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대피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9초

대피경로 산정을 통한 초고층 건축물의 침수 대피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Inundation Response of Skyscrapers with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 김준하;김태헌;정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23-132
    • /
    • 2020
  • 연구목적: 초고층 건축물 지하공간 관련 법령, 국내외 지하공간 침수사례 및 침수 시뮬레이션으로 대피경로를 산정하여 초고층 건축물의 침수 대피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초고층 건축물 지하공간 관련 법령 및 국내·외에서 발생한 지하공간 침수사례를 바탕으로 Test Bed를 활용한 침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대피경로를 파악하였으며,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지하공간 침수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위험도 레벨 4에 해당하는 지역이 존재함에도 침수위험도에 따른 대피경로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 대피 출발지점에서 위험도가 높아 기존 대피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며, 위험도가 적은지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도가 높아져도 결국 그 지역을 신속히 지나야 대피장소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경로 자체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도에 따른 대피경로의 차이가 없었으나, 건축물 별 지하공간의 규모와 형태가 상이한 경우, 시간에 따른 침수심의 변화가 다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침수심 변화에 따라 피난경로 또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경로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피난경로에 대해서는 건축물에 따라 상세한 재분석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에 대한 고찰

  • 백상현;윤승진;김응식;김홍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3-38
    • /
    • 1999
  • 현대 건축물 및 공공시설물들은 산업 및 건축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기능성 및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지고 있다. 이런 건출물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 부대시설들이 설비되어져 있으며, 재난 및 비상의 경우 재실자들의 대피를 고려하지 않고 건축물의 효용성, 기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화재 및 비상시 재실자들의 대피에 관한 연구중에는 피난시간, 용도변경에 따른 밀집지역, 화재로 인한 대피 지연시간 등을 시뮬레이션의 방법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려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중략)

  • PDF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 김동욱;이기연;김동우;길형준;김향곤;정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고층 아파트 재실자의 수직적 이동방향별 피난행동에 관한 통계적 해석연구 (A Study on Statistical Analysis of Residents' Escape Behavior due to the Vertical Evacuation Direction in a High-rise Apartment)

  • 김재홍;최준호;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67-272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고층 건축물이 건설되고 있다.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비상시 필요로 하는 유효 피난길이와 총 피난시간은 점점 길어진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의 피난은 지상층의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의 대규모 수직적 공간에서는 하향식 피난뿐만 아니라 상향식 피난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층 아파트 1개소를 선정하여 수직적 이동방향에 따른 실물 피난실험을 실시하여 피난특성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피난자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난자들이 지상층에 도착하자마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난행동간 개인 고유의 행동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PASW 18을 활용하여 통계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국내 여객선 거주구역 피난유도 안전디자인에 관한 사례 연구

  • 박진;이한석;강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7-309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해양 사고 중 인명 사고가 큰 여객선 주요 피난경로와 구역에 사고에 대한 예방과 거주구역 환경 개선 사항을 안전디자인을 통해 제시 한다. 이를 위해 대피를 효과적으로 유도 할 수 있는 디자인 개선사항과 안전 디자인이 피난의 기능을 넘어서 선박 거주구에 배치 되었을 때 심리적 심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 PDF

고시원 화재시 인간 피난행동 (Fuman behavior during Fire Evacuation in Gosiwon)

  • 김인길;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00-403
    • /
    • 2012
  • 최근 고시원은 저렴한 방값을 원하는 저소득층의 서민들이 주거하는 공간으로서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므로 방화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본 조사는 이 위험성을 검토하기 위해 SIMULEX 실험을 통하여 고시원 화재시 피난행동을 간접적으로 확인 하고 대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모형실험 결과 재실자들이 1층 출구 대피시 병목현상을 보였지만 연기의 유동은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3층 재실자들의 빠른 대피가 있다면 인명피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이번 실험 조건이 사람들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시간 조건을 주고 대피시간이 늦는다면 4, 5층의 재실자는 연기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뇌병변 복지관에서의 장애인 이동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lking Speed of the Disabled People by Cerebral Palsy in Welfare Center)

  • 김응식;박지훈;권영숙;김인순;김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8-3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복지관에서 장애인 이동형태에 따른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는 평상시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두 번째로 화재나 재난상황을 가정으로, 실제 대피 실험을 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 장애인 시설 피난 안전에 관한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뇌병변 장애인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평균이동속도가 현저히 느리고 거동이 불편한 이들이 있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큰 값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피시의 피난성공을 위한 피난 기준 및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대규모 공간에서 선행음 효과를 이용한 음성피난유도 시스템의 적용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daption of Announcement Based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Haas Effect in Large Space)

  • 백은선;백건종;신훈;송민정;국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00-1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상시 인명피해의 위험요소인 연기발생에 따른 시야장애 상황을 연출하여 음성피난유도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피험자들의 피난행동과 피난 대피시간을 조사 분석하였다. 피난유도음을 스피커 4개에서 동시에 발생시킬 경우, 대부분의 피험자는 방향감을 상실하고 지정된 지점으로 이동하는 시간도 비교적 길게 나타났다. 스피커 2개보다 1개에서 피난유도 멘트가 나왔을 때 방향감 및 피난행동에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2개 이상의 스피커에서 피난유도 멘트가 동시에 발생되었을 때는 선행음효과를 활용하고, 스피커 설치가 가까울수록 피난유도 내용 및 방향감 인지가 높고 대피시간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식 피난구의 경제성 및 피난 소요시간 분석 (Economic and Evacuation Time Analysis of Horizontally-installed Indoor Emergency Exit)

  • 유월;김선국;김기혁;이동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3-373
    • /
    • 2018
  • 고층 공동주택에서 화재시 현관문을 통해 탈출이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해 발코니를 통해 피난이 가능하도록 피난시설을 설치한다. 이는 공동주택 세대의 양방향 피난이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 피난시설인 경량 칸막이, 발코니 대피 공간, 실내형 하향식 피난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점을 개선한 실외형 하향식 피난구를 제시하고 경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화재 발생 시 피난자는 전통식 피난구를 사용할 때보다 하향식 피난구를 사용할 때 능동적인 탈출 가능 여부를 더 자율적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난자의 피난방식에 따라 피난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계단식과 하향식 피난구를 통한 4가지 피난방식의 피난 소요시간은 시뮬레이션 pathfinder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피난 소요 시간 단축을 위한 적합한 대피방식을 예측 분석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고층 아파트 하향식 피난구는 계단식보다 총 피난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무소 건물의 거주밀도 분포와 피난시간 예측 (A Occupant Load Density and Computer Modelling of Evacuation time in Office Buildings)

  • 김운형;;김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42
    • /
    • 1999
  • 건물 화재 시 인명안전설계의 목표는 피난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정 피난 설계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국내 사무소 건물의 거주밀도 분포를 조사 분석하였다. -고층 사무소 건물에서 대피훈련을 시행하여 예상 피난시간을 관측하였다. -피난전용 프로그램의 하나인 SIMULEX를 적용하여 컴퓨터 피난모델의 특성과 적용상의 한계를 연구하였다. -거주밀도와 파난시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사무소 건물의 거주밀도는 총 바닥면적(Gross Area)기준으로 13.14$m^2$/인 -22.69$m^2$/인이며 평균 19.72$m^2$/인 (193ft\sup 2\인)으로 조사되었다. (95% 신뢰도 기준) 또한 고층 사무소 건물의 대피훈련과 SIMULEX 모델 결과를 비교하여 피난시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 현 모델의 가정과 계산 방법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거주밀도와피난시간과의 분석 결과, 동일용도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용도별 거주밀도 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