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포폴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프로포폴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 태도, 실천 및 일반인의 인식정도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Awareness in the Public toward Propofol)

  • 류언나;하은호;조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5-284
    • /
    • 2013
  • 본 연구는 프로포폴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 태도, 실천 정도를 알아보고, 일반인이 인지하고 있는 프로포폴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의사 및 간호사 359명과 외래 및 건강검진실에서 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 방문한 일반인 6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고 다중비교방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포폴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은 평균 7.16, 태도는 3.26, 실천은 3.95 등으로 나타났다. 프로포폴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는 간호사가 의사보다 높았고(p=.001), 실천은 의사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25) 일반인의 53.4%가 프로포폴 약물이름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프로포폴의 올바른 사용, 현실성 있는 철저한 관리 및 교육을 위한 맞춤형 간호중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Duty of Care on Medical Accidents related to Anesthesia - Focused on Court Decisions -)

  • 최규연
    • 의료법학
    • /
    • 제18권1호
    • /
    • pp.61-99
    • /
    • 2017
  • 마취는 수술 등 의료행위 시 많은 경우 필요불가결하게 동반될 수밖에 없고 마취 자체가 가진 특성 때문에 그로 인한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취와 관련된 의료사고가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마취의 전 단계를 통하여 의사 등 의료진에게 어떠한 주의의무가 요구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의의무의 기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취 관련된 의료사고로 판결이 선고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대법원 판결들과 최근의 하급심 판결사례들, 프로포폴이 사용된 사례들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흡입마취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았던 반면 최근에는 주로 정맥마취제나 국소마취제의 사용으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마취제 중 프로포폴이 관련된 사고가 2007년경 이후부터 상당히 많이 발생하여 법적 분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대법원 판례들은 대부분 과거 흡입마취로 마취한 사례여서, 흡입마취의 경우 마취 시 의료진의 주의의무의 정도와 내용에 관해 어느 정도 기준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그 외의 경우에는 그러한 기준이 제시되었다고 보기에는 미흡해 보였다. 프로포폴의 사용과 관련한 마취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현실 등에 비추어 볼 때 우선 의료현장에서 각각의 마취제의 사용에 관한 임상지침 등을 세우고 이를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의료현실이나 의료 관행에 하나의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법원에서도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적절한 주의의무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AICD)를 삽입한 환자에서 프로포폴, 레미펜타닐을 이용한 진정요법 하 제3대구치 발치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the Patient Implanted with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AICD) Subject to 3rd Molar Extraction using Target 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and Remifentanil -A Case Report-)

  • 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18
    • /
    • 2009
  • The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AICD) has been widely used to treat recurrent malignant ventricular arrhythmia. Here, we case report 18 yr old patients implanted with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AICD) who underwent surgical extraction under intravenous sedation and discuss the anesthetic implications for surgery.

  • PDF

후쿠야마 선천성 근이영양증 환자의 프로포폴을 이용한 전정맥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FUKUYAMA TYPE MUSCULAR DYSTROPHY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USING PROPOFOL)

  • 진달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6-71
    • /
    • 2013
  • 근이영양증은 점진적인 근육 약화를 특징으로 하는 유전질환이다. 그 중 후쿠야마 선천성 근이영양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영아기 초기부터 시작되어 중추신경계, 안면근 등에도 이환되고 다발성 관절구축도 나타난다. 근이영양증 환자는 호흡기계나 심장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으며, 특히 흡입마취제를 이용한 전신마취 시 악성고열증 가능성이 문제가 된다. 본 증례에서는 후쿠야마 선천성 근이영양증을 가진 3세 9개월 여아의 다발성 우식증을 전정맥마취 하에 치료하였다.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해 프로포폴을 효과처 농도 $3{\sim}3.5{\mu}g/mL$, 진통 효과를 위해 레미펜타닐을 1.5 ng/mL 목표농도 조절주입하였다. 적절한 마취 심도와 안정적인 생징후를 유지하며 합병증 발생없이, 후쿠야마 선천성 근이영양증 환아의 전정맥마취하 다발성 치아우식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페키니즈견에서 발생한 연속적 폐염전의 전정맥마취하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를 이용한 치료 (Treatment of Spontaneous Serial Lung Lobe Torsion Using Self-Cutting Linear Endoscopic Stapler in a Pekingese Dog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 박지영;이영원;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0-495
    • /
    • 2013
  • 9년령의 중성화 수컷, 6.9kg의 케피니즈견이1주일간 지속된 호흡곤란, 침울, 황색 구토와 복부 팽만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폐야의 밀도 항진은 CT 촬영에서 우폐중엽의 허탈을 동반한 우폐전엽의 염전으로 진단되었다. 진단으로부터 4일째, 프로포폴과 레미펜타닐을 이용한 전정맥 마취하에 우4늑간 개흉술을 실시하였을 때 우폐중엽과 우폐전엽은 함께 시계방향으로 꼬여있었다.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ENDOPATHETS-FLEX-45)를 우폐전엽과 우폐중엽의 폐문부에 적용하였고, 폐엽절제 후 복합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증례는 우폐전엽의 염전을 따라 연속적으로 우중엽의 염전이 진행된 경우로, 소동물에서 흔하지 않은 폐염전은 진단 후 즉각적 수술 처치가 필요함을 지시하며, 덧붙여 개에서 폐엽 절제시 자가 절단식 스테플러의 적용과 전정맥 마취의 유용성을 나타낸다.

