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화 동향

Search Result 2,24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해안지형분류표준화 동향에 관한 연구 - 환경정보표준 ISO/IEC211 18025 자료와 국내분류체계 비교

  • Chang, Eun-Mi;Park, Kyeong;Seo, Jong-Cheo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1a
    • /
    • pp.275-286
    • /
    • 2001
  • 습지 분류의 목표는 '목록작성(inventory)과 평가와 관리를 위해 자연적인 생태계에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등질적인 속성을 갖는 생태단위를 기술하고, 자원관리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로 단위를 만들어내고, 목록작성과 지도화에 필요한 단위를 제공하면, 습지에 관한 개념과 용어의 통일성을 제공하는 것 등이다. 해안지형 가운데 해안 습지의 분류에는 우선, 1) 형태, 2) 생성요인, 3) 자갈, 모래, 펄 같은 기질 물질과 4)현재의 환경이라는 요소가 모두 고려되어야만 하는데 아직 국내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이에 대한 규정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ISO/IEC 규정대로 각 코드는 엄밀히 상호배타적인 개념일 것, 정수로 표시할 것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로 표시할 것 등의 전제조건을 만족시키는 전제 하에서 해안습지를 분류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국토공간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을 위해서는 위치와 장소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질, 지형, 토양, 식생, 수리 현상 등 제반 지표 환경요소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의 축척이 있어야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질 정보는 지질자원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지질도와, 농촌진흥청에서 발행하는 토양도, 임업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임상도 등의 주제도가 있으나, 지표환경을 나타내주는 지형에 대한 정보체계는 아직 이루러진 바가 없고, 대학의 석사학위논문이나, 실험적인 수준의 연구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형분류도 작성과 관련한 외국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지형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한 해안습지 지형분류도를 작성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해안습지 지형분류체계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성과를 비교하여 시안을 작성 표준화를 위한 첫 단계 시도를 소개하였다.분석 결과는 문장, 그림 및 도표, 장 끝의 질문, 학생의 학습 활동 수 등이 $0.4{\sim}1.5$ 사이의 값으로 학생 참여를 적절히 유도하는 발견 지향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장의 요약은 본문 내용을 반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공통과학 과목은 새로운 현대 사회에 부응하는 교과 목표와 체계를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도 통합과학으로서의 내용과 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7종의 교과서가 교육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괴리가 작아진다. 이 결과에 따르면 위탁증거금의 징수는 그 제도의 취지에 부합되고 있다. 다만 제도운용상의 이유이거나 혹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비합리적인 투자형태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 특히 초과주가변동율(超過株價變動率)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미국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rner}$

  • PDF

Work plan for flood disaster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s (기후변화를 고려한 풍수해 재난관리 업무방향)

  • Shim, Kee-Oh;Yoo, Byung-Tae;Park, K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37-341
    • /
    • 2009
  • 지구의 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에 분포되어 있는 극지방의 빙하들을 녹임으로써 지구의 물 순환시스템을 교란시켜 집중호우와 태풍, 가뭄, 낙뢰 등 예측을 불허하는 극한 기상변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바다의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빙하가 녹거나 바닷물이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는 바, 1990년 대비 2000년대에 동해바다에서는 상승률이 0.07cm/yr이던것이 0.20cm/yr로 나타났으며, 서해바다에서는 0.14cm/yr이던 것이 0.18cm/yr로 나타났고, 남해바다에서는 0.32cm/yr이던 것이 0.34cm/yr 로 평균상승률이 1990년대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방재청의 현행 업무를 중심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풍수해 업무별 추진해야할 연구과제들을 조사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분야의 정책과 관련된 연구적인 측면의 분야를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에 나타난 자연재난 피해현상에 대한 원인 및 대책을 기초로 하여, 재난관리분야에서 추진하고 있는 업무를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소방방재청의 풍수해 재난관리 분야 종합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최근 국내 외의 동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1977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최근 30년간의 재해연보에 제시되어 있는 시설물별 피해액을 조사하여 시설물 중 피해액이 많은 순으로 주요피해 시설물을 파악하였다. 여기에서 주요피해 시설물로는 하천, 도로, 소하천, 수리, 농경지, 사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시설물에 대한 피해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규모 풍수해 피해에 대한 현황, 원인분석 및 대책이 제시되어 있는 각종 피해조사 보고서, 연구보고서 및 전문 학술지 기사들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각각의 재해피해현상에 대하여 시설물의 피해현상, 원인 및 대책을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재난관리 분야 중 우수유출저감시설 관련 제시된 업무방향을 보면 침투 저류를 위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개발연구, 침수위험지구의 지정기준 등급별 방재대책 방안연구, 유역별 재해위험 저감능력의 평가기준 개발, 단위구역별 우수유출저감시설의 확보기준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내 표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자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방안 연구, 피해지역의 매입을 통한 저류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효과의 교육 홍보 및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제 표준화 기준 제정 추진 등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에서 제시된 재난관리 업무분야별 많은 연구과제들이 향후 연구할 수 있는 재원확보로 이어져 재난관리의 업무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으며, 주요 결론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기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나 기후변화대책기획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분야가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외의 기후변화 대응사례에서 보면 시설물의 규모를 볼 때 큰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바, 이는 향후의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선진적인 판단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풍수해 관련 주요업무 8가지에 대하여 추진해야할 업무방향 48개를 선정 제시하였다.

