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v.7
no.1
/
pp.20-31
/
200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Deugryang Bay, semi-enclosed bay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o deduce temporal changes in community with the comparison of the past studies. In Deugryang Bay,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structure was investigated on the base of the samples from 98 stations in 1996 and 1997. The main facies of surface sediment was clayey silt. The overall benthic macrofaunal density was 871 ind./m$^{2}$. The density was highest in the middle part of the bay because Musculus senhousia (Bivalvia) and cumaceans (Crustacea) had their highest densities in some stations. Benthic polychaetes were comprised of 100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138 ind./m$^{2}$. Their abundances were higher in the inner bay, in the middle bay, and in the mouth of bay, but poor community structures were established in the whole bay. The dominant species over 1.0 percentage were composed of the total 21 species, and they occupied 78.3% of the total abundance of the benthic polychaet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Lumbrineris longifolia (9.3%), followed by Eteone longa (7.3%), Heteromastus filifomis (7.1%), Sternaspis scutata (6.1%).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Station group AI was located in the inner bay and in the shallow coastal region, and its most dominant species was Heteromastus filiformis. At the station group AII in the mouth of bay and in some channel region, its most dominant species were Lumbrineris longifolia and Eteone longa. And at the station group B located in middle part of the bay, the most dominant specis was Sternaspis scutata.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experienced great change in the view of species number, density and dominant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Sternaspis scutata and Eteone longa, but their densities declined greatly. Instead of these species, Lumbrineris longifolia and Heteromastus filiformis, known as the potential organic enrichment indicator species, appeared to the new dominant species even if their low densities. These facts mean that Deugryang Bay was maintained yet as little organic enriched area compared to other bays on the coast of Korea, but needed some caution of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06.05a
/
pp.1591-1595
/
2006
하천은 인간에게 있어 물을 공급하는 중요한 하나의 공급원인 동시에 재해를 발생시킴으로서 인간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이면을 가진 하천은 하천 자체로는 하천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으며, 인위적이나 자연적인 원인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특히 강도가 큰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변화한다. 강우시 하천은 유출량 증가와 유사량의 시공간적인 변화로 인해 형상거동의 자기조절 기작을 통하여 유역밖으로 이들을 안전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하천 합류부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두 흐름이 만나는 지점으로 흐름과 지형 둘 다 변화하며, 합류부 이후에는 그 이전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합류부는 하천의 흐름상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에 위치한 경포천과 제 1지류인 위촌천이 합류하는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홍수시 첨두유량의 크기와 발생위치 및 홍수 모의기간에 따른 하상변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하상 변동 모형인 HEC-6를 이용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실측 하상변동량과 비교분석하였다. 유입수문곡선에서 첨두유량의 발생위치는 전반부, 중앙부, 후반부로 구분하였고, 홍수모의 기간은 1년, 5년, 10년으로 하였으며 1년 이상의 수문곡선은 1년의 수문곡선을 모의 기간만큼 반복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 하상변동은 홍수 모의기간, 유입수문곡선의 첨두유량 발생위치와 첨두유량의 크기에 따라 그 양상이 현저히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입유량 조건에서 동일수문곡선의 반복에 따른 모의기간 별 하상변동은 퇴적과 침식의 규모가 확대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치는 시간축척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2004.11a
/
pp.31-35
/
2004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방송의 시작, 뉴미디어의 출현으로 인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2010년까지 광대역통신망 BcN과 홈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부정책이 실행 중에 있다. 100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해야 하는 광대역 통신망(BcN)을 위해 기존 인터넷 백본 1)망은 잘 구축이 되어 있으나 가입자까지의 망 구조에 많은 문제점을 앉고 있다. 기존 전화국을 이용한 XDSL과 지역 SO를 활용한 Cable Modem의 경우 병목현상과 이론상 속도 또한 BcN과 통방통합이 요구하는 50-100Mhz의 전송속도를 만족하지 못한다. 새로운 망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의 소요가 예상된다 가입자 망 구축에 따른 많은 방법과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똔 논문에선 지역 SO를 활용하여 가입자까지 망을 통방통합과 BcN에 적합한 가입자 망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지역 50의 망을 활용하기 위해선 기존 KT와 파워콤의 COF(Glass Optical Fiber)망과 지역 케이블 SO의 HFC 망을 이용하기에는 동축케이블 망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한계로 통방통합과 BcN에 부적합하다. Tree And Branch 구조의 HFC망 대신 $SMF^{2)}$의 기존 SO의 자가망을 새롭게 설계하고 광분배망 기술인 $E-PON^{3)}$방식을 접목시켜 최대한 동축망을 사용하지 않고 굴곡 특성에 약한 $FOG^{4)}$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POF^{5)}$망을 이용하여 댁내 홈게이트웨이까지 연결하는 방식으로 지역 SO를 거점으로 활용하여 댁내까지 FHHT와 홈 네트워크까지의 가입자 망을 새롭게 구성하고자 한다. 