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라보노이드 함량

검색결과 1,136건 처리시간 0.025초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Late Maturing Citrus (Citrus hybrid 'Shiranuhi', Citrus hybrid 'Setoka', Citrus hybrid 'Blanco', Citrus hybrid 'Kanpei', Citrus 'Kara'))

  • 서지원;장미경;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23
  •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레드향 과피 처리구(93.97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천혜향을 제외한 모든 만감류 품종 부위들 가운데, 과피 처리구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라봉 전체 처리구(23.65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0mg/g 함량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총 폴리페놀 함량 대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가운데 과피 두께의 비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한라봉 전체(81.01%)를 시작으로 한라봉 중피(73.13%), 한라봉 외피(63.94%) 처리구에서만 DPPH radical 함량이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했던 처리구들 가운데 한라봉 중피(79.75, 23.16), 한라봉 전체(75.51, 23.65) 처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반면, 레드향 과피(93.97, 20.59)의 활성은 49.26%로 DPPH radical EDA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피와 과육의 에센셜 오일과 성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감귤 과피 가수분해물의 플라보노이드 조성 및 기능적 특성 (Flavonoids Compon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itrus Peel Hydrolysate)

  • 이명희;허담;조덕조;이기동;윤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358-13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과피의 Viscozyme L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의 변화를 반응표면분석하여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효소처리에 따라 aglycone 형태의 플라노보이드인 hesperetin 및 naringenin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최적 효소처리 조건은 효소농도 1.5% 및 반응시간 18 hr으로 설정되었다. 일반진피의 경우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 48.49%이고, 플라보노이드는 hesperidin 58.85 mg/g만 검출되어졌으나, 최적 효소처리 조건에서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72.97%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naringin 1.56 mg/g, hesperidin 31.31 mg/g, naringenin 2.58 mg/g 및 hesperetin 3.90 mg/g으로 각각 나타났다. 일반진피와 효소 처리한 감귤 과피의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효소 처리한 감귤 과피가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과와 가지과 유전자원 종자의 항산화력 및 바이오 활성 화합물 함량 변이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s Content in Cucurbitaceas and Solanaceae Seeds)

  • 김성겸;이상규;이희주;최장선;김진선;김수;이우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47-5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박과와 가지과 채소 종자들의 항산화력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들의 함량 변이를 조사하여 고 함유 바이오 활성 화합물 채소 유전자원들을 선발하고,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기능성 상품 개발을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박과(수박, 호박, 여주와 수세미) 및 가지과(매운 고추, 단고추와 가지) 총 408 유전자원들에 대하여 항산화력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들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수박과 호박 종자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9.9-343.8 및 $6.1-81.2mg{\cdot}100g^{-1}\;DW$이며, 수박 유전자형의 총 페놀 함량이 $160mg{\cdot}100g^{-1}\;DW$이상인 유전자원은 12%이었다. 수박과 호박 종자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각각 80 및 $41.3mg{\cdot}100g^{-1}\;DW$이었다. 매운 고추 종자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4.4-472.5mg{\cdot}100g^{-1}\;DW$였고, 평균은 $165.0mg{\cdot}100g^{-1}\;DW$이었다. 23개의 매운 고추 계통이 90%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단고추 종자의 항산화력은 35.9-90.3%이며, 항산화력이 82%이상인 유전자원은 23%였다. 가지의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8.1-642.0mg{\cdot}100g^{-1}\;DW$$14.2-1217.0mg{\cdot}100g^{-1}\;DW$이며, 항산화력,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함께 우수한 8개의 가지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박과와 가지과 유전자원들의 종자에서 항산화력 및 생리 활성 화합물 함량의 변이가 높았다. 그리고 생리 활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력이 우수하여 선발된 유전자원들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능성 부가가치 상품들을 개발하는데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녹용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생성과 항산화활성 효과 (Flavonoid produ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effe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of deer antler extract)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99-408
    • /
    • 2022
  • 녹용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녹용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중 증식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녹용 추출물 기질에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한 결과, 측정된 유산균 수는 2.04~5.00×107이었다. 한편, 녹용 추출물에 프로테아제(Baciullus amyloliquefaciens culture: Ma×azyme NNP DS)를 첨가하여 함유된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해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수는 2.84107~2.21108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4.82~6.26g/mL이었으며, 프로테아제 효소와 젖산발효 반응 후 14.27~20.58g/mL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1.52~2.21 g/ml이었고, 프로테아제 반응 및 발효 후에는 5.59 ~ 8.11 mg/mL로 증가하였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7.03~22.75%였으나, protease 반응과 발효 후에는 32.82~42.90%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기능성과 아질산염 분해능

  • 정갑섭;김민아;이남걸;김상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98-201
    • /
    • 2008
  • 매생이의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추출액의 플라보노이드와 페놀함량과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아질산염 분해능과 효소의 영향 등을 측정하였다. 매생이 에탄올 추출액의 클로로필 함량은 물추출보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가 높았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추출액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추출액의 TPC함량은 TFC함량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직접 비례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매생이에 함유된 아질산염 함량 측정결과와 아질산염 분해능 결파 비교로부터 에탄올 추출의 경우에는 아질산염 분해능이 시료자체의 아질산염 함량과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으며, 매생이 에탄올 추출액이 나타내는 아질산염 분해작용은 낮은 pH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매생이 자체에 존재하는 효소의 관여는 극히 미약하였다.

