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력발전기제어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active power control in wind turbine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voltage control slope (전압제어 Slope를 반영한 풍력발전기 무효전력출력 제어)

  • Shin, Heewon;Lee, Hwanik;Kim, Dohyuk;Kang, Yongchel;Lee, Byo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52-1053
    • /
    • 2015
  • 풍력발전기의 대용량화와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출력 안정화로 인하여 그리드 코드에서는 상정 사고 시 풍력발전기를 탈락시키지 않고 전압제어에 참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전압제어참여는 크게 단지 레벨과 발전기 레벨로 나누어지며, 개별풍력발전기가 단지 급 제어기로부터 무효전력 지령신호를 받아 필요량을 출력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풍력발전단지와 기존발전기 및 FACTS 설비와의 협조제어 알고리즘 연구에 앞서 개별풍력발전기의 전압제어특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요하다. 풍력발전기는 상정사고 시 전압강하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전압제어 Slope 특성을 이용하여 무효전력출력량을 산정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무효전력 출력 전압제어 Slope를 갖는 영구 자석형 풍력발전기의 출력특성에 대하여 모의하였으며, 해외 독일 Grid Code인 E.ON 및 SDLWindV에서 제안하는 전압데드밴드 변경 및 K_slope 변경을 통해 풍력발전기가 전압제어에 효과적으로 참여하여 전압강하가 개선됨을 증명하였다.

  • PDF

The study of sensor malfunction detection and conversion to Sensorless control when the failure of rotational speed sensor is occurred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 고장 검출 및 Sensorless 제어로의 운전 전환 연구)

  • Oh, Joongki;Choi, Wonsik;Park, Kihyun;Park, Hyun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3.1-18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의 고장 발생 시 고장을 검출하고 회전속도센서의 사용 없이 Sensorless 제어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를 기술하였다. 최근 풍력발전은 급속한 성장함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대형화 및 해상풍력화 추세에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은 바람 및 설치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이점에 반해 염해, 습도 및 파도에 의한 진동 발생으로 센서의 고장 발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센서 고장 발생 시 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회전속도센서의 고장이 검출되면 회전속도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제어방식에서 Sensorless 제어로의 전환을 통해 안전하게 풍력발전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된 제어기법은 PSIM을 이용한 시물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Wind Generator Exciter Controller Design (풍력 발전기 여자 제어기 설계)

  • Hong, Hyun-M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31-1732
    • /
    • 2005
  • 본 논문은 풍력발전기 안정된 출력발전을 위하여 풍력 동기발전기 여자기 설계에 중점을 두었다. 풍력발전기 최대 발전을 얻기 위해 동기발전기 속도제어와 여자제어가 필요하다. 속도제어에서 AC/DC 정류기는 전력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DC/AC 인버터는 IGBT로 구성하였다. 여자제어 구성은 AC/DC는 전력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DC단은 DC/DC 부스트로 구성하였다. 또한, 동기발전기 여자 제어기 제어신호에 동기발전기 출력 AC/DC의 전력과 동기발전기 속도로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안정되고 최대 출력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된 제어기가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시뮬레이션으로 증명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Small-Scale Wind Turbin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소규모 풍력발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구현)

  • Kim, Do-Young;Kim, Young-Ch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9
    • /
    • pp.1808-1818
    • /
    • 2015
  • Recently, the wind power has experienced great attentions and growths among many renewable energy sources.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size of wind turbine (WT) is getting bigger and most of wind power plants are being constructed on offshore. Therefore, the maintenance cost is relatively high because boats or helicopters are needed operators to reach the WT. In order to combat this kind of proble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the WT is needed. In this paper, the small-scale W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s implemented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To do this, sensor devices are installed to measure and send the WT status and control device is installed to receive control message for specific operation. The WT is managed by control center through graphic user interface (GUI) based monitoring and control software. Also, smart device based web-program is implemented to make the remote monitoring of the WT possible even though operators are not in control room.

Control System Development of 750kW Direct Drive Wind Turbine Generator (750kw급 직접 구동형 풍력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개발)

  • Kim, Dae-Hyun;Hwang, Jin-Su;Lee, Seung-Hun;Jang, Sung-Tae;Ryu, Ji-Y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5-58
    • /
    • 2005
  •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보호 및 제어 시스템은 그 효율, 성능, 안전 및 수명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은 풍력발전기의 최대 효율 및 가동률을 확보하여야 하며 풍력발전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가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750kw급 Gearless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던 풍력발전기용 제어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과정과 상용제품으로서의 본 제어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Wind Turbine Power Control to Minimize Power Loss within Wind Farm (풍력발전단지 내 송전손실 최소화를 위한 풍력발전기 출력 제어)

  • Kim, Yun-Soo;Jeong, Ho-Yong;Moon, Se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40-241
    • /
    • 2011
  • 풍력발전단지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풍력발전단지의 제어를 통한 계통 규정 참여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단지 내에서의 송전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풍력발전기의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모의 계통은 덴마크 해상풍력단지 Horns Rev를 본떴으며 풍력발전기 별로 적용되는 풍속도 Wake Effect를 고려한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손실 최소화를 위해 Linear Programming(LP)에 기반을 둔Optimal Power Flow(OPF)를 사용하였다.