저장의 효율성을 위해 이진 포멧인 IPMP화된 MP4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으로써, 에러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엔트로피에 좀 근접하게 코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방법은 실제로 Arithmetic Coder를 이용하는 다른 압축 방법에 그리고 적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압축효율은 JPEG-LS보다 약 $5\%$의 압축 성능 개선이 있었으며, CALIC과는 대등한 압축률을 보이며, 부호화/복호화 속도는 CALIC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우 $23.87\%$($18.00\~30.91\%$), 갑폭 $23.99\%$($17.82\~30.48\%$), 체중 $91.51\%$($58.86\~129.14\%$)이였으며 성장율은 사육 온도구간별 차는 없었다.20 km 까지의 지점들(지점 2에서 지점 6)에서 매우 높은 값을 보이며 이는 조석작용으로 해수와 담수가 강제혼합되면서 표층퇴적물이 재부유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영양염류는 월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지점 1과 2에서 가장 낮고, 상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며 지점 7 상류역이 하류역에 비해 높은 농도이다. 월별로는 7월에 규산염, 용존무기태질소 및 암모니아의 농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용존산소포화도는 가장 낮다. 그러나 지점 14 상류역에서는 5월에 측정한 용존무기태질소, 암모니아, 인산염 및 COD 값이 7월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하다. 한편 영양염류와 COD값은 대체적으로 8월에 가장 낮으나 용존산소포화도는 가장 높다.출조건은 $100^{\circ}C$에서 1분간의 고온단시간 추출이 적합하였다.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Phytoplankton community was studied in relation to a typhoon at Bok-gyo Bridge area in Juam Lake, Korea. In August 31, 2000, a typhoon (Prapiroon) was passed by Juam Lake with great power enough to destroy summer stratification of Juam Lake. Destratification resulted in temporal mixing of the whole water column and chang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bodies, and caused the changes of the biological properties. The transparency decreased from 195 cm before the typhoon to 84 cm after the typhoon with the resuspension of the bottom sediment.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 the maximum population was measured at depth of 2 m before the typhoon. However, immediately after the typhoon, the population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entire water layers. The carbon biomass of the phytoplankton was also highest at the depth of 2 m before the typhoon, but immediately after the typhoon, it wa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water layers.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howev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The typhoon induced destratification and restratification altered the taxa of the phytoplankton. The major dominant phytoplankton taxa before the typhoon was diatoms including Aulacoseira granulata, but the green algae overwhelmed the diatoms in cell number and biomass after the typhoon. The chlorophycean dominance was replaced by cyanophycean dominance with the heavy rain and descent of water temperture at the end of Septe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Cheongweo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Cheongweon series distributed on broad continental alluvial plain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Cheongweo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Cheongweon series has dark grayish brown (2.5Y 4/2) silt loam Ap horizon (0~18 cm), dark grayish brown (2.5Y 4/2) silt loam BA horizon (18~30 cm), dark yellowish brown (10YR 4/6) silty clay loam Bt1 horizon (30~60 cm), strong brown (7.5YR 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60~91 cm), brown (10YR 4/4) silt loam BC horizon (91~104 cm), and mottled (7.5YR 4/6, and 7.5YR 5/2) silt loam C horizon (104~16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30 to 91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35% or more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Alfisol, not as Inccept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alf.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Hapluadalf. It has anthraquic condition, and keys out as Anthraquic Hapludalf. That has fine silty textural family,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Cheongweon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Anthraquic Hapludalfs, not as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Fluvaquentic Epiaquep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nryo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nry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mountain foot slop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has brown (7.5YR 4/4) loam Ap horizon (0-22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At horizon (22-35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t1 horizon (35-55 cm), reddish brown (5YR 5/4) cobbly clay loam Bt2 horizon (55-82 cm), and brown (7.5YR 5/4) cobbly clay loam Bt3 horizon (82-12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2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nryo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 Anryong series occur on mountain foot slope positions in colluvial materials derived from acid and intermediate crystalline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Cheongp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cuss the formation of Cheongpung series distributed on the diluvial terrac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Cheongp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Cheongpung series has red (2.5YR 4/6) silty clay loam Ap horizon (0-18 cm), red (2.5YR 4/8) clay BAt horizon (18-35 cm), red (2.5YR 4/2) cobbly clay Bt1 horizon (35-65 cm), and red (2.5YR4/6) cobbly clay Bt2 horizon (more than 65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depth of 18 to more than 65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35%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Cheongp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 Cheongpung series occur on moderately elevated diluvial terrace which have relatively stable geomorphic surface.