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리패브주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국내 특허 사례 연구를 통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 분석 (Analysis on Temporary Residential Prefabricated Modular Structure through Domestic Patent Case Study)

  • 한현석;강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는 재난 상황 발생 후 이재민들에게 임시 주거용 공간을 손쉽게 제공하기 위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를 제안하기 위해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디자인 개념 및 실행을 위해 국내에 등록된 조립식 구조물이나 프리패브 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특허를 검색하고 수집하였으며, 이를 특성별로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임시 주거용 프리패브 모듈라 구조의 공간은 "확장성", "조립 및 해체의 용이성", "빌트인 구조",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과 같은 추가적인 주요 요인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며, 각 사례는 "세부 조립 모듈형", "모듈형 확장형", "공간 유닛 확장형"의 3가지의 형식으로 구분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해외 특허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가능한 낮은 생산 단가로 양산 및 제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하고자 한다.

해외 특허 사례 기반 프리패브 공간 구조 분석 (Analysis on Prefabricated Space Structure Based on Overseas Patent Case Study)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207-214
    • /
    • 2020
  •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임시 주거를 위한 공간을 쉽게 구성하는 방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모듈라 조립식 건축 구조의 사례를 분석하고 임시 주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예측이 불가능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안정적 생활 환경을 위한 주거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해외의 특허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총 4가지의 그룹으로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1) 소규모 부품을 활용한 조립 방식, 2) 프리패브 모듈의 적층 방식, 3) 공간 확장 방식, 그리고 4) 세부요소의 제작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보다 더 저비용 및 효율적으로 구축이 가능한 프리패브 임시 주거 공간의 구조를 연구하고자 한다.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시의 평면확장 적용공법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수립 (Strategy for Facilitating Old Aged Apartment Remodeling through Technology Analysis for Space Expansion)

  • 이동건;차희성;김완혁;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47-155
    • /
    • 2008
  • 공동주택은 1970년대의 주택 보급률 증가 정책에 의하여 폭발적인 증가 이후 1990년대 노후 공동주택의 주거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건축 사업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그러나 재건축은 환경파괴, 자원 낭비, 부동산 투기 등의 폐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환경 친화적인 건축과 자원 재활용의 흐름에 따라 리모델링이 대체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의 리모델링 사례를 살펴보면 재래식 공법에 의한 공기연장, 비용 상승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가 우수하고 현장 노무 인력의 감소 그리고 품질 또한 우수한 PC 기술 등의 프리패브 공법의 활용을 통해 경제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리모델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평면확장 공법의 특성과 리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프리패브 공법 활성화 저해요인과 공법선정 프레임웍을 제시하였고, 주체별 프리패브화 접근 방안 제시를 통해 리모델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모듈러 지원주택 계획 연구 - 광명 3동 광이로 일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Prefab Affordable Housing for the Urban Regeneration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the Gwang-Myeong 3-dong, Kunggi-do, South Korea -)

  • 유해연;현선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35-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social housing and incubating module planning for the urban regeneration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e site of this study is Gwange-ro Gwangmyeong 3-dong, where old residential areas are concentrated, and there are problems in the decreasing number of young people and the aging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upporting housing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rograms and facilities are proposed, and various alternatives of modular housing are derived. As a result, it proposed verification of local regeneration and activation and orientation of social housing and local regeneration programs using modularity in the future.

한옥의 모듈러 공법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ular Technologies to Han-ok)

  • 이창재;임석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9-5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to Han-ok. The modular method,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means a construction method that equipments, windows and interior materials are prefabricated as a six-sided object at a plant and then they are assembled at the least process on the spot. As for the theoretical observation, the theoretical basis to apply the modular method to the modular housing and Hanok was divided into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 In order to apply the modular method to Hanok, the unit scale and size were selected and the plane of unit module Hanok was developed. And a standard with regard to the unit combination and material lifting transportation method was set and planned. In addition, through the comparison the unit modular Hanok to the existing Hanok, the difference was analyzed and the strength was identified in terms fo design metho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period and cost. In final, the conclusion, with regard to the economic, technical application in future, was drawn through arranging the study contents. The unit modular Hanok to carry out the high-quality dwelling through construction period reduction, standardized construction materials and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can meet the demands for a paradigm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