존재하며 식품가공설비와 의료기기 등에서도 발견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한 생물막 생성 특성을 가지는 Staphylococcus xylosus S170의 전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여 보고한다. 이 유전체는 2,910,005 bp 크기, 2,674개의 단백질 코딩 서열과 22개의 rRNA, 57개의 tRNA유전자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유전체 정보는 생물막 관련 유전자 분석으로 생물막 형성 기작을 좀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두 발효물이 인간 유래 피부세포의 증식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Soybean on the Proliferation and Growth in HaCaT and Fibroblast Cell)

  • 김은주;한명륜;이소영;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26-335
    • /
    • 2021
  • 본 연구는 대두 단백질을 효소(pepsin) 분해 및 미생물(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를 통해 생성된 저분자 생리활성 펩티드로 제조하여 인간 유래 피부세포에서 세포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천연유래 기능성 미용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두발효물을 제조하였고, 대두발효물에 대해 LC-MS 분석을 하였으며, WST-1 assay의 방법을 통해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0~2,000 ㎍/mL의 모든 농도 구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800 ㎍/mL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160~180 %,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F(epidermal growth factor)에 비해 120 %에서는 세포증식 효과가 나타나 피부노화 억제 및 피부세포 재생 소재로서의 뛰어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두발효물과 그 분획물의 상처 치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이동 실험을 수행한 결과, 대두발효물과 분핵물 중 F4와 F5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세포이동능을 보여주었고, EGF와는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대두발효물과 분핵물(F4 and F5)의 피부개선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나 피부미용 소재 및 피부 질환 치료의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생물전환된 가시오가피-진피 혼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Mixed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d Citrus unshiu Fermented with Bovista plumbea for Inner Beauty)

  • 김은정;김소연;강수연;유영춘;윤택준;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55-5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이너뷰티용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물전환 가시오가피-진피 혼합추출물(B-MEAC)의 항산화 활성, 엘라스타제 억제활성 및 피부보습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B-MEAC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radical을 농도의존적으로 소거하여 SC50이 156.1±0.82 ㎍/ml로 나타났다. 또한, 엘라스타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B-MEAC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경구투여한 B-MEAC가 마우스 피부 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수분량과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건조유도 된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 수분량은 증가하고(p<0.001), 경피수분손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건조유도 된 마우스 피부의 교원섬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해 관찰한 결과 B-MEAC를 투여한 군에서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푸른색으로 보다 진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건조유도 된 마우스 피부의 보습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습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Western blot 기법으로 확인한 결과 B-MEAC를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은 감소하였고, COL1A1, HAS2, filaggrin, AQP3 단백질 발현량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B-MEAC의 보습효과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MP-1 발현 감소,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보습 관련 단백질인 HAS2 및 AQP3 발현 증가, 피부 장벽기능의 중요인자인 filaggrin 발현 증가를 통한 수분량 증가와 TEWL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icrobiota on Gastrointestinal Cancer and Anticancer Therapy)

  • 김사랑;이정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1-410
    • /
    • 2022
  • 인간 미생물 균총은 장, 구강, 피부와 같이 체내외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균류,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집단이다. 16s ribosomal RNA에 대한 대사체 분석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개발과 함께, 살아있는 유기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 균총이 숙주의 대사 및 면역과정과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생균(commensal microbiota)이라 불리는 미생물 균총의 특정 박테리아가 필수 영양소를 생성하거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여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비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의 조성을 의미하는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에 의해 체내 항상성 유지를 방해하여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최근, 미생물 균총 중에서도 구강과 장내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암의 발암과정과 항암제의 치료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여러 논문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미생물 균총-암-면역계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과 미생물 균총 기반 발암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은 암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리뷰는 미생물 균총의 박테리아가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논문들을 요약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제로써 미생물 균총의 잠재력과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목질분해균에 의한 인피섬유의 미생물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Decomposition of Bast Fibers by Wood Rot Fungi)

  • 윤승락;최인규;이재원;김재경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6-11
    • /
    • 2001
  • 한지의 원료가 되는 닥섬유의 펄프화를 위해 인피부에 목질 분해균을 처리하여 인피섬유의 단섬유화를 위한 미생물의 분해특성과 처리시간별 인피섬유의 분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판막버섯이나 구름버섯으로 20일간 처리시 중량감소율이 약 50%에 이르러 오히려 이용 가능한 섬유소의 분해도 함께 초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꽃구름버섯이나 벽돌빛뿌리 버섯은 인피섬유의 제일 외피에 존재하는 흑청색 부분을 잘 본해시키고 섬유소 손상을 적게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꽃구름버섯은 처리 10일째가지 78.9%의 셀룰로오스 함량을 유지하고, 리그닌은 7.2%를 나타내어 제일 양호한 분해 양상을 보였다. 현미경적 관찰의 결과에서는 느타리버섯의 경우 처리 30일부터 인피부의 섬유가 분리되어 단섬유화 되며, 50일간 장기간 처리하여도 섬유표면의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Aeromonas veronii 인공감염에 의한 양식 가물치 궤양증의 병리조직학적 특성 (Histo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Haemorrhagic Ulcer in Cultivated Snakehead Channa argus Artificially Infected with Aeromonas veronii)

