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파일 변이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User Profiles Considering Temporal Vari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사용자 프로파일과 컨텍스트 정보를 적용한 협력적 필터링)

  • Lee, Se-Il;Lee,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61-264
    • /
    • 2007
  • 유비궈터스 환경의 추천 시스템에서는 협력적 필터링을 위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하고 있으나, 컨텍스트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추천 결과가 정확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컨텍스트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사용하였으나,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가 변하거나 유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텍스트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연동하지 못하여 부정확한 예측을 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유행이 변하는 경우,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들을 일률적인 값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컨텍스트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가 상황에 따라 적절히 연동하지 못하는 문제는 협력적 필터링하여 나온 결과에 컨텍스트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의 서비스 이력 정보의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여 통합함으로써 예측성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Generation of Roughness Using the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Quantification of Joint Roughness (랜덤중점변위법에 의한 거칠기의 생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Seo, Hyeon-Kyo;Um, Jeong-Gi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2 no.3
    • /
    • pp.196-204
    • /
    • 2012
  • Quantification of rough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ling strength deformability and fluid flow behaviors of rock joints. A procedure was suggested to simulate joint rough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ughnes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tationary fractional Brownian profiles with known input values of the fractal parameter and other profile properties were generated based on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Also, a procedure to simulate three dimensional roughness surface was suggested using the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Selected statistical roughness parameters were calculated for the generated self-affine profiles to investigate the attribute of roughness. Obtained results show that statistical parameters applied in this study were able to consider correlation structure and amplitude of the profiles. However, effect of data density should be tackled to use statistical parameters for roughness quantification.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on Entrepreneurial Education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ype of Entrepreneurship (대학생 창업교육동기에 대한 사람중심접근법 :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창업의도 및 창업유형)

  • Oh, Hyun Sung;Byun, Ji-Yeon;Kim, Jun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365-37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attern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on entrepreneurial educational motivation among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from one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n=614).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ypes of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explore the types of leaning motivation profiles,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mployed. Result from LPA revealed five distinct types of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fit the data best, and these five profiles are compared with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ypes of entrepreneurship. Results showed that Profiles (profile 5 and 4-high goal orient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Regarding the type of entrepreneurship, the majority of all students are interested in individual and co-entrepreneurship with friend regardless of the patterns of profiles.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using Gabor filter (Gabor 필터를 이용한 온라인 서명 검증 기법)

  • 이종현;김성훈;김재희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3
    • /
    • pp.129-13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that uses Gabor filter in computing similarity between signatures. In computing similarity to compare two on-line signatures,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wo signatures should be computed in advance. However, conventional point matching method using DP(dynamic programming) matching consumes much compu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method for computing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wo on-line signatures by using the phase output of Gabor Inter applied on the on-line signature signals. Two similarity measures are defined in the method: Temporal Similarity and Temporally Arranged Feature Profile Similarity. With the proposed method, Ive could compare signatures 30 times faster than conventional method using DP matching.

Profile Learning for Concept Change Over Time (시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 관심도 학습)

  • 권현철;박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66-168
    • /
    • 2001
  • 근래에 들어서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 검색 및 정보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요량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 개인마다 적합하지 않은 정보에 대한 검색 시간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일어나는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여 생성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개인마다 맞추어진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행위에 대해 비 감독 학습 방법인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심 클러스터를 생성, 사용하여 기존의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에서 간과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관심에 대한 변화를 탐지하고, 변화하는 사용자의 관심 이동 형태에 따라 이를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므로 해서 기존의 개인화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방법보다 진보한 학습 방법을 지닌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 PDF

Target Marketing Method on Specific Item Using Chi-Square Analysis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카이스퀘어 분석과 아이템기반 협력적 여과를 이용한 타겟마케팅 기법)