구역반사가 심한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에서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을 이용한 정주진정법 -증례 보고- (Intravenous Sedation using Propofol and Midazolam in The Exaggerated Gag Reflex Patient's Dental Implant Treatment -A Case Report-)

  • 오세리;이준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3
    • /
    • 2010
  • The gag reflex is a physiologic reaction which safeguards the airway from foreign bodies. But, an exaggerated gag reflex can be a severe limitation to a patient's ability to accept dental care and for a clinician's ability to provide it. The overactive gag reflex can be due to psychological factors or physiological factors, or both. Psychological factors can include fear of loss of control and past traumatic experiences. A 58-year-old man, scheduled for extraction of left upper second molar, left lower second and third molar and implantation of left upper second molar, and left lower second molar had no specific underlying medical problems. He had exaggerated gag reflex. Dental treatment was successfully performed using intravenous sedation. Intravenous sedation with midazolam and propofol was a useful management technique for reflex control during dental treatment extended to the posterior regions in the oral cavity.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프로포폴 주사제의 개발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ropofol Microemulsion for Parenteral Use)

  • 이종화;박선영;김동우;조미현;조인숙;이계원;박목순;지웅길
    • 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37-342
    • /
    • 2002
  • Propofol(2,6-diisopropyl phenol) is a phenol derivative that is chemically distinct from other intravenous sedative hypnotics. It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short term anesthetic agent, because of the rapid onset and short duration of action. Propofol microemulsion system was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yl oleate, $Solutol^{(R)}$ HS 15 and $Kollidon^{(R)}$ 17 PF. Propofol microemulsions were studied by transmittance, viscosity, particle size, in vitro release and pharmacokinetics. The range of transmittance of A group with 4% ethyl oleate and that of B group with 5% ethyl oleate were 92.6~95.1 and 91.3~94.2%, respectively. Transmittance 1~2% decreased as concentration of $Kollidon^{(R)}$ 17 PF was increased and increased 0.8~3.3% when 10 times diluted with normal saline. The viscosity of A and B group were in the range of 3.9~4.1 mPaㆍsec and 4.4~5.3 mPaㆍsec,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s of A and B group increased as amount of $Kollidon^{(R)}$ 17 PF. Also, release of propofol was slow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Kollidon^{(R)}$ 17 PF was increased. Propofol plasma concentration by i.v injection showed 2-compartment model. Pharmacokinetics of A-5 wa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emuision(POFOL).

심한 구역반사를 가진 성인환자에서 프로포폴 목표농도 주입법으로 시행한 깊은 진정 (Propofol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 in the Exaggerated Gag Reflex Patient)

  • 신순영;차민주;서광석;김현정;이정만;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5-109
    • /
    • 2012
  • The gag reflex is a physiological reaction, but, an exaggerated gag reflex can be a severe limitation not only to treat dental caries but also to do oral exam. Procedures such as surface anesthesia of the palate and pharyngeral area,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can be options as behavioral management. But, there are no golden rule for the sever gag reflex patients. We present a case report of propofol intravenous sedation using TCI pump for simple dental treatment. A 44-year-old man, who had past history of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because of severe gag reflex, was scheduled intravenous sedation for simple dental treatment. After 8 hour fasting he entered the clinic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explained about intravenous deep sedation and got informed consent. First, we kept intravenous catheter (22G) in the arm and started monitoring ECG, non-invasive blood pressure, pulse oximetry and end-tidal $CO_2$ through nasal cannula. We started propofol infusion with TCI pump at the target concentration of 3 mcg/ml. The patient became sedated, but he showed involuntary movement during dental treatment, so we increased the target concentration to 4 mcg/ml. We finished the dental treatment without complications during 30 min. And after 40 min recovery room stay he was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구강악안면 수술환자에서 술 후 오심 및 구토에 대한 프로포폴의 예방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Propofo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ical Patients)

  • 윤필영;이가영;김영균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200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propofo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following general anesthesia to the patients having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Methods: In a prospective, randomized. case-controlled study. 20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 = 100 in each). In propofol (P) group, patients received 0.5 mg/kg of propofol intravenously at the end of anesthesia. In control (C) group, no antiemetics was given. Emetic symptoms like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a blind nurse at 1 hour and at 24 hours after anesthesia respectively. Also level of sedation was checked by a blind anesthesiologist at 1 hour after anesthesia.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between C group and P group at 1 hour after anesthesia. However,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were all decreased in P group compared with C group at 24 hours after anesthesia (P < 0.0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sedation at 1 hour after anesthesia between C group and P group (P > 0.05).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prophylactic use of subhypnotic dose of propofol could be effective for preventing PONV without change in level of sedation to the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for oral and maxillofaical surg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