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도

Search Result 6,839,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 Study on Piezocone Test using a Calibration Chamber (Calibration Chamber를 이용한 피에조콘 시험에 관한 실험연구)

  • Kim, Dae-Kyu;Lee, W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3
    • /
    • pp.99-106
    • /
    • 2000
  • 피에조콘 관입 및 소산 시험이 Calibration Chamber 및 미니 피에조콘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은 정규압밀 및 과압밀 점토에 대하여 정지토압 상태에서 실시되었으며 UI (filter element at cone tip), U2 (filter element above cone base) 두 종류의 피에조콘이 사용되었고 0.3cm/sec, 0.6cm/sec의 관입속도가 적용되었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소산시험 초기 간극수압의 급격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관입속도, filter element 위치, 과압밀비가 피에조콘 관입 및 소산시험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입도분포시험을 실시하여 관입시험 전후의 입도분포 치이를 고찰하였다.

  • PDF

Design of a Motion Detector Using Edge Detection (에지 검출을 이용한 움직임 검출기 설계)

  • Lee, Seung-Joon;Kwon, Byong-Heon;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1229-123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조명의 변화 및 피사체의 움직임 특성을 이용한 움직임 검출방식을 제안한다. 피사체의 움직임만을 검출하기 위해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간의 차이 정보 그리고 현재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간의 차이 정보 및 현재 프레임의 피사체의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와 프레임간의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 내의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판단한다. 제안된 방식에 의한 움직임 검출은 조명의 변화와 같은 영상 변화를 피사체의 움직임으로 보던 기존 알고리즘보다 더 정확한 움직임 검출을 할 수 있음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An Adaptive Proximity Route Selection Scheme in DHT-Based Peer-to-Peer Systems (DHT기반 P2P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근접 경로 선택 기법)

  • 송지영;박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87-189
    • /
    • 2004
  • 피어-투-피어 시스템에서는 한 홉(hop) 떨어진 두 피어간의 네트워크 상 거리는, 이들 피어들이 서로 다른 대륙간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클 수 있다. 그러나 검색 질의 메시지를 전달할 다음 피어를 선택하는 기존의 방법은 네트워크의 근접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목적 피어까지의 홉 수를 최대로 줄이는 피어를 선택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근접성을 고려하여 동적으로 다음 라우팅 피어를 선택하는 새로운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 DHT 방식 시스템인 Chord를 중심으로, 검색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적 근접 경로 선택 기법을 제시한다. 본 기법에서는 동적인 P2P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지수적 최근-가중치 평균을 통해 예측된 지연시간을 바탕으로 쿼리를 전달할 다음 피어를 선택한다.

  • PDF

Estim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Using Piezocone Penetration Test (피에조콘 관입 시험을 이용한 투수계수 산정기법 연구)

  • 송정락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2
    • /
    • pp.31-3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수정 Cam Clay 모델과 혼합체 커플링 이론(coupled theory of mixtures)을 이용하여 피에조콘 관입시험을 해석하여 지반의 투수계수와 과잉간극수압의 정량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해석 결과는 시험결과들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피에조콘 관립 시험시 관측된 과잉간극수압은 지반의 투수계수가 $10^{-9}$m/sec에서 $10^{-6}$m/sec의 범위에서는 투수계수에 따라 피에조콘 관립 시험시 관측된 과잉간극수압이 현저하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에조콘 관입시험시 관측한 과잉간극수압을 이용하여 지반의 투수계수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반의 투수계수가 $10^{-9}$m/sec 이하에서는 지반이 거의 완전 비배수 상태에 가까운 거동을 나타내면, 투수계수가 $10^{-6}$m/sec 이상에서는 거의 완전 배수상태에 가까운 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Restoration Measures of Vegetation for Devastated Ridge Line Area in National Park, Korea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 식생복원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승준;오구균;오장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69-78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훼손지에서 식생복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야생풀포기심기,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을 고려하여 입지환경이 다른 2개 대상지에 실험구를 설치한 후 4년(1997년~2000년) 동안 식생피복도와 종다양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신림지대와 초원지대에서의 복원실험은 야생풀포기이식, 개량토포설, 환경피해도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으나, 야생풀포기이식 처리수준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국립공원 능선부 훼손지의 식생복원 실험 결과 토양이 습한 산림지대에서는 야생풀포기이식 15%피복 처리수준에서 2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고, 종다양성은 3년만에 복원되었다. 또한 무처리구에서 3년안에 식생피복이 이루어졌으나,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바람이 많고, 토양침식이 심한 능선부 초원지대에서는 3년후에 야행풀포기이식과 30% 피복 처리수준에서 식생피복이 양호하게 이루어졌으며, 종다양성은 복원되지 않았다.

