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maturity model based mutual influence betwee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domains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성숙도 모델)

  • Jeon, Sun-Cheon;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50-858
    • /
    • 2008
  • 최근 공공기관 및 금융권에서는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통합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대형화되고 또한, 프로젝트 수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영역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범위, 일정, 품질, 인력, 위험"의 각 영역들간의 상호 미치는 영향도의 분석과 각 영역의 진행 상태를 "계획, 실행, 완료"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영향도와 수행도의 결과를 종합하여 프로젝트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T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 영역들간의 영향 분석이 실증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또한 각 영역의 진행상태를 측정 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프로젝트 관리와 감리 수행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범위관리 활동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프로젝트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

  • Im, Gyu-Geon;Park, Bong-G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5-350
    • /
    • 2007
  • 여러 연구에서 정부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핵심 성공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요인들로 의사소통, 참여자의 자질, 표준화 등의 여러 요인들이 고찰되어 왔으나, 실제 프로젝트 현장에서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그 수행의 근본이 되는 범위를 관리하고 통제하는데 실패하여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범위 관리가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행 중의 범위관리 활동들이 실제 프로젝트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중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 영향의 정도와 범위관리의 각 활동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의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범위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Web Based Project Management System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구현)

  • Sung-So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449-451
    • /
    • 2008
  • 웹 기반 프로그램이 발전함에 따라 웹 관련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참여 인원이 늘어나게 된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MS Project, OpenProj, Trac 등 많은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 있지만, 그 중 Trac은 대표적인 웹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로보드, 테터툴즈 등 국내 주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Trac에 대한 특징을 연구하고 Trac이 가지는 장·단점을 살펴보고 설치 방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관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외주개발 및 자체개발 비교를 중심으로

  • Han, Se-Hui;Lee, Hui-Seo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34-339
    • /
    • 2007
  • 급변하는 최근의 경영환경 하에서 다수의 기업이 자체개발보다 외주개발을 활용하는 추세이나 이에 따른 프로세스 관리의 어려움이 동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주개발과 자체개발의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관리수준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방안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프로젝트 관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모형인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기반으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수행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외주개발 프로젝트의 평균적인 관리수준은 자체 개발 프로젝트에 비해 미흡하였다. 그러나, 외주개발 프로젝트의 관리수준 간에는 표준편차자 컸고, 상위 관리수준 프로젝트는 외주개발 프로젝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시스템 외주개발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단순히 외주개발에 관한 일반적 위험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외주개발업체의 프로세스 품질관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Owner's Project Performance through Scope 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Project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범위관리 활동이 발주자의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im, Gyu-Gun;Lee, Chang-Ho;Kim, Jeong-L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375-3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입장에서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을 범위의 기획 및 정의, 범위의 검증, 범위의 통제 3가지로 구분하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성과와 제품에 대한 성과 2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위관리 활동들이 각각의 프로젝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와 동시에 프로젝트의 규모, 공급자 유형, 경험여부와 같은 프로젝트 특성이 범위관리 활동과 프로젝트 성과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주자 입장에서 범위관리 각각의 활동이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연구를 함으로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들로 하여금 프로젝트에 있어 범위관리의 각각의 활동들에 대한 중요도를 인식시켜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고취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 Seol, Jeung-Ung
    • Digital Contents
    • /
    • no.7 s.74
    • /
    • pp.66-71
    • /
    • 1999
  • 지금까지 경험해온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자체의 적용 방법론이나 기술의 우수성보다 오히려 프로젝트 관리방법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는 관건임을 수차에 걸쳐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제 절차와 원칙에 근거하여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관리 요소들을 지속적이고 유기적으로 대응,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 PDF

정보시스템 프로젝트관리

  • Jo, Min-Ho
    • Digital Contents
    • /
    • no.6 s.73
    • /
    • pp.92-96
    • /
    • 1999
  • 프로젝트는 비행 청소년과도 같아서 만약 부모가 세심히 주의를 기울이면 모범적으로 행동하고 부모가 등을 돌리고 돌아선 순간 불량한 행동을 한다. 이처럼 정보시스템 프로젝트는 그 관리 여부에 따라 성공여부가 결정된다. 현재 많은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가 완료이전에 중단되며 1/3이상의 프로젝트가 예산과 마감 시간을 넘기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나날이 복잡해지는 프로젝트 기술 요건과 많아지는 의뢰인의 요구 사항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formed scheme of Auditing Guideline in the Information Systems project Management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감리지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태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457-465
    • /
    • 1999
  • 최근 정보화 사업을 추진중인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공익 프로젝트와 관련, 프로젝트 관리 분야에 국한하여 기존의 감리 기준에 의한 감리 현황을 조사하고 유형을 분석, 감리인과 피 감리인이 향후 감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프로젝트 관리 감리 영역과 세부 감리 점검대상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Author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multimedia contents development projects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를 위한 저작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 고정호;김경렬;임채덕;이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2-27
    • /
    • 1998
  • 국내외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에 대한 연구는 급속히 변하고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의 저작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연구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프로젝트 관리에 맞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Review of Project Selection and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프로젝트 선정 및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고찰)

  • Kim, Min-Cheol;Ha, Tai-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6 no.3
    • /
    • pp.85-91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젝트 선정 및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고찰이다. 첫 번째 부분은 프로젝트 선정에 관한 세 가지 방법 (AHP, 경제학적 방법, Microsoft's Enterprise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장 단점에 대한 간단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기법 등을 소개하였고, 6개의 질문을 통해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조직화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