  • PDF

Service Worker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서비스워커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Hwang, Hyun-seo;Kim, Sung-hyun;Jung, Yong-jin;Park, Jong-geun;Kim, Tae-yong;Kim, Tae-hwan;Moon, I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6-659
    • /
    • 2015
  • Recently, due to the standard of a new browser developed by the Google and Mozilla "Service Worker", future users is expected to be able to make use of favorite Web sites offline. Google's is, Web sites have developed a standard of a new browser so as to always respond to user requests. Service Worker, websites that provide space capable of offline work to the user's browser to store various document informa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resources. Then, in order to greatly reduce the data exchange operations between the browser and the server, the speed of the Web page increases. Not only cooks as native app that can use the Web application offline, in that us to also further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an existing Web application that is running without installing destructive high technology. Service worker specifications, use experience of Web application is very can be improved, is an innovative technology indicates the version of the web evolve as the future of the platform. Service Worker is not included in HTML5 standard final, is currently being continued standardization. Future Service Worker technology I expect what kind of thing unfolds when applied to the Web browser.

  • PDF

Application of the Modified Real-Time Medical Information Standard for U-Healthcare Systems by Using HL7 and Modified MFER(TS-MFER) (HL7과 수정된 MFER(TS-MFER)을 접목한 U-healthcare 실시간 의료정보 표준화 적용)

  • Uhm, Jin-U;Park, Sang-Hy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8C
    • /
    • pp.680-689
    • /
    • 2012
  • U-healthcare is maintaining of users' health without limitations from where and when they are. As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in U-healthcare, a medical information standard is compulsory. An adequate standard means that it is easy to understand and it can cover wide range of information types and various medical devices. Among them, HL7(Helath Level 7) has those traits, but HL7 is not adequate for non-text message, especially for medical waveform. JAHIS suggested an appropriate standard, that is MFER. MFER has many advantages for representation of medical waveform, but it is still not good for real-time applications. In U-healthcare, there are lots of needs for real-time application, so we need a standard that can have useful properties of MFER and HL7, and support real-time. In this article, there are two main topics. The first one is introducing MFER and HL7. Second, the new scheme(TS-MFER with HL7) is developed by modifying MFER and HL7 for real-time applications.

Design of Geocoder service for LB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LBS를 위한 지오코더 서비스 설계)

  • Han, Eun-Young;Choi, Hae-Oc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118-122
    • /
    • 2003
  • 본 논문은 무선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위치정보의 응용서비스인 위치기반서비스의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는 지오코더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는 망이나 GPS 등의 측위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등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근 부가가치가 기대되는 서비스이다. 지오코더 서비스는 주소 등의 요청에 대해 X, Y, Z 등으로 표현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역으로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에 대해 주소 등을 포함한 정규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역지오코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국내의 많은 웹 기반의 GIS 서비스들이 지형지물 등에 의해 지리적인 위치를 탐색하는 지오코딩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나, 지리 정보에 대한 각각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사용되고 있어, 확장된 활용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환경의 발전에 따른 효율적인 지리적 위치정보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동향을 고려한 정규화 된 지오코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오코더 서비스를 위하여 기술규격 범위와 요구기능 정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정규화 및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국내 무선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주소 정의에 있어서 국내 주소체계를 충분히 분석하여 구축하였다. 이는 본 연구자가 LBS 표준화 포럼을 통하여 작성 중인 '지오코더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규격'을 수용한 것이다.적으로 분석하고, 지형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한 해안습지 지형분류도를 작성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해안습지 지형분류체계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성과를 비교하여 시안을 작성 표준화를 위한 첫 단계 시도를 소개하였다.분석 결과는 문장, 그림 및 도표, 장 끝의 질문, 학생의 학습 활동 수 등이 $0.4{\sim}1.5$ 사이의 값으로 학생 참여를 적절히 유도하는 발견 지향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장의 요약은 본문 내용을 반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공통과학 과목은 새로운 현대 사회에 부응하는 교과 목표와 체계를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도 통합과학으로서의 내용과 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7종의 교과서가 교육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괴리가 작아진다. 이 결과에 따르면 위탁증거금의 징수는 그 제도의 취지에 부합되고 있다. 다만 제도운용상의 이유이거나 혹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비합리적인 투자형태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Standardization (지명 전거 표준화를 위한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 Ji-won Baek;Sungsook L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1
    • /
    • pp.169-192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foundation for high-quality national place name authority data by developing Korean-specific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data in response to the need for systematic construction and standardization of authority databases. To this end, a surve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cases related to place name authority data was conducted, and the rules and guidelines of each country for establishing place name authority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urveys and rule analyses, the scope of concepts and terminology required to build a place name authority database were defined a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lace name authority data guidelines was set. The analysis also determined the scope and framework of the guidelines, and how they should be referenced to existing rules. The structure of the guidelines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original RDA and NCR.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process, the guidelin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terms of scope of construction, selection and recording of preferred place names, recording of variant place names, and attributes of place names to propose a technical guideline for place name authority data that fits the Korean situation. Future discussions were revealed accordingly.

