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화 알고리즘

Search Result 3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of an Group Tree Algorithm for the RFID based Ubiquitous Healthcare (RFID 기반 Ubiquitous Healthcare를 위한 그룹 트리 알고리즘 설계)

  • Park, Ju-Hee;Park, Yong-Min;Lee, Si-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86-488
    • /
    • 2006
  • RFID 기술의 신속한 확산을 위해서는 태그의 저가격화, 초소형화, 저전력화,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 태그식별자의 표준화, 다중태그 식별문제등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특히, 식별영역 내에 다수의 태그가 존재할 경우에 다중태그 식별(multi-tag identification)을 위한 충돌방지(anticollision) 알고리즘은 RFID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핵심기술이다. 기존의 충돌방지 알고리즘들은 구현의 복잡성과 낮은 성능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충돌방지와 관련하여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각각 고유한 형태의 태그식별자 체계를 기반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태그식별성능에 대한 비교연구도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비용(low-cost) RFID 시스템에서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96비트 EPC (Electronic Product Code) 코드를 기반으로 병원 환경에서 태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부터 읽어들일 수 있는 그룹 트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Consideration for Including PQC Algorithms in KCMVP Certification (KCMVP 인증 상의 PQC 알고리즘 도입 고려사항)

  • Jimin Park;Sokjo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89-1190
    • /
    • 2023
  • 양자 컴퓨터가 발전함에 따라 RSA, ECC 등 기존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의 해독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양자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자 내성을 갖는 암호, 즉 PQC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공공기관에서 도입하는 보안 제품에서 암호 기능을 사용시 검증필 암호 모듈 탑재가 필요하지만, 현재 NIST는 표준화 대상 알고리즘만 선정하였을 뿐 국내외 모두 표준화가 완료되지 않아 PQC는 KCMVP 검증대상 암호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KCMVP(국내 암호 모듈 검증 체계)와 PQC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고 KCMVP에 PQC알고리즘을 도입할 때의 고려 사항에 대해 분석한다.

NIST 암호 표준화 공모전 동향

  • Kim, Hyeon-Jun;Park, Jae-Hun;Gwon, Hyeok-Dong;Seo, Hwa-Jeong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117-123
    • /
    • 2020
  • NIST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사물인터넷 환경과 양자 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2019년부터 경량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그리고 2017년부터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각각 진행해 오고 있다. 경량암호 표준화 공모전은 경량 블록암호 운영 모드를 통해 저전력 사물인터넷 환경 상에서 높은 가용성을 만족하는 암호 개발을 그리고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은 양자컴퓨터 상에서의 양자알고리즘으로부터 안전한 공개키 암호 개발을 각각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암호의 표준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NIST 경량암호 그리고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 동향을 상세히 확인해 보도록 한다.

Database metadata standardization processing model using web dictionary crawling (웹 사전 크롤링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메타데이터 표준화 처리 모델)

  • Jeong, Hana;Park, Koo-Rack;Chung, Young-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209-215
    • /
    • 2021
  • Data quality management is an important issue these days. Improve data quality by providing consistent metadata. This study presents algorithms that facilitate standard word dictionary management for consistent metadata management. Algorithms are presented to automate synonyms management of database metadata through web dictionary crawling. It also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data by resolving homonym distinction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the web dictionary crawling process.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metadata data qua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passive management. It can also reduce the time spent on registering and managing synonym data. Further research on the new data standardization partial automation model will need to be continued, with a detailed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automatable tasks in future data standardization activities.

표준 암호알고리즘 국제 공모사업 동향

  • 천동현;전길수;강성우;현진수;김승주;장청룡
    • Review of KIISC
    • /
    • v.12 no.3
    • /
    • pp.77-86
    • /
    • 2002
  • 본고에서는 현재 추진중이거나 추진된 표준 암호알고리즘 공모사업에 대한 추진체계 및 현황을 파악한다. 또한 등록방식에서 공모방식으로 전환된 ISO/IEC 국제표준 선정방식의 전환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ISO/IEC 국제표준 후보로 제안되어 심의 중에 있는 블록암호 알고리즘 SEED의 표준화 현황을 파악한다.