  • PDF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Association with Subcutaneous Metastasis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피하전이를 일으킨 폐 유상피 혈관내피종)

  • 이해영;조성호;변정훈;김종인;박진경;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12
    • /
    • pp.1025-1028
    • /
    • 2004
  •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HE) is a very rare malignant tumor that is pathologically benign tumor originating from endothelial cell but clinically presents metastasis and recurrence. A 29-year-old asymptomatic man, preoperatively diagnosed as lung cancer in the left lower lung, underwent a lobectomy, a wedge lung resection of left upper lung, and partial resection of diaphragm. Left lower lobar lesion was confirmed as pulmonary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but the lesions of the left upper lung and diaphragm were remained calcified by spontaneous regression of HE. We report a case of subcutaneous metastasis that occurred two times at 10 months and 19 months after previous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EH.

북미 커뮤니티가든의 공간구성 특성 고찰 - 시애틀 피패치(P-Patch)를 중심으로 -

  • Kim, Yu-Na;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72-75
    • /
    • 2017
  • 도시농업 및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편승하여 근래 도시의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이 주목받고 있다. 북미의 커뮤니티가든은 농작물 생산 위주의 개인텃밭을 포괄한 지역사회의 구성원과 함께 만들어가는 오픈스페이스의 형태로, 화훼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가든의 발상지인 북미 중에서도 가장 선진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시의 피패치(P-Patch)를 대상으로, 85개의 현장 전수조사를 통하여 공간설계 및 디자인요소를 추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애틀 피패치의 일반적인 디자인 구성요소는 기반시설, 지원시설, 휴게시설, 특수시설, 친환경시설 등 다섯 가지 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지원시설로는 공구함(Tool Shed)이나 수전시설(Spigot)이, 친환경시설로는 도마(Cutting Board)나 퇴비함(Compost Bin)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둘째, 피패치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적 특징으로는 이용자 수요 및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정원 설계를 들 수 있다. 셋째, 피패치는 다목적형 기능을 겸비한 복합적 공공장소로서 공공의 제도적 지원과 시민운동을 연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이용자, 코디네이터, 운영진, 전문가,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등)와의 파트너십 구축, 다양한 재원 조달 방안 모색,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 PDF

CORBA/JAVA Based Distributed Object Composer for M/VC Applications (CORBA/JAVA 기반 분산 M/VC 응용 프로그램의 조립식 작성기)

  • 양유진;유은자;이미은;음두헌;최성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608-610
    • /
    • 1998
  • 분산 M/VC 응용 프로그램의 조립식 작성기, DOC(Distributed Object Composer)는 M/VC(Model/View.Controller) 모델 기반 실시간 클라이언트/서버 응용의 신속한 개발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DOC를 이용한 분산 M/VC 응용 프로그램의 조립식 작성 과정과 함께 그 구현을 소개한다. DOC는 개방화 및 표준화를 주도하는 CORBA 미들웨어를 기반으로 하여, 이질적인 통신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객체간의 네트워크 투과성을 제공하고, 분산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패턴을 추상화하여 조립식 분산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분산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하기 위해 자바의 관찰자/피관찰자(Observer/Observable) 패턴을 분산 관찰자/피관찰자 패턴으로 확장하여, serverDOC와 clientDOC로 구성된 DOC의 구현에 사용한다. 분산 피관찰자는 M/VC의 모델에 해당하고, 분산 관찰자는 뷰.콘트롤러에 해당한다. 개발자는 분산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필요한 관찰자/피관찰자 객체들을 생성하여 로컬상의 DOC에 조립식으로 연결하기만 하면 피관찰자의 상태 변화는 곧 관찰자에게 전달되고, 관찰자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은 피관찰자에게 전달되어 반영된다. DOC를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은 구성 객체들을 DOC에 plug-and-play 방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DOC는 분산 환경하의 컴포넌트 재사용성을 개선하고, 분산 응용의 생산성을 높인다.

Fatigue Life Prediction of a Laser Peened Structure Considering Model Uncertainty (모델 불확실성을 고려한 레이저 피닝 구조물의 피로 수명 예측)

  • Im, Jong-Bin;Park, J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107-1114
    • /
    • 2011
  • In this paper, the fatigue life of a laser peened structure was predicted. In order to calculate residual stress induced by laser peening finite element simulation was carried out. Modified Goodman equation was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duced by laser peening in fatigue analysis. In addition, additive adjustment factor approach was applied to consider S-N curve model uncertainty. Consequently, the reliable bounds of the predicted fatigue life of the laser peened structure was determined.

Proximal-type Epithelioid Sarcoma Involving Perineum - Case Report - (회음부를 침범한 근위형 유상피육종 - 증례보고 -)

  • Park, Yong-Koo;Park, Ho-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7 no.2
    • /
    • pp.64-67
    • /
    • 2001
  • Epithelioid sarcoma has been well characterized as a distincitve entity. In the classic form, it occurs in the distal extremities of young adults. However, in the proximal form, it was found mostly in the pelvis, perineum, and genital tract of young to middle-aged adults. Morphologically, the tumor cells had promient epithelioid or rhabdoid features with marked cytologic atypia, and grew in a multinodular pattern. Immunohistochemically, cytokeratin, epithelial membrane antigen, and vimentin were positive in the tumor cells. This reports dealt with 32-year-old male lesion on his perineum. The tumor shows typical features of proximal type epithelioid sarcoma. We also discussed pathol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and prognosis on this particular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