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층

Search Result 2,06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속초연안 해양환경의 시공간적 변동특성

  • Park, Seung-Yun;Park, Jin-Il;Sim, Jeong-Min;Kim, Yeong-Suk;Jin, Hyeon-Guk;Hwang, Un-Gi;Kim, Gwi-Yeong;Jeong,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80-281
    • /
    • 2006
  • 속초연안의 수온은 18개년 평균 표층수 $14.10\pm0.34^{\circ}C$, 저층수 $12.56\pm0.28^{\circ}C$, 염분은 표층수 $31.66\pm0.18$, 저층수 $32.68\pm0.10$, pH은 표층수 $8.05\pm0.01$, 저층수 $8.02\pm0.01$, BO는 표층수 $8.48\pm0.11mg/L$, 저층수 $8.16\pm0.12mg/L$, COD는 표층수 $1.54\pm0.07mg/L$, 저층수 $1.33\pm0.06mg/L$, SS는 표층수 $13.75\pm0.80mg/L$, $PO_4$-P는 표층수 $0.74\pm0.05{\mu}M$, 저층수 $0.61\pm0.04{\mu}M$, $NH_4$-N는 표층수 $2.49\pm0.18{\mu}M$, 저층수 $2.01\pm0.15{\mu}M$, $NO_2$-N는 표층수 $0.72\pm0.05{\mu}M$, 저층수 $0.58\pm0.04{\mu}M$, $NO_3$-N는 표층수 $4.39\pm0.24{\mu}M$, 저층수 $3.63\pm0.20{\mu}M$, DIN는 표층수 $7.64\pm0.38{\mu}M$, 저층수 $6.22\pm0.29{\mu}M$, DIN/DIP비 표층수 $23.91\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

  • PDF

Long-Term Fluctuations of Water Temperatures in the Upper 200m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한국 동해안 외해 표층 200m 수온의 장기변동)

  • KANG Yong-Q;KANG Hye-E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4 no.6
    • /
    • pp.450-458
    • /
    • 1991
  • The thermal structures and their spatio-temporal fluctuations in the upper 200m layer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are studied using the bimonthly temperature data for 17years(1967-1983) at 37 stations. We analyzed the fluctuations of the temperatures in the surface(0-100m) and in the subsurface(100-200m) layers. The fluctuations of temperatures in the surface water are dominated by the annual variation, whereas the subsurface layer temperatures contain considerable non-seasonal fluctuations. The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omalies in the subsurface layer a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the surface layer. The predominant periods of temperature fluctuations in the subsurface layer, other than the annual variation, are 14 and 70 months. The period of 14 months coincides with that of the pole tide or Chandler wobble. The cluster analysis shows that our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cold, the frontal and the warm regions.

  • PDF

Korean Surface Realizer Based on Topic-Comment Structure (토픽-코멘트 구조에 기반한 한국어 표층 생성기)

  • Kim, Jung-E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503-508
    • /
    • 2001
  • 본 논문은 자연언어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질병에 대한 기술문을 생성해 내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표층 생성기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표층 생성기는 문장의 추상적인 표현으로부터 통사적으로, 형태론적으로 올바른 텍스트로 생성하여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병에 관한 기술문에 있는 문장들은 두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로, 질병 기술문의 문장들은 토픽-코멘트 구조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두번째로,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는 문장들은 같은 토픽을 가진다. 따라서, 토픽은 의미범주로부터 유추될 수 있으므로 표층 생성기의 입력인 구 명세 (phrase specification)에 표현될 필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표층 생성기를 만들기 위하여 표층 생성의 단계를 내부 표현 생성과 외부 문장 생성의 두 단계로 나누었다. 내부 표현 생성 단계에서는 코멘트에 해당하는 부분을 생성하고 외부 문장 생성 단계에서 의미범주 태그에 따라 토픽을 첨가하여 최종 문장으로 생성하였다. 이런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본 표층 생성기는 문법에 맞으면서 자연스러운 텍스트를 생성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Variatio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Summer (동중국해에서 하계 표층수온의 변화 분석)

