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랙탈 차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흙의 입도분포와 플랙탈 차원 (The Soil Particles Distributions and Fractal Dimension)

  • 유찬;안성율;이창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25-32
    • /
    • 2002
  • 전통적인 흙의 입도분포 곡선상에서 흙의 구성 성분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에 대해서 Wu등(1993)과Bittelli 등(1999)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Buchan 등(1993)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자료분석시에는 실트와 모래의 경계값의 변화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mu{m}$, 63$\mu{m}$ 그리고 125$\mu{m}$에 대한 프랙탈 차원을 산정하여 전체 범위에서 구한 프랙탈 차원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전통적인 입도분포곡선상에서 프랙탈 차원의 산정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트와 모래성분의 경계값은 Wu 등(1993)이 제시한 것 보다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경계값이 더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ittelli 등(1999)이 제시한 실험식을 이용해서 실트영역의 프랙탈 차원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었다.

점착성 유사의 침강속도, 크기, 밀도 측정 플랙탈 차원 분석 (Measurement of Settling Velocity, Size and Density and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of Cohesive sediment)

  • 손민우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58-65
    • /
    • 2011
  • 본 연구는 간단한 실험실 실험을 통하여 점착성 유사의 덩어리인 플럭의 침강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플럭의 밀도와 프랙탈 차원을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상업용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플럭이 침강되는 모습을 촬영하였고, 이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플럭의 침강속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물의 많이 포함된 Lake Apopka 정착성 유사는 플럭의 크기와 침강속도가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는 것에 비해 무기질인 카올리나이트는 반비례하거나 거의 상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플럭 밀도의 경우 Lake Apopka는 거의 일정한 데 비해 카올리나이트는 플럭의 크기 증가에 반비례하여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프랙탈 차원도 유사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Lake Apopka 점착성 유사와 카올리나이트 사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점은 유기물 함유에 따라 자기유사성올 가지는 프랙탈 구조체를 구성하는지 여부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즉 프랙탈 이론을 따르는 카올리나이트의 경우는 플럭의 크기가 증가하는 동시에 밀도가 감소하여 반비례 관계를 보이는 반면 Lake Apopka의 유기질 점착성 유사는 이러한 경향성을 띠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경향성에 따라 플럭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감소하는 카올리나이트의 침강속도에 비해 플럭의 크기 증가할 때 일정한 밀도가 유지되는 Lake Apopka의 점착성 유사가 침강속도와 플럭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침강속도와 유사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고령토 등의 무기질 점착성 유사가 지배적인 자연환경에서는 모래 등의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와 다른 관점에서 침강속도를 고려하고 이 특성이 유사의 이송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필요가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tarvation전 제올라이트 및 입상활성탄의 주입이 슬러지 침강성 및 오염물질 처리효율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Zeolite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Addition before Starvation for the Performance Recovering of the Sludge Settleability and Removal Efficiency)

  • 오혜란;김상수;문병현;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4-240
    • /
    • 2010
  • SBR시스템을 이용한 비염분 폐수와 염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starvation이전 제올라이트 및 입상활성탄 주입이 starvation 이후 시스템의 재가동시 시스템의 성능회복에 대해 조사하였다. Starvation 이후 시스템의 재가동시, SVI, floc의 크기, fractal dimension, 유기물 지표인 $COD_{Mn}$과 T-N, T-P의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회복 기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5일 동안 starvation 후 재가동하였을 때에 초기의 SVI는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floc 크기 및 fractal dimension이 클수록, 유기물, T-N 및 T-P 처리효율도 증가하였다. 시스템의 성능회복은 floc 크기 및 fractal dimension에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Starvation 이후 재가동시 오염물질($COD_{Mn}$, T-N, T-P) 처리효율이 정상상태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담체 주입이 미주입보다 더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