  • Kim, Wan-Seop;Lee, So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607-609
    • /
    • 2005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추천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해 않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추천시스템은 마케팅 활용의 관점에서 목표 상품에 대한 반응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을 추천하는 타겟마케팅 추천시스템과 고객 개인별로 구매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추천하는 개인화 추천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목표를 두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타겟마케팅에 대한 요구를 적절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어 타겟마케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별 구매 패턴을 이용하는 프로파일 기반 추천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과 기존의 협력적 추천 방법을 결합하여 특정 상품에 반응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프로파일 기반 추천에서는 카이스퀘어 검정을 사용하여 상품별로 구매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징 고객군을 선별하여 전체 고객군과 특징 고객과의 엔트로피(Entropy)의 변이 정도를 예측값으로 사용한다. 실험결과, 프로파일 기반 추천과 협력적 추천을 결합하여 추천하는 방법은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할 때 보다 좋은 추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

The Profile of Public Library Users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the Literature before the 1990s (미국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프로파일: 1990년대 이전 문헌을 중심으로)

  • Yoon, Cheong-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3
    • /
    • pp.61-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mmonly known profile of public library users was describ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the 1990s, when information environment of the public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The profile of users as the socio-economically advantaged, active participants, and communication elites, has little changed since Berelson's study in the 1940s. Continuing research on users, however, are still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ir needs and behavior, facing the change since the 1990s.

Negative Relative Feedback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을 이용한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

  • Son, Ki-Jun;Lee, Jae-An;Lee, Sa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351-355
    • /
    • 2007
  • 문서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요구를 기준으로 문서들을 선별하여 제시한다. 사용자의 정보요구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로 구성된 프로파일로 표현이 되며, 문서의 여과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연관성 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으로 변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연관성 평가에 참여하여 평가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학습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연관성 피드백 뿐만 아니라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과, 대표적인 연관성 피드백 방법인 Rocchio 방법과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네 가지 토픽에 대하여 여과를 수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였을 경우 Rocchio 방법 보다는 6% 더 성능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결과 부정적 평가를 받은 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문서를 제거함으로써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 PDF

Discovery of Preference through Learning Profile for Content-based Filtering (내용 기반 필터링을 위한 프로파일 학습에 의한 선호도 발견)

  • Chung, Kyung-Yong;Jo, Sun-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2
    • /
    • pp.1-8
    • /
    • 2008
  • The information system in which users can utilize to control and to get the filtered information efficiently has appeared. Content-based filtering can reflect content information, and it provides recommendation by comparing the feature information about item and the profile of preference. This has the shortcoming of the varying accuracy of prediction depending on teaming method. This paper suggests the discovery of preference through learning the profile for the content-based filtering. This study improves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through learning the profile according to granting the preference of 6 levels to estimated valu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inall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is study applies to MovieLens dataset, and it is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of previous studies.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Adequate Velocity Profile for Position Control of Linear BLDCM (선형 BLDCM의 위치제어에 적합한 속도 프로파일 선정에 관한 연구)

  • Ahn J.Y.;Cho H.H.;Cha H.R.;Kang S.Y.;Kim K.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501-503
    • /
    • 2006
  • 최근 산업 분야에서 리니어모터는 고속, 고정밀도의 요구사항에 따라 회전 모터와 볼 스크류, 벨트를 이용한 직선구동방식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이 높기 때문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리니어모터 중에서 선형 브러시리스 직류 전동기(LBLDCM)는 다른 리니어모터에 비해 소형, 경량이 가능하고, 저속 및 고속의 운전이 용이하며, 기계 가공 정도보다는 엔코더 등과 같은 위치 결정 응용 분야에 적합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LBLDCM은 코일 가동형으로 영구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계와 가동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LBLDCM을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동 중에 속도가 변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줄여야 하며 목표지점까지의 정확한 위치 제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속도 프로파일에 따른 진동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동거리에 따른 적합한 속도 프로파일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목표지점까지의 위치 오차를 저감하면서 정밀한 위치 제어에 적합한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