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대피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Plan of Inundation Response of Skyscrapers with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대피경로 산정을 통한 초고층 건축물의 침수 대피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oon-Ha;Kim, Tae-Heon;Jung, Jae-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23-132
    • /
    • 2020
  • Purpose: In this study, the authors propose a flood evacuation plan for skyscrapers with law related to underground space of skyscrape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derground space flood case study and simulation test. Method: This study compares the evacuation pattern of various case from flooded underground spaces extending over several floor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with. Also, simulation test was performed by setting up the virtual underground spaces consisting of three-stories basement and changing the number of the ground entrance, area of the basement and the flooding heights of the basement.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inundation risk even if there was an area corresponding to risk level 4. This is because the risk in the starting area is greater than that in the evacuation route. Especially, even if the risk of evacuation route increases with time, there is no change in route because the route must be passed to reach the evacuation sit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inundation risk. However, if the size and shape of the underground space of each building is different, the depth of inundation with time may be different.

대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에 대한 고찰

  • Baek, Sang-Hyun;Yoon, Seung-Jin;Kim, Eung-Sik;Kim,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33-38
    • /
    • 1999
  • 현대 건축물 및 공공시설물들은 산업 및 건축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기능성 및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지고 있다. 이런 건출물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 부대시설들이 설비되어져 있으며, 재난 및 비상의 경우 재실자들의 대피를 고려하지 않고 건축물의 효용성, 기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화재 및 비상시 재실자들의 대피에 관한 연구중에는 피난시간, 용도변경에 따른 밀집지역, 화재로 인한 대피 지연시간 등을 시뮬레이션의 방법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려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Lee, Ki-Yoen;Kim, Dong-Woo;Gil, Hyoung-Jun;Kim, Hyang-Kon;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Statistical Analysis of Residents' Escape Behavior due to the Vertical Evacuation Direction in a High-rise Apartment (고층 아파트 재실자의 수직적 이동방향별 피난행동에 관한 통계적 해석연구)

  • Kim, Jae-Hong;Choi, Jun-Ho;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67-272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고층 건축물이 건설되고 있다.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비상시 필요로 하는 유효 피난길이와 총 피난시간은 점점 길어진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의 피난은 지상층의 안전한 공간으로 대피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고층 또는 초고층 건축물의 대규모 수직적 공간에서는 하향식 피난뿐만 아니라 상향식 피난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층 아파트 1개소를 선정하여 수직적 이동방향에 따른 실물 피난실험을 실시하여 피난특성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피난자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난자들이 지상층에 도착하자마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피난행동간 개인 고유의 행동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PASW 18을 활용하여 통계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국내 여객선 거주구역 피난유도 안전디자인에 관한 사례 연구

  • Park, Jin;Lee, Han-Seok;G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07-309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해양 사고 중 인명 사고가 큰 여객선 주요 피난경로와 구역에 사고에 대한 예방과 거주구역 환경 개선 사항을 안전디자인을 통해 제시 한다. 이를 위해 대피를 효과적으로 유도 할 수 있는 디자인 개선사항과 안전 디자인이 피난의 기능을 넘어서 선박 거주구에 배치 되었을 때 심리적 심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 PDF

Fuman behavior during Fire Evacuation in Gosiwon (고시원 화재시 인간 피난행동)

  • Kim, In-Gil;Chung,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400-403
    • /
    • 2012
  • 최근 고시원은 저렴한 방값을 원하는 저소득층의 서민들이 주거하는 공간으로서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므로 방화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본 조사는 이 위험성을 검토하기 위해 SIMULEX 실험을 통하여 고시원 화재시 피난행동을 간접적으로 확인 하고 대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모형실험 결과 재실자들이 1층 출구 대피시 병목현상을 보였지만 연기의 유동은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3층 재실자들의 빠른 대피가 있다면 인명피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이번 실험 조건이 사람들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시간 조건을 주고 대피시간이 늦는다면 4, 5층의 재실자는 연기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Walking Speed of the Disabled People by Cerebral Palsy in Welfare Center (뇌병변 복지관에서의 장애인 이동속도에 관한 연구)