  • 이훈구;이택열;김봉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3-122
    • /
    • 1993
  • 본 논문은 양식장에서 자연감염된 궤양성 가물치로부터 우점종으로 분리된 Aeromonas veronii 를 건강한 가물치에 접종한 후, 어체 각 기관의 병변 진행사항을 조직학적 측면에서 연구한 것이다. 양식장내에서 자연 간염된 어체에서의 병변과정은 관찰할 수 없었지만, Aeromonas veronii 로 인공감염시킨 어체의 병변은 자연상태에서 감염된 병변과 매우 유사하였다. 인공감염시킨 어체는 감염후 2일째부터 피부를 비롯하여 아가미, 소화관 조직에 뚜렷한 조직괴사가 식별되었고, 5일 후에는 신장, 사망 직전인 9일 후에는 간과 비장까지 조직의 괴사내지는 세포응축을 나타냈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가물치는 피부손상을 비롯하여 호흡, 소화흡수, 배설 등 영양대사의 저해를 수반하면서 감염후 9일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감염 어체에서 우점종으로 분리된 균주, Aeromonas veronii 는 가물치의 출혈성 궤양증을 유발하는 주된 균증의 하나로 판단된다.

  • PDF

양식 가물치 궤양병의 병리 연구 (Pathology of Ulcerous Disease in Cultivated Snakehead, Channa argus)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4-170
    • /
    • 1992
  • 본 연구는 한국산 양식 가물치에 큰 피해를 주는 출혈성 궤양증의 원인과 병리를 연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물치의 출혈성 궤양증은 그 원인이 세균성이었고 궤양 및 장기로부터 분리된 Aeromonas veronii 가 주원인균이었다. A veronii 를 건강한 가물치의 피하에 인공 접종한 결과 양식 가물치에서 관찰된 병증과 유사한 궤양을 유발시켰다. 초기 증세는 주사부위를 중심으로 피부에 붉은 반점이 나타났고, 점차 확대되면서 피부가 탈락되고 출혈이 수반되었다. 곧이여 근육괴사가 진행되어 조사된 반대쪽에 구멍이 뚫렸다. $10^{5}$/CFU/0.25 ml 의 세균은 복강주사시 72시간이내에 시험개체의 50%가 치사되었다. 본 균은 cephalothin, chlorampenicol, gentamicin, tetracyline 등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편백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항진균 및 항산화 활성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Chamaecyparis obtuse)

  • 서영준;이재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5-308
    • /
    • 2012
  • 본 연구는 편백나무 건조 중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응축수에 대해 항진균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응축수는 hexane과 ethyl acetate로 각각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의 농도 100-500 mg/L에서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진균 효과도 증가하였으며 500 mg/L에서는 모든 피부사상균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추출용매에 따라서는 hexane으로 추출하였을 경우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높았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9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25 mg/L 이하의 농도에서는 hexane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각각의 추출물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hexane 추출물의 주요 구성성분은 torreyol, alpha-cadinol, tau-cadinol이며, ethyl acetate 추출물의 주요 구성성분은 alpha-amorphene, alpha-cadinol, gamma-cadinene으로 나타났다.

고삼 추출액를 이용한 염색 면포의 염색성와 피부 미생물 억제효과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tton Fabric Dyed with Sophora Radix Extracts on Skin Microorganisms)

  • 박선영;남윤자;김동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464-472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tton fabrics dyed with Sophora Radix extracts according to various mordants. Dyes were extracted from Sophora Radix using ethanol. Then, cotton fabrics were dyed with extracts two times by post-mordanting method in which the extract was 60% (owf, the mordant was 3% (owf), L.R was 1:20, the temperature was 60~7$0^{\circ}C$, the time of dyeing was 60min., and the time of mordanting was 60min.. The dyeability was evaluated by surface color and color fastness. The skin microorganism was evaluated on S. sureus, B. subtilis, S. epidermidis, P. acnes, P. aeruginosa, E. coli, A. niger, C. albicans and T. mentagrophy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mordants were treated, surface color was 3.3Y to 0.1 GY in H (hue) value which indicated greenish yellow to yellow 2. The color fastness to perspiration, dry-cleaning, rubbing, and washing stain fabric showed 4~5 degree. The color fastness to light was improved to 4 degree by treatment of mordants.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was 2 degree which was somewhat poor. 3. Cotton dyed with ethanol extracts was excellent on S. aureus, B. subtilis, S. epidermidis and p. antis. But that showed poor antibacterial activities on P. aeruginosa and E. coli such as gram negative baterials 4. Antibacterial activity of cotton fabrics dyed didn't be improved by treatment of mordant 5. Antifungal activity of cotton dyed with ethanol extracts was excellent on T. mentagrophytes. Especially, on T. mentagrophytes there was no growth of fungus during 72 hours in cotton dyed mordanting with SnCl$_2$.$_2$$H_2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