  • Park, GwangSeob;Lee, Taehee;Son, Young Bae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1
    • /
    • pp.953-968
    • /
    • 201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in the East China Sea (EC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ir temperature (AT) and heat flux using satellite and model reanalysis data from 2003 to 2017. SST in the ECS showed the lowest (average : $13.72^{\circ}C$) in March and the highest (average : $28.12^{\circ}C$) in August. AT is highly correlated with SST and shows a similar seasonal change. In August, SST is higher than AT and then continuously higher than AT until winter.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ummer SST in the ECS, we used the SST anomaly value in August to classify the periods with positive (04', 06', 07', 13', 16', 17') and negative (03', 05', 08', 09', 10', 11', 12', 14', 15') values. Spati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periods indicates that SSTs are relatively larger variations in the northern part than in the southern part, and in the western part than in the eastern part in the study area. AT and net heat flux values also show similar changes with SST. However, the periods of the positive SST anomaly have the relatively increasing SST, AT and heat flux values compared to the periods of the negative SST anomaly in the summer season of the ECS. Although the change of SST in the summer season generally well correlates with AT, there were the periods when it was different from general trends between SST and AT (10', 12', 15', 16'). SST in August 2010 and 2012 decreased by $0.5^{\circ}C$ from AT. It suggests that the decreasing SST wa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effects of the typhoon passing through the study area. In August 2015, AT was relatively lower than SST (> $0.5^{\circ}C$), which is might be weakening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In August 2016, SST and AT show the highest values during the whole study periods, but SST is higher than AT (> $1^{\circ}C$). From satellite and heat flux data, the variations of SST have been shown to be relatively higher in the area of the expansion Changjiang Diluted Water (CDW) originated from the China coast. More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is phenomenon, it is believed as not only the effect of rising AT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low-salinity water.

Changes of the Soil Physic-Chemical Properties and Rice Productions with Methods Applied Organic Materials in Organic Culture (벼 유기재배에 있어서 유기자재 시비방법에 따른 토양 및 수량 특성 변화)

  • Kim, Hyun-Woo;Kim, Byung-Ho;Yang, Seung-Koo;Kim, Hong-Jae;Son, Bo-Gy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85-285
    • /
    • 2009
  • 벼 유기재배에 있어서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화학비료를 대신하고 있으나 녹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월동 전에 파종하고 이듬해 벼 이앙 전에 토양에 환원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벼 재배 직전에 유기자재를 이용하여 화학비료를 대신하고자 했을 경우 유기자재를 전층시비와 표층시비의 차이에 따른 토양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의 수량특성의 변화를 구명하였다. 벼 유기재배시 토양양분공급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자재 4종을 공시하여 유기자재의 질소 성분량(7kg/10a)을 기준으로 하여 이앙 20일전에 시비방법별로 전층시비와 표층시비 2처리로 구분하여 전량 기비시비하고 경운한 다음 동진1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2년 연속 시비처리와 벼를 재배하면서 일어나는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 생육 및 특성의 변화를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의 화학성은 표층시비구의 염류농도, 가리와 석회의 함량이 다소 높아서 염류농도가 전층 시비구 보다 높은 조건의 토양이었다. 유기자재별 무기화 정도는 전층시비보다 표층시비를 할 때 약 20~30일 정도 빨랐다. 토양 중의유기물 잔존함량은 시비방법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표층시비를 할 경우 후기로 갈수록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전질소 잔존함량은 감소되었다. 토양 액상과 공극율은 전층시비>표층시비였으며, 입단 형성력도 같은 경향이었다. 토양 효소활성은 PME의 활성은 유기자재를 전층처리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beta$-Glucosidase의 활성은 전층보다 표층처리시 활성이 높았다. 시비방법에 따른 벼의 수량 특성은 시비방법별로는 표층시비를 할 경우 전층시비보다 4~7%의 높은 특성을 보였으며, 관행대비 1년차에는 3~9%의 낮았으나, 2년 연속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와 비슷해 지는 경향이었다.

  • PDF

Seawater Quality of Jinhae Bay and Adjacent Sea of Gaduk Island, Korea (진해만 및 가덕도 주변 해역의 수질 환경)

  • Kim, Kyung-Tae;Kim, Eu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37-143
    • /
    • 2009
  • 진해만과 가덕도 주변 해역에서 2007년 2회(하계와 추계)에 걸쳐 표층 및 저층수 조사를 실시하여 수질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는데 여름이 가을보다 표 저층간의 차이가 컸으며, 염분은 가덕도 남쪽에서 낙동강 물의 유입 영향으로 저염분을 나타내었다. 부유물질은 표층수의 경우 진해만 및 연안에서 높고 외해에서 낮았으며, 과거의 조사 농도 범위에 속하였다. POC는 계절별로 분포 차이가 있지만 유기물 유입원에 대한 근접성과 기초 생산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표층에서 오염원의 영향이 많은 진해만에서 높고 외해로 가면서 낮아졌다. 여름에 진해만 일부 정점은 해역별 수질기준 III등급이었다. DO는 저층이 표층보다 낮았는데 특히 진해만 내완 외해의 깊을 수심 정점에서 차이가 크고, 하계에 성층에 의하여 수증간에 큰 자이를 나타내었다. 인산염-인과 규산염-규소는 저층수에서 용존산소가 낮아짐에 따라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암모니아-질소도 내만의 저산소층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표층수의 용존 무기질소는 신항과 가덕도 주변에서 높고 진해만 서쪽 및 외해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과거 조사 농도보다 낮고 좁은 변동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와 총인도 외해역에서 낮은 농도였으며,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추세였고 여름에 더욱 뚜렷하였다. 총질소 평균 농도로는 해역별 수질기준과 I등급을 만족하였으나 정점별로는 $I{\sim}III$등급까지 변화가 컸는데 진해만 내의 저층 또는 외해의 깊은 수심을 갖는 정점에서 등급이 좋지 알았다. Chl-a는 진해만 내 또는 가덕수도에서 높은 분포였으며, 신항과 가덕도 남쪽에서는 과거보다 낮은 농도였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of Surface Discharged Heat Water (표층 방류된 온배수의 연직분포)