  • Kim, Eung-Sik;Park, Ji-Hoon;Kwon, Young-Sook;Kim, In-Soon;Kim, My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28-3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복지관에서 장애인 이동형태에 따른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는 평상시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두 번째로 화재나 재난상황을 가정으로, 실제 대피 실험을 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 장애인 시설 피난 안전에 관한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뇌병변 장애인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평균이동속도가 현저히 느리고 거동이 불편한 이들이 있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큰 값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피시의 피난성공을 위한 피난 기준 및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daption of Announcement Based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Haas Effect in Large Space (대규모 공간에서 선행음 효과를 이용한 음성피난유도 시스템의 적용연구)

  • Baek, Eun-Sun;Baek, Geon-Jong;Shin, Hoon;Song, Min-Jeong;Kook, 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5
    • /
    • pp.100-107
    • /
    • 2011
  • In this study, a simulated situation in which the visions of the evacuees were blocked by the smoke, which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factors that cause casualties in case of an emergency, was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behavior and time taken by the experiment subjects in simulated evacuation test were measured and analyzed. When the evacuation guidance sound signals were given by 4 speakers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subject were disoriented and took generally longer in getting to the pre-designated evac point. And, using only one speaker instead of two showed a better result in terms of the evacuation behavior or and orientation. Also, when there were two or more speakers used for the broadcasting of the guidance message, it turned out that using Hass effect, and placing the speakers closer, could result in higher awareness of the guidance message and maintenance of the orientation, while it also made the subjects took short to get to the evac point.

Economic and Evacuation Time Analysis of Horizontally-installed Indoor Emergency Exit (하향식 피난구의 경제성 및 피난 소요시간 분석)

  • Liu, Yue;Kim, Sun-Kuk;Kim, Ki-Hyuk;Lee, D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4
    • /
    • pp.363-373
    • /
    • 2018
  • Evacu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so that people can evacuate high-rise apartment houses when it is impossible to escape fire through the front door. The households of apartment houses may escape the building in two ways, which will reduce loss of l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wo-way evacuation facilities, including a light-weight partition wall, shelter space at the balcony and horizontally-installed indoor emergency exit. Then, it proposed a horizontally-installed outdoor emergency exit that improved the problems of the examined facility types, and analyzed its economic-feasibility. When a horizontally-installed emergency exit instead of a traditional type to escape from fire is used, people may be more autonomous in deciding whether active evacuation is possible or not. Thus, the time required to evacuate the building with 4 different evacuation methods using the stairs and horizontally-installed emergency exit was sim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 of evacuation methods that people choose on the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using pathfinder. Then,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y appropriate evacuation method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evacuation was predicted, analyzed and decid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 - rise apartment top - down type evacuation zone can shorten the total evacuation time compared to the staircase type.

A Occupant Load Density and Computer Modelling of Evacuation time in Office Buildings (사무소 건물의 거주밀도 분포와 피난시간 예측)

  • Kim, Un-Hyeong;Rui, Hu;Kim, H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3 no.3
    • /
    • pp.35-42
    • /
    • 1999
  • A occupant load density of contemporary office buildings were surveyed by a building w walk through procedure in Korea. The survey results of ten office buildings are range from 1 2 2 2 213.14 m !person 041.4 ft !person) to 22.69 m /person (244.34 ft !person) with 95% confidence l level and the mean occupant load density is 17.92 m2/person 092.87 ft2/야rson). The impacts of occupant load on evacuation flow time was analyzed by applying time-based egress m model, SIMULEX with various occupant load densities from previous studies. I In order to demonstrate the validation of egress modeling method, fire evacuation exercise a and computer simulation were used to simulate the actual evacuation plan for a high-rise office building. An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se approaches was made to i illustrate the influence of model limitations on the result of predi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ntroduction of occupant load concept in building c code of Korea is essential to achieving resonable building life safety design in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