  • PDF

Design and Verification of Disturbace Observer based Controller for Windturbine with Two Cooperative Generators (두 대의 협력적인 발전기를 갖는 풍력발전기의 외란관측기 기반 제어기의 설계 및 검증)

  • Lee, Kook-Sun;Cho, Whang;Back, Ju-Hoon;Choy, Ic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2
    • /
    • pp.301-308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disturbance observer based controller design method for generating and yawing control of windturbine with two cooperative generators. Windturbine system with two cooperative generators is a distinct structure in which the wind energy supplied by blade axis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two cooperative generators. In this structure, two generator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and therefore they can generate power, simultaneously performing yawing control of nacelle without extra yawing mechanism by cooperatively controlling generating load in appropriate manner. Using this structural trait, this paper designs a disturbance observer based controller that enables the windturbine system with cooperative generators to generate and yaw stably, and verifies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experimentally by applying it to a small-scale windturbine system with the same structure.

A Wind Turbine Simulator for Doubly-Fed Induction-type Generator with Automatic Operation Mode Change during Wind Speed Variation (가변 풍속시 운전모드 절환을 고려한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의 시뮬레이터)

  • Song, Seung-Ho;Sim, Dong-Joon;Jeong, Byoung-Cha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4
    • /
    • pp.349-360
    • /
    • 2006
  • Controller for doubly-fed induction-type wind generation system should be designed with mechanical power on blade. The controller in this paper consists of upper level controller and lower level controller. The upper level controller determines operating modes according to mechanical input power and calculates proper reference values. There are 4 operating modes - minimum speed control, variable torque control, torque limit control and idle mode. The lower level controller performs current regulated PWM control of rotor-side converter and grid-side inverter. A wind turbine simulator is implemented using doubly-fed induction-type generator and DSP based back-to-back convert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designed controller experimentally.

Application of 3D Picture Control to the Simulator to Visualize the Field Demonstration Data (실증 Data 시각화를 위한 풍력시스템 Simulator 3D 시각화 작업 구현)

  • Choi, Hyojin;Kim, Young Chan;Chun,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7-187
    • /
    • 2010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POSTECH 풍력에너지연구소는 2003년 750kW급 KBP-750D 풍력발전기용 모의시험장치에 이어, 2007년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KBP-2000M)의 400:1 축소모델인 5.83kW 모의시험 장치를 제작 완료하였다. (주)플라스포사는 모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인버터 시스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주)유니슨은 2MW 풍력발전기용 통합연동제어 시스템을 제작 완료하여 2009년부터 대관령 실증단지에 초도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은 대관령 실증단지에서 실시한 2MW 풍력시스템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3D모델 처리방안을 적용하여 모의시험 장치에 구현한 내용이다. 풍력발전기 개발은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연구개발 단계에서 풍력발전기의 발전 및 제어부분의 기능적 안정성 확보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적절한 시험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타워를 건설하고 회전자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한다는 것은 설치 공간과 비용의 제약이 따른다. KBP-2000M (2MW) 모의시험장치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대형장비를 연구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며, 실증을 통해 획득한 Data를 적용함으로서 재품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성능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하다. 실증 Data를 시각적으로 3D로 표현함으로서 현장의 풍속/풍향 변화를 사실감 있게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도 풍력발전기를 연구개발하거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와 안전을 위한 연동장치를 갖춘 스케일 다운된 모의시험장치 구축이 요구될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모의시험장치에 적용(Feedback)하여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높여나갈 것이다.

  • PDF

Fault-Tolerant Database System for managing Wind Turbine Control System (무중단의 풍력 발전 시스템 관리를 위한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Kim, Young-Hwan;Son, Jae-Gi;Ham, Ky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56-59
    • /
    • 2012
  • 최근 신재생 에너지 분야 가운데 풍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산업 분야의 연구 또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풍력발전기의 경우 초기 설치에 고가의 비용이 필요하며, 고장 발생 시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Nacelle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센서데이터를 수집하는 Bottom에서의 제어시스템을 다중화하여 고장 발생 시에도 풍력발전기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개발된 고가용성 시스템을 통해 풍력 발전기의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고장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