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soil horizon evolution and its water distribution on three different forest stands covered with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ercus mongolica on the Experimental Forest of Kyunghee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Kyunggi-Do. Compared to the properties of depths of O and A horizons evolved on the Pinus koraiensis stand, the depths of O and A horizons on the forest stands of Larix leptolepis and Qercus mongolica were shallower, indicating that the soil horizon were deeply influenced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ts erosive and sedimentary distinction, vegetation cover and its population density. And the bulk densities of the sites selected were lower in the high slope gradient than that in the lower slope gradient at the same depth of soil profile. Therefore, the changes of the soil bulk dens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oil organic matter and the vertical transport of soil particle throughout soil depths. On the other hand, the bulk dens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 can influence the water transport phenomena, resulting in decrease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s the increase in the bulk density, while the organic matter can not affect the hydraulic conductivity on the soil surface layer. For a rainfall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from a lysimeter experiment established on the stand of Larix leptolepis, the bulk density and slope gradient strongly influenced the vertical transport of water, as well as the lateral movement of rainfall. Conclu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ovement and distribution in the forest stand can be determined not by the geographical factor such as slope gradient but also by the bulk dens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remained in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Dongso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Dongs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lava plain at Cheolweon in Korea.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Dongso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Dongsong series has brown (7.5YR 4/2) silty clay loam Ap horizon (0-16 cm), brown (7.5YR 4/2) silty clay loam BA horizon (16-22 cm), brown (7.5YR 4/2) silty clay Bt1 horizon (22-50 cm), reddish brown (5YR 5/4) silty clay Bt2 horizon (50-92 cm), and brown (7.5YR 4/3) silty clay loam Bt3 horizon (92-120 cm). It occurs on lava plain derived from baslt materials. The typifying pedon has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3}$.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more than 12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It has aquic conditions for some time in normal years in one or more horizons within 50 cm of the mineral soil surface, redoximorphic features between a depth of 25 cm, and a depth of 40 cm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redox concentrations, and 50%or more redox depletions with chroma of 2 or less in the matrix within the upper 12.5 cm of the argillic horizon. Therefore it can be classified as Aquult. It has episaturation, and keys out as Epiaquult. It has 50% or more chroma of 3 or more in one or more horizons between a depth of 25 cm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a depth of 75 cm. It can be classified as Aeric Aquult. Dongsong series have 35%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they can be classified as fine, mesic family of Aeric Epiaquults, not as fine, mesic family of Typic Epiaqualfs. The Quarternary volcanic activities occurred in Jeju Island, Ulrung Island, Baekryeong Island, Cheolweon area, and Mt. Paekdu et al. in the Korean Penninsula. Most of them belong to the central eruption type, but Cheolweon area may be of the fissure eruption type. Dongsong series occur on Cheolweon lava plains derived from basaltic materials. Most soils distributed in Jeju Island, and derived from mainly pyroclastics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Dongsong series distributed in Cheolweon lava plains which have a relatively dry climate and derived from basaltic materials are developed as Ultisol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