  • PDF

주요 식용꽃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카테킨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Catechin Lev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Edible Flower Extracts)

  • 이미경;박정숙;송희자;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8
    • /
    • 2014
  • 주요한 꽃차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백목련, 매화 및 홍화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각종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을 catechin, chlorogenic acid, tannic acid로 각각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백목련이 72.6 ~ 118.0 mg/kg 범위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매화와 홍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백목련이 25.1 mg/k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꽃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50 mg/kg의 추출물 농도에서 백목련과 매화는 각각이 93.0과 92.6%로 높게 나타났으나, 홍화는 23.0%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총 catechin 함량에 있어서 백목련이 총 8종의 카테킨류 중 6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고 9,425.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화와 홍화는 각각 5종과 2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각각 3,407.8과 190.6 mg/kg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카페인 함량은 매화에서 비타민 C함량은 매화와 홍화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백목련 꽃은 다른 꽃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성이 높아 유망한 기능성 꽃차로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꽃차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카테킨류 함량은 그들의 항산화성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임으로써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포도주 부산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 백재열;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48-954
    • /
    • 2016
  •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포도주 부산물의 분획 및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획물들 중에서는 85% aq. MeOH 분획물이 105.1±0.9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은 74%의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에서는 n-BuOH 분획물이 72%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은 각각 90% 및 92%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동일한 BHT 농도에서 92%인 것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합성항산화제만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내 활성 산소종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ROS 실험을 통해 0.1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은 각각 64%와 60%의 소거 활성을 나타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포도 및 포도씨와 비교했을 때 포도주 부산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유량은 다소 낮았지만 항산화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향후 포도주 부산물의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메밀순의 증숙 및 건조에 따른 침출차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 이기동;윤성란;김정옥;허상선;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217
    • /
    • 2004
  • 메밀순을 이용한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증숙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 처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메밀순차 침출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숙시간 6.93 min 및 건조온도 73.59$^{\circ}C$에서 최대값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숙시간 5.22 min 및 건조온도 79.05$^{\circ}C$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순 침출차의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높은 관능평점은 증숙시간 6.00 min 및 건조온도 77.33$^{\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조건은 증숙시간 5.4∼7.0 min 및 건조온도 75∼8$0^{\circ}C$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의 예측된 관능평점은 최적 조건에서 실제 실험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수입귤 6종(레몬, 지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Imported Citrus (Citrus limon, Citrus paradisi Macfad, Citrus. grandis Osbeck × Citrus. Paradisi Macf., Citrus sinensis, Citrus reticulata Blanco, Citrus x aurantifolia))

  • 서지원;장미경;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7-67
    • /
    • 2023
  •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생리활성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mg/g)은 청자몽 중피(252.14mg/g)와 청자몽 외피(224.60mg/g), 청자몽 과피(213.13mg/g), 자몽 중피(197.13mg/g) 순으로 모두 150mg/g 이상의 양호한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은 자몽 중피(147.24mg/g)와 청자몽 중피(147.08mg/g), 청자몽 과피(127.74mg/g), 청자몽 외피(122.5mg/g) 순으로 모두 120mg/g 이상의 매우 양호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입귤 6종(레몬, 자몽, 청자몽, 오렌지, 만다린, 라임)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EDA, %)은 레몬 과피(83.21%)를 시작으로 라임 전체(80.23%), 레몬 과육(77.02%), 레몬 전체(69.85%), 만다린 과피(68.86%), 라임 과육(64.61%) 순으로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어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 PDF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 현재석;강성명;한상원;강민철;오명철;오창경;김동우;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10-1316
    • /
    • 2009
  • 당유자 과피를 식품미생물인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발효 전과 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LC/MS를 통한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발효 후 추출물에서 neo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hesperidin과 일부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3',4',5',5,7-pentamethoxyflavone은 발효 후에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 unknown 화합물들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LC/M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모를 통한 발효과정 중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형태로 전환되었으며, 이렇게 전환되어진 성분들을 함유한 FCGP는 CGP보다 DPPH, hydroxyl, alky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효모를 이용하여 당유자 과피를 발효시킴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향후 당유자 과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