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피

검색결과 1,066건 처리시간 0.032초

폐흡충 총체표피의 단백질 조성 및 항원성 (Protein composition and antigenicity of the tegument from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69-276
    • /
    • 1993
  • 폐흡충 성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항원성을 갖는 표피 단백질을 규명하였다. 10개월 성충을 0.1% digitonin용액에 담궈 표피하 기저 막까지 박리하여 회수한 표피층을 초음파 분쇄하여 표피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표피 단백 질 추출액을 SDS-PAGE와 immunoblot으로 분석하였다 폐흡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은 분자량이 각각 94. 74 (76-66). 62. 54. 44. 42. 38, 28, 26, 25 24. 17. 15.5. 13.5 IEDa으로 측정되었고. 94 kDa 단백질이 가장 주된 표피단백질이었다. 폐흡충 감염자 혈청을 사용한 immunoblot에서 항원성이 확인된 표피단백질의 분자량은 각각 94. 90. 78. 76. 74. 68. 65. 62. 60, 59. 54 kDa 이었다. 이 표피항원 단백질은 폐흡충증 혈청 10개중 7개에서 immunoblot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7개 양성반응 혈청 각각에서 표피항원 단백질의 특이 항원성이 모두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들 폐홉충 표피항원은 간흡충란 양성자혈청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폐흡충 표피 단백질중에서 분자량 94-54 kDa 사이의 것들이 폐흡충 특이 항원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94 kDa 단백질은 가장 양이 많은 대표적인 표피단백질이면서 아울러 특이항원성도 갖고 있었고. 양이 적은 표피단백질이었던 76. 66 kDa 단백질도 상대적으로 높은 특이 항원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Flat bitterling, Paracheilognathus rhombea and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 in the Subfamily Cyprinidae)

  • 권문정;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6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와 난의 carotenoid 조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수컷 2.3mg%, 납지리 암컷 1.1mg%, 줄납자루 수컷 1.9mg%, 줄납자루 암컷 0.8mg%로 나타나 수컷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이 암컷 표피보다 다소 높았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lutein, lutein epoxide,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이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beta-carotene,$ $\alpha-cryptoxantinm$ cyn-thiaxantin 이 함유되어 있었다. 납지리 수컷의 표피에는 줄납자루 수컷에 비해 lutein의 함량치가 높았고 줄납자루 수컷의 경우는 납지리 수컷이 비해 lutein epoxide와 tunaxanthin의 함량치가 높았다. 그리고 납지리 암컷을 표피에는 줄납자루 dkat에 비해 lutein epoxide 함량치가 높았도 줄납자루 암컷의 표피에는 납자리 와 줄납자루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1.8mg%, 와 줄납자루 2.5mg%로 표피와는 달리 줄납자루 난의 함량치가 높았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난의 carotenoid 조성은 다 같이 lutein, lutein epoxid 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triol은 표피에 비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잉어아과의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 및 나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폐흡충 표피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 of Adult Paragonimus westermani)

  • 최원영;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85
  • 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로 체표면은 굴곡에 의한 많은 돌기로서 소위 자갈밭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피극들과 유두가 체표면에 돌출하고 있었는데 피극은 끝이 하나로 되어있고 충체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었다. 그중 구흡반과 복흡반의 융기부에 있는 피극은 작았으며 선단이 몇 갈래로 갈라져 있었고 또 밀집되어 있었다. 2. 유두는 표피가 반구형으로 돌출하고 있었고, 중앙에 하나의 직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두는 단독이거나 또는 여러개가 모여 있는 것 또는 여러개가 뭉쳐서 큰 융기를 이루고 있는 등 그 모양이 다양하였다. 구흡반이나 복흡반상에 있는 유두는 타부위보다 매우 큰 유두가 있었고 여러개가 뭉쳐있는 것이 많았다. 3.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는 표피는 전자밀도가 높은 표피층으로 덮혀있었고 표피층의 유리면과 기저면은 모두 원형질막으로 싸여 있었다. 표피층의 두께는 특히 구흡반과 반흡반 사이가 두터웠다. 표피층내에는 사립체, 소포체, 공포 그리고 구형 및 관상과립이 관찰되었다. 5. 피극은 표피층의 기저면의 원형질막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돌출하였는데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무정형의 구조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구형질의 주의의 표피층에서는 복경체가 발견되었다. 5. 표피층 아래로 기저면의 원형질막에 련해서 기저막이 있고 그 아래로 소성결합조직이 있고 그 아래로 근육층, 그리고 그 밑에 유연조직이 있으며 그 속에 표피세포가 있었다. 또한 이 표피세포와 표피층은 전형질돌기로 연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완두(Pisum sativum L.) 근관의 생장과 관련된 표피세포의 분화와 유전자 발현 (Molecular Analysis of the Border Cell Differentiation in Root Cap of Pisum sativum L.)

  • 우호영;장매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9-173
    • /
    • 1995
  • 근관 표피세포(border cell)는 근관(root cap)의 최외각 세포층에서 분화된 단일세포로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예를 들어 근관의 근관 표피세포를 물로 씻어내면, 20∼25시간 이후에는 새로운 층의 근관 표피세포가 근관에 형성된다. 이 새로운 층의 완두 근관 표피세포가 형성되는 동안 근관 표피세포가 제거된 근관에서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고 있음이 mRNA differential display로 확인되었다. 즉, 이들 근관에서 새롭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일부는 근관 표피 세포의 분화에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단일 세포로 분화된 근관 표피세포에서는 독특한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고 있음이 mRNA differential display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근관 표피세포는 다른 조직(잎, 줄기, 뿌리와 근관 표피세포가 제거된 근관)과는 다른 독특한 기능을 가졌다는 것이다.