  • 서승원;김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152-156
    • /
    • 1995
  • 서해 연안에 위치한 임해발전소는 지형의 특성상 천해역으로 냉각수를 방출하는데 현재까지는 시공성과 유지관리측면에서 심층방류보다 유리한 표층방류를 대부분 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그 중요도가 증대되는 연안환경 보호측면에서 표층방류된 냉각수의 확산거동을 심도있는 실측을 통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표층 부력?의 거동을 전문가 해석 기법을 응용한 특성길이 혼합모형인 CORMIX3를 이용한 결과와 비교한다. (중략)

  • PDF

소너를 이용한 자원량 조사에 대하여

  • 이유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7-20
    • /
    • 2002
  • 수산자원의 현존량을 추정함에 있어, 계량어군탐지기(이하, 계량어탐 이라 한다)를 이용한 음향자원량 조사는 넓은 수역을 단시간에 조사 가능한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확립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멸치, 꽁치 등의 표층어종의 자원량조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계량어탐은 수직 빔을 이용하므로, 표층의 탐지범위가 좁고, 어군의 선체도피행동이나 표층 데드죤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표층을 광범위하게 탐지 가능한 소너를 이용한 자원량 추정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outh China Sea and its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Precipitation Variability during Summer (남중국해의 여름철 대기-해양 상호작용과 동아시아 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 Jang, Hye-Yeong;Yeh, Sang-Wook
    • Atmosphere
    • /
    • v.23 no.3
    • /
    • pp.283-29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SCS) by analyzing their variables in the period of 1979~2011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July-August). It is found that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precipitation over SCS during summer is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ate-1990s. That is,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over SCS is negative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T variations before (after) the late-1990s. Our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tmospheric forcing of the SST is dominant before the late-1990s accompanying with wind-evaporation feedback and cloud-radiation feedback. After the late-1990s, in contrast,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latent heat flux from the ocean to the atmosphere is dominant. It i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CS a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In particular,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cipitation over SCS and Northeast Asia becomes stronger during after the late-1990s than before the late-1990s. We argue that the increase of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over SCS may lead a direct relationship of precipitation variations between SCS and Northeast Asia after the late-1990s.

Estimation of Mean Surface Current and Current Variability in the East Sea using Surface Drifter Data from 1991 to 2017 (1991년부터 2017년까지 표층 뜰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동해의 평균 표층 해류와 해류 변동성)

  • PARK, JU-EUN;KIM, SOO-YUN;CHOI, BYOUNG-JU;BYUN, DO-SEO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4 no.2
    • /
    • pp.208-225
    • /
    • 2019
  • To understand the mean surface circulation and surface currents in the East Sea, trajectories of surface drifters passed through the East Sea from 1991 to 2017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surface drifter trajectory data, the main paths of surface ocean currents were grouped and the variation in each main current path was investigated.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heading northward separates from the coast at $36{\sim}38^{\circ}N$ and flows to the northeast until $131^{\circ}E$. In the middle (from $131^{\circ}E$ to $137^{\circ}E$) of the East Sea, the average latitude of the currents flowing eastward ranges from 36 to $40^{\circ}N$ and the currents meander with large amplitude. When the average latitude of the surface drifter paths was in the north (south) of $37.5^{\circ}N$, the meandering amplitude was about 50 (100) km. The most frequent route of surface drifters in the middle of the East Sea was the path along $37.5-38.5^{\circ}N$. The surface drifters, which were deployed off the coast of Vladivostok in the north of the East Sea, moved to the southwest along the coast and were separated from the coast to flow southeastward along the cyclonic circulation around the Japan Basin. And, then, the drifters moved to the east along $39-40^{\circ}N$. The mean surface current vector and mean speed were calculated in each lattice with $0.25^{\circ}$ grid spacing using the velocity data of surface drifters which passed through each lattice. The current variance ellipses were calculated with $0.5^{\circ}$ grid spacing. Because the path of the EKWC changes every year in the western part of the Ulleung Basin and the current paths in the Yamato Basin keep changing with many eddies, the current variance ellipses are relatively large in these region. We present a schematic map of the East Sea surface current based on the surface drifter dat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urface ocean circulation of the East Sea, which has been mainly studied by numerical model simulations and the sea surface height data obtained from satellite altimeters, was analyzed based on in-situ Lagrangian observational current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