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품질표시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우리나라 농수산물의 지리적표시를 위한 조사연구-음성고추, 제주광어, 제주감귤을 중심으로

  • Kim, Seon-A;Hong, Sang-Pil;Jang, Dae-Ja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9 no.4
    • /
    • pp.85-103
    • /
    • 2006
  • 지리적 표시란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명성, 품질, 기타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당해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이 그 특정지역에서 생산된 특산품임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리적 표시제는 우수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지리적 표시를 등록.보호함으로써 지리적 특산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여 생산자를 보호.육성하고, 소비자에게는 특정 제품에 대한 지리적 명칭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우수한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을 소비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루과이라운드(UR)에 의한 무역협상 타결로 '95년에 출범한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Agreement on Trade 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RIPs)"을 다자간 무역협상의 대상으로 추가함으로써 통상교섭의 영역을 상품 및 서비스생산 중심에서 지적재산권 영역까지 확대시켰다.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TRIPs" 협정에 대한 일반적 이행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96년 10월 한.EU기본협력협정 체결시 EU의 지리적표시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요구하는 등 국제적인 지리적표시 보호 강화 움직임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지리적 특산품을 국내 및 국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99년 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지리적표시 등록제가 도입되었다. 현재 보성녹차, 하동녹차, 고창복분자, 영양고추 및 서산육쪽마늘, 의성마늘, 괴산 고추 및 순창고추장, 괴산 고춧가루, 성주참외, 해남겨울배추, 이천쌀, 철원쌀이 등록되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가교 역할을 하고 있어 다양한 품목에 대한 지리적 표시 등록을 위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최근 수행한 음성 고추, 제주 광어, 제주 감귤의 지리적 특성과 품질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한 연구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 PDF

해외정보(1)-덴마크의 가금육 품질인증 표시 제도

  • Korea Chicken Council
    • Monthly Korean Chicken
    • /
    • s.140
    • /
    • pp.109-111
    • /
    • 2007
  • 덴마크는 유럽에서도 농식품의 품질과 관련하여 엄격한 법규와 제도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덴마크에서 소비되는 주요 식품인 육류, 가금육, 우유, 곡물 부문 중 가금육의 일차 생산 단계에 적용되는 품질인증 표시 제도에 대해 살펴본다.

  • PDF

The Impact of Geographical Indication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y of a Region : A Case Study of Boseong Green Tea (지리적 표시제 도입이 지역 문화산업 진흥에 미치는 영향 -보성녹차를 사례로-)

  • Suh,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2
    • /
    • pp.229-244
    • /
    • 2006
  • Geographical indications are signs which identify a good as originating in the territory of a specific country, region, or locality, where the quality, reputation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is essentially attributable to its geographical origin. Korea has implemented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through its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Control Act since 1999.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geographical indications on a particular cultural industry in a region using a case study of Boseong green tea which is the first product that was officially registered as a geographical indication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geographical ind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green tea industry in Boseong not only through increase of production but also through development of tourism. The implication is that a geographical indi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cope with trade liberalization in terms of agricultural policy. Another implication is that a geographical indication provides an efficient tool for place marketing.

  • PDF

미국의 타이어 품질등급제(UTQGS)-BELTED BIAS 타이어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89
    • /
    • pp.30-35
    • /
    • 1980
  • Belted Bias 타이어의 타이어 품질등급제 (UTQGS: Uniform Tire Quality Grading Standard)가 79년 10월1일 발효되었다. 다음 일람표는 미국운수성(DOT) 국유 High Way 교통안전국(NHTSA)에 79년 10월 3일까지 등록된 각 타이어 메이커 및 자가 Brand 품(Private Brand)업자로부터 제출된 등급표시이다. Bias타이어의 등급표시는 지난 호(5~6월)에 게재한 바 있으며, 앞으로 Radial 타이어의 UTQGS에 의한 등급표시도 곧 입수되는대로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Grades 표시내용에 대해서는 지난 호에 주석해 놓았으므로 참조바랍니다.<편집자주>

  • PDF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Quality Assessment Before Purchase, Attitudes towards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구매 전 품질평가와 제품 사용 및 구매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 Jun, Sangmin
    •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 /
    • v.15 no.3
    • /
    • pp.67-90
    • /
    • 2012
  • When consumers choose healthy foods, they base their buying decisions on health-related food labeling and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Moreover, both purchase experience and opinions of family and friends affect consumer choices. Focusing on these poin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consumer choices by adding two variables-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purchase experience-to the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also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our hypotheses. In the study, health-related food labeling includes organic labeling, nutrient claims, and food additive labeling. We conducted a mail survey among 300 married women who buy cheese slices for their children more than once a month. It was discovered that health-related food labeling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consequently led to positiv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Particularly, health-related food labeling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using products without assessing the quality of taste, health, and price. The level of quality assessment of pric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experienc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urchase intentions was not significant. Overall, this study essential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of food labeling and consumer choices, which includes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purchase experience, by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미국의 주류 표시 규정

  • Kim, Yeong-Chan
    • 주류산업
    • /
    • v.24 no.2
    • /
    • pp.38-50
    • /
    • 2004
  • 상품 표시는 해당제품의 특성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주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즉, 표시는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는 도구이자, 선택의 권리를 부여하는 수단이기도 하다.<중략>

  • PDF

KAPE의 발견 - ④ 대전충남지원 특화사업 "돼지고기 품질 특성별 구분판매 시험사업"

  • 축산물품질평가원
    • KAPE Magazine
    • /
    • s.255
    • /
    • pp.7-9
    • /
    • 2017
  • 그동안 쇠고기는 부위에 따라 의무적으로 등급을 표시하여 판매하여 왔으나, 돼지고기는 자율로 등급 표시를 해 왔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 일부 생산자단체와 소비자단체에서는 돼지고기도 쇠고기처럼 소비자가 품질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며 구매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요구하였다. 이에 대전충남지원은 돼지고기도 소매단계 품질구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고 올해 초 그간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와 함께 돼지고기 인기부위인 삼겹${\cdot}$목심에 대하여 부분육 품질구분(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 PDF

포장과 법률 -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31
    • /
    • pp.88-96
    • /
    • 2020
  • 환경부는 분리배출표시를 재질 중심에서 배출방법 중심으로 변경하여 일반인도 분리배출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여 선별 및 재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또한 이번 제정안은 각각 존재하던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와 분리배출표시 관련 고시를 통합, 업계의 혼란을 줄이려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다음에 그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홍콩 식품표시(상미$\cdot$소비기한 관련)제도

  • 한국식품공업협회
    • Food Industry
    • /
    • s.149
    • /
    • pp.114-116
    • /
    • 1999
  • 심도 냉동(급속 냉동 포함)식품과 특정 품질특성이 유지되는 기간이 18개월이 넘는 식품은 ''상미(best before)'' 또는 ''소비(use by)'' 기한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은 1996년에 폐지하도록 재정고시되었으나 시행은 유보되어 있다. 1999년 제53호 법률 공고에 따라 1999년 6월 1일부터 이 유보 조항을 시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심도 냉동 식품과 특정 품질특성이 유지되는 기간이 18개월이 넘는 식품에도 1999년 6월 1일부터는 상미기한 또는 소비기한을 관련 규정에 따라 표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50,000의 벌금과 6개월의 징역을 받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