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 학습

Search Result 1,6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fficiently Learning and Representation the Advection and Remove of Fire-Flake Particles (불똥 입자의 이류과 삭제를 효율적으로 학습 표현하는 인공신경망)

  • Kim, Donghui;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45-34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유체 시뮬레이션(Fluid simulation)중 화염에서 표현되는 불똥 입자(Fire-flake particle)의 생성, 움직임과 삭제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유체 시뮬레이션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치해석학과 같은 학문의 이해가 필요하며 불똥이나 거품과 같은 유체의 2차 효과(Secondary effect)는 기반유체(Underlying fluids)를 통해 추출되기 때문에 복잡하고 계산양이 많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분류 모델 학습을 통해 격자 내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불똥 입자의 생성을 학습하고, 다항 회귀 모델 학습을 통해 불똥 입자의 움직임을 예측한다. 또한, 불똥 입자가 삭제되어야하는 상태를 네트워크 학습을 통해 얻어내며, 수명(Lifespan) 임계값 조절하여 다양한 장면에서 불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염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불똥의 움직임을 복잡한 수학식이나 디자이너에게 의존하지 않고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쉽게 제어하고 예측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A Representation Mode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s in Storuboard (스토리보드에서의 학습자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 표현기법)

  • 이근백;예홍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97-699
    • /
    • 1998
  •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작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학습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 각각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정의하고 화면에 배치하는 것은 물론 시간흐름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스토리보드에 손쉽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보드 작성기를 개발함에 있어서,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을 스토리보드에 표현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스토리보드 작성기의 주요 기능과 작업 화면들을 설명하고 있다.

  • PDF

Visual Sentences for Educational Math Games

  • Chang, Hee-D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8 no.1
    • /
    • pp.32-38
    • /
    • 2011
  • The help or guide sentences of educational math games which use mathematical statements need to represent graphical forms for the learners of the game generation whose cognitive style is graphic first.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object-based visual representation method for mathematical statements. It has object-based description rules to use graphical symbols and mathematical symbols with text words. It is easy to describe or to understand accurately mathematical meaning and is also fast for learners to read for understanding. The proposed method is good for learners of the game generation to get the help as scaffolding for learning math by educational games.

  • PDF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pecial Token Cutoff Method for Korean Sentence Representation in Un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비지도 대조 학습에서 한국어 문장 표현을 위한 특수 토큰 컷오프 방법의 유효성 분석)

  • Myeongsoo Han;Yoo Hyun Jeong;Dong-Kyu Ch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91-496
    • /
    • 2023
  •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문장 표현(sentence representation)을 도출하기 위한 다양한 대조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조학습 방법들은 문장 쌍의 관계만을 고려하며, 문장 간의 유사 정도를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어서 근본적인 대조 학습 목표를 저해하였다. 이에 최근 삼중항 손실 (triplet loss) 함수를 도입하여 문장의 상대적 유사성을 파악하여 대조학습의 성능을 개선한 연구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영어를 기반으로한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어 기반의 비지도 대조학습에 대한 삼중항 손실 함수의 실효성 검증 및 분석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이 한국어 비지도 대조학습에서도 유효한지 면밀히 검증하였으며, 다양한 평가 지표를 통해 해당 방법론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가 향후 한국어 문장 표현 연구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PDF

초등학교 고학년의 창의성개발을 위한 만화표현학습

  • Choe, Mi-Ran;Jeong, S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3-126
    • /
    • 2009
  • 본 연구는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창의성개발을 목적으로 만화의 창의성 평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실험대상의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만화의 창의성 요소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더불어 흥미성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각 요소를 통하여 객관적인 창의성 평가를 얻기 위해 각 요소에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이 후 1 차 실험은 실험대상의 4 컷 만화제작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의성 요소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기본적인 창의성 요소를 확인한 결과 수업 전의 창의성이 높은 요소는 유창성, 낮은 요소는 독창성을 들 수 있었다. 또한 1 차 실험 후 실험대상의 작품평가에 대한 창의성 결과에 대해 정교성과 흥미성의 요소를 더욱 개발하기 만화 표현학습이 이루어 졌으며 이후 2 차 실험이 이루어졌다. 2 차 실험 또한 4 컷 만화제작을 통하여 창의성 변화요인을 살펴 보았으며 만화학습 후의 창의성 개발요소 중 높은 요소는 정교성, 낮은 요소는 독창성의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창의성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만화표현학습이 실험대상의 창의성 변화에 대해 영향을 끼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earning Contextual Meaning Representations of Named Entities for Correcting Factual Inconsistent Summary (개체명 문맥의미표현 학습을 통한 기계 요약의 사실 불일치 교정)

