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용량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할인점 지하매장의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영일;윤명오;김종훈;김운형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93-99
    • /
    • 2001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o( the I)inc()unto-store in underground that is rapidly new shopping store in Korea.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al properties of the floor plan and section was reviewed with egress focus, occupant load density of the Discount-store was surveyed an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performance based egress design for this occupancy was analysed with SIMULEX model and calculation method. As a result of modeling, more longer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is expected tha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in underground discount-store. In order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for this type occupancy, egress capacity including escape stair, aisle width, escape door is calculated with based on occupant load density and review of shopping cart's structure and size and maximum escape capacity of the cash counter.

  • PDF

The Current Analysis for development occupancy density of buildings (국내 재실자 밀도 기준 설정을 위한 실태 조사 연구)

  • Youn, Ho-Ju;Hwang, Eun-Kyung;Kim, Jong-S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27-232
    • /
    • 2011
  • 최근 피난제약이 많은 대형 및 고층건축물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 시 많은 인적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축물의 성능 위주 피난 안전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축물의 피난용량을 결정하는 재실자 밀도는 중요한 평가요소로 국외의 경우에는 건축물 용도에 따른 단위면적 당 재실 인원 즉, 재실자 밀도를 산정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건축법에서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만을 고려한 사양적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재실자를 고려한 피난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실자 밀도 고려한 성능위주 피난용량 확보기술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초고층 건축물을 선정하여 재실자 밀도 실태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재실자 밀도 산정 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moke behavior and set-up of evacuation capacity in buildings at BRI2002 (BRI2002를 중심으로 한 건축물의 연기유동과 피난용량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Hong, Hae-Ri;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7-492
    • /
    • 2010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등으로 변모하고, 더나아가 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화재 발생 시 기존의 건축물보다 큰 인재로서 다가오며, 특히 연기로 인한 피해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연기의 피해에 따른 피난용량설정 및 계획 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하여 일본의 BRI2002 모델의 알고리즘분석에 따른 피난 안전과의 연계성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의 연기를 중심으로한 피난용량설정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초고층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을 위한 국내외 피난관계법령 비교에 관한 연구)

  • Hwang, EunKyung;Park, SuRoh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29-438
    • /
    • 2013
  • In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for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about internal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To the result,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dat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ould compute the evacuation capacity about the number of persons and when more than 2 exits are requested, over 50% of evacuation capacity must be satisfied even approaching to 1 exit is unable. Second, 2 ways of evacuation can be made smoothly by the stair or exit separation-distance standard regulation. Third, regulate the length limitation of dead-end corridor or passageway and it should give grades in limitation of whether the spring-cooler has been installed. Fourth, must secure the evacuation way and do the evacuee guidance when it's safety area and elevator or stair. Also needs to provide extra safety area to secure horizontal direction Escape Safety except fire escaping floor.

A Study on the Escape capacity for Evacuation safety Design of PBD foothold in Korea(I) (국내 PBD기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I) - 국내외 피난용량 산정방안의 비교 -)

  • Seo, Dong-Goo;Hwang, Eun-Kyung;Hwang, Keum-Suk;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340-347
    • /
    • 2008
  • Recently the consideration for occupant's security has been raised as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from the fire by building's large sized, higher storied, and its compounded. But the domestic laws regulated the predicative law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tandard which has no difference from the past domestic evacuation regulation. Therefore, regulation of escape code and developing technology for Korean conditions are needed to reduce victims during disaster by protecting occupant and guiding people to safe places.

  • PDF

Evacuation Time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성능 위주 설계를 위한 피난 시간 계산)

  • Jung, Soo-Young;Kim, T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79-184
    • /
    • 2010
  • 성능 위주 피난 설계에 있어서 요구피난시간(RSET)을 위한 Simulex 등 피난 시뮬레이션 툴이 사용하고 있는 근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즉, 시설 및 군중 조건에 따른 이동 변수, 최대 비유동률(Maximum Specific Flows) 및 경계폭(Boundary Layer Width)을 살펴보고, 트래픽 방정식(Traffic Equation)을 통한 계산 사례 즉, 피난자의 이동 속도 계산 사례, 최소 피난 시간 계산 사례 및 총 유동 용량(Flow Capacity) 수식과 계산 사례를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of People used the evacuation model on Fire in Shopping Mall (피난 모델을 이용한 대형할인매장의 화재시 피난에 관한 연구)

  • 이수경;이상준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4 no.4
    • /
    • pp.17-22
    • /
    • 2000
  • For life safety design of shopping mall, we selected a shopping mall, and calculated the evacuation time of means of egress. It is calculated by two kind of evacuation method. One is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EXODUS. The other is Japan's method. Study way is a model structure study, selecting real shopping mall and setting scenario, calculating the evacuating time. result of study, evaluation time is very high.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building of means of egress is not fit to evacuation more the capacity of setting population.

  • PDF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Evacuation Capacity Compu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Life Safety Code (한국형 인명안전기준 개발을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Kim, Hye-Won;Jin, Seung-Hyeon;Lee, Byeong-He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0.11a
    • /
    • pp.65-66
    • /
    • 2020
  • When evacuation safety Design of buildings, the calculation of evacuation capac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t directly impact of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However domestic standards is not consider about occupant characteristics. also the case of domestic, it has the problem that the law is partially applied when the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layze the evacuation capacity standards of each countries as basic study for development the Korean Life Safety Standards

  • PDF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outflow coefficient in exit and set-up plan for egress safety plan of PBD (성능적 피난안전계획을 위한 출구 유동계수의 조사 및 설정방안 고찰)

  • Seo, Dong-Goo;Kim, Dong-Eun;Hong, Hae-Ri;Hwang, Eun-Kyung;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55-260
    • /
    • 2010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이러한 건축물은 화재시 기존의 건축물 보다 피난안전성의 문제가 대두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는 성능적 피난안전계획을 목적으로 PBD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국외에 비하여 그 방법론이 부족하고, 건축물의 피난용량이 부족한 시점에 놓여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하여 본 연구는 재실자 피난행동분석 중 피난계산에 중요한 요인인 출구유동계수를 조사하고, 기존의 국내외 문헌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종합표준치 1.88인/ms를 도출하였으며, 또한 실태조사의 한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조사기법에 대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PDF

A Investigation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capacity for egress safety design in Korea(IV) (국내 PBD기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IV))

  • Seo, Dong-Goo;Kim, Dong-Eun;Hwang, Hyun-Bae;Hwang, Eun-Kyung;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67-73
    • /
    • 2009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성능설계, 화재영향평가, 초고층 및 지하연계 방재관련 특별법 등 많은 제도가 시행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난행동 중 수직적인 피난속도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의 계단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