  • PDF

자동차 내장 표피재의 평가 모델링 (Evaluation modeling for car seat covers)

  • 김주용;김안나;이채정;이창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60
    • /
    • 2009
  • 자동차는 지난 한 세기의 짧은 역사를 가지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초기의 기능은 단순히 운송수단과 부의 상징이었지만 최근에는 소비자의 감성과 문화적인 흐름을 반영하는 모습이다. 그리하여 소비자의 감성 분석이 자동차 내장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기게 되었다. 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감성요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체와 오랜 시간 접촉해 있는 시트 표피재의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시트 표피재의 역학적 특성과 감성을 고려한 고급감을 예측하여 고감성 내장 표피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감성용어는 Softness(유연한), Elasticity(탱글탱글한), Volume(풍성한), Stickiness(끈끈한)를 설정하였으며, 이와 대응하는 표피재의 역학적 특성 치를 측정하였다. 감성 평가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확실하고 재현성 있는 측정법인 일대일 비교법을 통해 고급감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역학적 특성 치와 인간의 감성 평가 치와의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평가 예측을 가능케 하였다. 즉, 자동차 표피재 중 피혁의 4 가지 물리량으로 인간의 감성인 표피재의 고급감을 예측하여 고감성 자동차 시트 표피재의 개발을 위한 평가 모델링을 구축하였다.

  • PDF

하인두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과발현과 하인두암의 진행에 있어 표피성장인자(EGF)의 역할 분석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 임영창;최은창;김윤태;김장희;황혜숙;강성운;장재원;신유섭;김철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3
  •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p=0.053). in vitro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 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의 자엽절편 배양으로부터 형성되는 체세포배의 기원 (Origin of Direct Somatic Embryos from Cultureed Cotyledon Segm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최용의;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82
    • /
    • 1994
  • 성숙한 인삼 접합자배를 MS 기본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대부분 발아되었다. 그런데 자엽을 절단하여 배양하였더니 높은 빈도로 체세포배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유경이나 하배축을 포함한 유근과 같은 부위에서는 체세포배가 발생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자엽의 기부 절단면 주변이 세포질이 농후해지고 분열하는 세포로 변화된 후 이들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되었다. 체세포배의 기원은 표피가 하표피에 비해서 작고 세포질이 농후한 경우는 표피의 단세포에서 이루어졌고, 만일 표피 및 하표피세포가 그 크기나 세포질이 비교적 비슷한 경우는 표피와 하표피의 다세포에서 이루어졌다

  • PDF

배추흰나비(Pieris rupee) 발생 특이 큐티클단백질의 질적 분포에 관하여 (Qualitative Distribution of Stage-Specific Cuticle Proteins of Pieris rapace)

  • 서을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6-114
    • /
    • 1995
  • 배추흰나비의 조직과 발생시기에 따른 발생 특이 큐티클단백질의 질적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전기영동법, western blotting 및 autoradiography 법을 사용하였다. SDS-PAGE에서 유충기에는 4개, 용기에는 3개의 단백질이 발생 특이 큐티클단백질로 확인되었다. 전기영동적 이동도로 보아 유충기의 62 Kd 큐티클단백질은 지방체 표피, 혈림프에 모두 분포하며. 22 Kd, 16 Kd 단백질은 지방체와 표피, 그리고 19 Kd 단백질은 지방체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용기의 37 Kd 단백질은 표피에서. 28 Kd, 27 Kd 단백질은 표피와 지방체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면역학적 방법으로 발생 특이 큐티클단백질의 동질성을 조사한 결과 용기의 27 Kd 단백질은 표피와 지방체에서 반응을 나타내며, 유충기의 22 Kd 단백질은 단지 표피에서만 미약하게 이의 동질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27 Kd 단백질은 지방체 22 Kd 단백질은 표피에서 기원하고 있어 발생 특이 큐티클단백질의 합성부위는 한 조직에서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상이한 조직으로 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M(주사현미경)에 의한 미국산 사초속 식물의 잎의 표피형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epidermal patterns on some American species Carex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오용자
    • Applied Microscopy
    • /
    • 제10권1_2호
    • /
    • pp.33-40
    • /
    • 1980
  • 미국산 사초속 식물의 잎의 표피형에 대한 조사로서 6 Sect., 6 Species에 대해 주사현미경을 사용하여 표피형을 조사하였다. 표피형의 구성요소인 숨구멍(Stomata), 세포벽(Cell wall), 유두돌기(Papillae), 가시돌기 (Prickle), 납질(Waxy)등의 모양을 조사하였다. 표피형 구성세포의 특징이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어 사초속 식물의 감별 및 분류에 좋은 형질이 될수가 있다고 보는 바이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유약함충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the young adult worm of Paragonimus westermani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권오성;이준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1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에 감염된 숙주에 대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분포하고 있는 부위를 화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IgG와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의 특이 IgG를 폐흡충 유약성충 조직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IgG를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층은 표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포함된 표피 합포체로 구성되어 기저층과 분명하게 구별되었으며 근육층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난황세포는 크기가 다양한 분비과립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조면소포체가 발달되어 있었다. 맹관의 막구조물은 잘 발달되었으며 장상피 합포체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한펀, 폐흡충에 감염된 실험동물의 특이 항체로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의 세포질에 황금입자의 매우 특이적인 표식가 관찰되었고 난황세포에서는 분필과립에 황금 입자가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맹관 상피 합포체는 미약하게 황금 표지가 되었고 맹관 막구조물과 맹관 내강에도 특이하게 황금 표지가 관찰되었지만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보다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는 폐흡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과 난황세포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형성되며 일부는 맹관 내용물에 의해 약간의 면역항체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