  • Park, Junmo;Noh, Yunseok;Park, S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4-59
    • /
    • 2020
  • 사실 불일치 교정은 기계 요약 시스템이 요약한 결과를 실제 사실과 일치하도록 만드는 작업이다. 실제 요약 생성연구에서 가장 공통적인 문제점은 요약을 생성할 때 잘못된 사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요약 모델이 실제 서비스로 상용화 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문으로부터 개체명을 가져와 사실과 일치하는 문장으로 고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언어 모델이 개체명에 대한 문맥적 표현을 잘 생성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그리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원문과 요약문에 등장한 개체명들의 문맥적 표현 비교를 통해 적절한 단어로 교체함으로써 요약문의 사실 불일치를 해소한다. 제안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추상 요약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데이터를 만들어 학습하고, 실제 시나리오에서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모델이 요약한 요약문을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자동 평가와 사람 평가에서 제안 모델이 비교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Learning of concept with real-valued input with modified Logical Evolution method (확장된 논리적 진화방식을 이용한 개념학습)

  • 박명수;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d
    • /
    • pp.1247-12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논리적인 진화방식을, 보다 일반적인 문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확장하였다. 기존의 알고리듬이 0 차 논리(zero-order logic)에 의해 표현되는 개념만을 학습할 수 있었던 점을 개선하여, 특징논리로 표현되는 개념까지 학습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또한 확장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실수입력을 가지는 개념 또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이전의 알고리듬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개념을 학습할 때, 이전의 학습결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개념을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듬에 의해 특징논리로 표현되는 개념을 학습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개념을 학습할 때 성능향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Data Representa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데이터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

  • Ma, Dai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1
    • /
    • pp.13-20
    • /
    • 2016
  • Data are numbers and texts, images, sound etc in real world. But, data is represented as a sequence of 1s and 0s in computer. It is very difficult that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data representation through traditional lecture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of KAIE and selected contents of data representation education for the mid-grade elementary students. Also, we develope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nd multimedia contents for data representation educatio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ftware education for data representation education.

The design of web-based color learning system (웹 기반 색채 학습 시스템 설계)

  • Shin, Ji-Hye;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38-245
    • /
    • 2005
  • 우리 생활 속에서 항상 존재하고 있는 색채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색채 교육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 지도 내용을 재구성하여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색채 감각을 신장시킬 수 있는 웹 형태의 색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색채에 대한 지식과 함께 미적체험, 표현 감상에 관하여 학습하고 시스템에서 다양한 표현 활동 및 상호 작용 학습을 실행함으로써 효과적인 색채 학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에서의 학습 단계는 여러 가지 색, 색의 느낌, 색의 배색, 색의 속성, 색의 이미지, 색과 생활이라는 큰 단위의 6가지 학습 단계를 가지고 있고 각 단계 별로 미적체험, 표현, 감상 의 단계를 거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inary System Teaching Contents for the Characters (문자의 이진체계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Go, Hyungchul;Kim, Ch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1
    • /
    • pp.39-46
    • /
    • 2016
  • Unplugged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strument for teaching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We'll present 'the binary system teaching contents for the characters' developed for the elementary. And they will successfully guide the stud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using in computer system. The activity-based learning is provided for describing characters with coding and decoding rules, and the using will be found out in everyday life. To check the adequacy of these materials they were tested to the elementary classroom, and the results showed effectively at Knowledge, Attitude, Generalization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