The Current Status of BIM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Issues on the Adoption of LIM (BIM에 관한 조경분야의 동향 및 LIM 활성화 방안)

  • Kim, Bok-Young;Son,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3
    • /
    • pp.50-63
    • /
    • 2014
  • Since the new millennium, BIM has been widely adopt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of each country. After its first introduction into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USA, BIM has been debated on its merits and limitations mainly by the European countries' academic and, at the same time, practical world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BIM,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leaving many issues to solve to fully utilize B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ain issues and strategic agenda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derived word of LIM(Landscape Information Modeling) instead of BIM appeare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main issues on standardization and interoperability in the adoption of LIM to create, integrate, and reuse landscape information. Finally, four strategic agenda are presented to successfully introduce LIM into the domestic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reviewing the societies of the landscape discipline in UK and Norway that play a leading role by organizing BIM working groups.

Trend Analysis of Food Coordination-related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08 (국내 푸드 코디네이션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2008년 논문을 중심으로 -)

  • Kwon, Yong-Suk;Hong, Wan-So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3
    • /
    • pp.218-236
    • /
    • 2010
  • The concept of food coordination was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1990s and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interest until now. However, no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of such studies has been established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s in food coordination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08. To accomplish this, approximately 335 food coordination articles were reviewed.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analysis and the document review were conducted based on study themes(subjects), study forms, study designs, places of application, survey area and sample types. The most important type of study identified in this review was study themes. The theme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0 subjects: 1) studies on the definition and recognition of food coordination, 2) studies on the environment, 3) studies on colors and package designs, 4) studies on table setting, table manner and etiquette, 5) studies on photography, editorial design, identity design and menu, 6) studies on components of dining atmosphere display and table/glass ware, 7) studies on emotions and sensibility, the five senses and food coordination, 8) studies on human resources, 9) studies on reviews, food & culture and education, 10) studies on purchasing,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The most common subjects were the components of dining atmosphere display and table/glass ware(23.6%). In addition, 17% of the articles reviewed were conducted to study colors and package designs, 14.6% to evaluate purchasing and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13.4% to evaluate the environment, and 9.6% to study food & culture and education. Overall, these five subjects accounted for more than 75% of the articles reviewed.

  • PDF

Current Research Trends on Prevalence, Correlates with Cogni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n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근감소증 유병률, 인지기능과의 관계 및 중재연구 동향: 체계적 문헌고찰)

  • Ahn, Soojung;Chu, Sang Hui;Jung, Hyejeong
    • 한국노년학
    • /
    • v.36 no.3
    • /
    • pp.727-749
    • /
    • 2016
  • This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tudies which reported prevalence rates of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lationships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or effective interventions in alleviated symptoms of sarcopenia were selected. Of 43 studies reviewed, prevalence rate of sarcopenia ranged from 2.5-42.4% in 25 studies, and 4 studie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rcopenia and cognitive dysfunction. Among 12 randomized-control trials (RCTs), exercise intervention was used in 2 studies; nutrition intervention in 6; and 4 studies included bo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interventions. All interventional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n muscle mass, muscle strength, or physical function. However, only 6 studies met the high quality criteria of Risk of Bias, and there was no study which evaluated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Therefore,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lack of high-quality RCTs and exclusion of cognitive function as an outcome measure in the research of sarcopenia. A comprehensive and sustained system including standardized sarcopenia screening, assessments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programs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arcopenia amongst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seum Lighting (박물관 조명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Kim, Jiwon;Kang, Daiil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188-199
    • /
    • 2019
  •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important academic research on museum lighting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over the past 30 years. The aim was to highlight important studies conducted in Korea on material deterioration caused by museum lighting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ED light sources to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he ultimate goal of studies on museum lighting is to improve the long-term conservation effects, and this study examined the latest light sources of each era. Prior to the 1990s, the effects of light sources on relics were assessed by investigating incandescent light bulbs and fluorescent lamps, the first museum exhibition lighting. Then in the 1990s, the introduction of halogen lamps and HID lamps led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light source itself and the introduction of illumination standards. In the 2000s, the lighting environment of museum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sources that had been studied, and in terms of preservation, research was conducted not only to improve the conservation of relics but also to improve the sentiments of visitors. After 2010, LED lamps were introduced; therefore, material deterioration studies on LED lamps were expanded. During this period, enhancements to LED light sources were made, such as reducing the blue spike area and increasing color rendering. With the development of lighting us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reservation criteria has led to the need to prepare advanced standards, covering all aspects from the center of illumination to the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an object and the speed of radiation from the light source. Regular studies of museum lighting in a long-term perspective should be planned to standardize the more advanced conditions of material discol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