Low Bit-Rate Speech Coder (낮은 전송률 음성 부호화 방법)

  • 윤대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267-270
    • /
    • 1994
  • 정보 및 통신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음성 부호화 방법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특히,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기본 표준안을 완성하고, 채널 용량을 확대하기 위한 half-rate 표준화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화되거나 표준안으로의 가능성이 높은 음성 부호화 알고리즘들에 대해 서술한다. 또한 이로부터 향후 진행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PDF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표준화 동향

  • Choe, Hae-Cheol;Gang, Jeong-Won;Bae, Seong-Jun;Yu, Jeong-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4
    • /
    • pp.5-14
    • /
    • 2007
  • 근래의 무선망 및 인터넷의 초고속화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특히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및 통방융합망의 등장으로 압축 부호화 기술만을 개발하던 시기와 달리 멀티미디어의 생성, 전송 및 소비 환경의 다양한 조건들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비디오 부호화의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진행 중인 SVC(Scalable Video Coding)의 표준화 동향을 기술한다. 그리고 SVC에 표준으로 채택된 기술 중 시간/공간/화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기 위한 대표적인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NIST PQC standardization trends (NIST PQC 표준화 동향)

  • Min-Ho Song;Min-Woo Lee;Hwa-Jeong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2-164
    • /
    • 2023
  • 양자 컴퓨팅의 발전과 양자 알고리즘의 등장으로 기존의 암호 체계는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기존의 암호를 대신해 양자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양자 내성 암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를 위해 진행된 NIST PQC 공모전과 공모전에서 최종 선정된 암호에 대한 표준화 목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ule Discovery Algorithm strongly coupled with Time-series databases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와 강결합된 규칙발견 알고리즘 설계와 구현)

  • 박인창;김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3-45
    • /
    • 2001
  • 마이닝 시스템은 그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의 구현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마이닝 시스템간 호환성이나 재사용성은 매우 낮다. 본 노문에서는 이 문제를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RDB와 강 결합함으로써 표준화에 대한 문제를 해겨라고자 시도하였다. RDB와의 강 결합은 표준화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마이닝 시스템에 DBMS의 관련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성능을 극대화시킨다. 특히 DBMS의 인텍스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마이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순차패턴 탐사의 시간개념 부재,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기반구조, 그리고 알고리즘 수행에 있어서 메모리 한계에 따른 문제등의 단점을 지적하고, 이를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시간 거리와 패턴 길이의 개념을 확장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관규칙의 관련 공식을 수정 보완하여 제안한다. 또한 RDB와의 강 결합되어 기존의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벗어나 시계열 데이터에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절차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양자 컴퓨터를 통한 대칭키 AES 및 해시 함수 SHA-2/3 해킹 동향

  • Kyungbae Jang;Yujin Oh;Hwa-Jeong Seo
    • Review of KIISC
    • /
    • v.34 no.2
    • /
    • pp.49-55
    • /
    • 2024
  • 고전 컴퓨터에서 풀기 어려운 난제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고 해결할 수 있는 양자 컴퓨터는 현재암호들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공개키 암호에 해당하는 RSA와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는 Shor의 양자 알고리즘에 의해 해당 암호들의 안전성이 기반이 되는 난제들을 다항 시간 내에 해결하여 새로운 양자 내성 암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NIST는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주최함으로써 현재까지 표준화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대칭키 암호의 경우, Grover의양자 검색 알고리즘에 의해 고전 컴퓨터상에서 보장하던 보안 강도가 제곱근으로 감소되게 된다. 기존, 신규 암호 알고리즘 모두 양자 컴퓨터상에서의 보안 강도를 평가해야 되는 상황이며, 이에 NIST는 양자 후 보안 강도 기준을 도입하였다. 양자 후 보안 강도는 레벨 1에서 5로 정의되며, 각 레벨에는 AES 및 SHA-2/3에 대한 양자 해킹 비용이 지정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암호 학계 상황에 따라, 대칭키 AES 및 해시 함수 SHA-2/3에 대한 해킹, 특히 양자 회로 구현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