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사량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Beach Erosion Due to Severe Storms (폭풍에 의해 발생하는 해빈침식에 대한 수치해석)

  • 조원철;표순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2 no.1
    • /
    • pp.19-26
    • /
    • 2000
  • A numerical model is applied for predicting two-dimensional beach and dune erosion during severe storms. The model uses equation of sediment continuity and dynamic equation, governing the on-offshore sediment transport due to a disequilibrium of wave energy dissipation. And the model also uses sediment transport rate parameter K from dimensional analysis instead of that recommended by Kriebel. During a storm, a beach profile evolves to a form where the depth at the surf zone is related to the distance seaward of the waterline. In general, the erosion in the beach profile is found to be sensitive to equilibrium profile parameter, sediment transport rate parameter, storm surge level and breaking wave height.

  • PDF

안목항 방파제 건설로 인한 연안 토사 이동경향의 변화

  • 김인호;이정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90-495
    • /
    • 2004
  • 안목항의 방파제 확장 건설로 인하여 항남측에 심각한 침식현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데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현재 주변 해안선 변형 현상을 기초로 연안 표사 이동(littoral drift)도를 정성적으로 작성하였으며 수치 모형실험을 통하여 상세할 표사이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치모형 실험은 파랑 변형 및 해빈류 예측 모형인 WADEM-P, DISEM-R로 수행되었다. 항 내 매몰 및 하천 폐색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면 해안선 침식문제를 완화 시 킬 수 있는 장치로서 모래운송장치(sand transfer)의 필요성이 언급되었으며 앞으로 연안 표사량이 많은 동해안에서의 항만 건설시 꼭 필요한 부대장치임을 강조한다. 또한 주기적인 연안관측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연안 표사량 및 해안 침식율을 산정한 후 모래이송장치의 설치 여부 및 그 규모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 PDF

Long Term Shoreline Change including Sand Discharge from River (하천유사량을 고려한 장기적인 해안선변동 특성)

  • Lee, Seong-Dae;Park, Jung-Chul;Hong, C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61-2165
    • /
    • 2008
  • 최근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관심의 집중이 되고 있다. 특히 자연 환경 변화와 연안 구조물 건설과 같은 인위적 환경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연안에서의 침식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안표사, 연안 생태환경 및 연안방재에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환경적인 측면뿐 아니라 이용자의 측면에서 장기적인 해빈보전 계획의 수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장기적인 해빈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연안해역 자체의 표사 변동 뿐만 아니라 연안으로 유입되는 표사의 공급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천에서 연안해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유사가 어떻게 연안해역에 표사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남대천하구역에서 유출되는 하천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으며, 하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사량을 고려하여 강릉 남대천과 인접한 남항진해수욕장 인근에서의 장기적인 해안선변동 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수치모형에 의한 해안단면변화의 예측

  • 조흥연;이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79-187
    • /
    • 1992
  • 해안지형이 표사이동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주요 원인은 인위적 요인(예를 들면, 해안구조물의 설치, 토사채취, 하상준설 등에 의한 표사이동의 차단, 표사이동량의 변동 등)과 자연적 요인(예를 들면, 해안환경-기압, 바람, 조석 등-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화, 파랑내습 등에 의한 표사이동과 표사량 분포의 변화 등)으로 구분된다(CERC, 1984).(중략)

  • PDF

Analysis of Wave Data and Estimation of Littoral Drifts for the Eastern Coast of Korea (한국동해안의 파랑 자료 분석 및 표사량 추정)

  • 김아리;이정열;최병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3 no.1
    • /
    • pp.18-34
    • /
    • 2001
  • Statistical analysis oflong-tenn wave data resulted from HYPA(HYbrid PArametric wave model) for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performed. Subsequently a simple approach for predicting the global annual and seasonal littoral drifts has been derived to estimate littoral sediment budget.

  • PDF

Analysis of Future Coastal Erosion Risk by Reduction in Coastal Sediment Discharge from Geum River Watershed (금강유역 표사 수지 감소에 따른 주변 표사계의 미래 해안 침식률 분석)

  • Lee, Sahong;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61-2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해안 침식의 원인 중 유역 개발로 인한 해안으로의 표사 공급원이 감소를 검토하고, 그에 따른 표사계의 미래 해안 침식률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유역 개발로 인해 하천으로부터의 표사 유입 차단은 심각한 수준이다. 아직 그 영향이 해안으로 완전히 파급되지 못하여 그로 인한 장기 해안 침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또한 피해가 심각해지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측면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유역 개발로 인한 표사 유입량 감소를 계산하여 주변 표사계 내 미래 해안의 침식률을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유역개발로 인한 미래 침식 위험 지역의 판단과 침식 위험도 평가 도입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s from Shoreline Changes (해안선 변화로부터 연안표사량의 추정)

  • Jung Ji Sun;Lee Jung Lyul;Kim In Ho;Kweon Hyuck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4
    • /
    • pp.258-267
    • /
    • 2004
  • Coastal and harbor structures, which are constructed for the beach protection and coastal zone development, often cause the severe beach erosion problem resulted from changes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In this study,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s using the measured data of beach profiles or shorelines. The methods is applied for the prediction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s along Kailua beach, Hawaii and shorelines in the vicinity of Anmok Harbor, Korea.

Radiation Stress에 미치는 입사파랑의 불규칙성 및 방향분산성의 영향

  • 권정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36-39
    • /
    • 1991
  • 현지 해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표사이동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내습파랑의 방향 분산성과 불규칙성이 표사이동량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 인가에 대해 명백히 해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표사유송흐름으로서 해빈류의 추진적이 되는 radiation stress에 착목하여, 그들에 미치는 입사파랑의 방향분산성 및 불규칙성의 영향에 대하여, 주로 파별 해석법에 근거를 두고 수치적인 검사를 행한 것이다.(중략)

  • PDF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Beach Stabilization Measures against the Beach Erosion - Centering on the Yearly Sediment Budget of Mang-Bang Beach (해역별 최적 해빈 안정화 공법 선정 Platform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맹방해변 이송모드별 년 표사수지를 중심으로)

  • Cho, Yong Jun;Kim, In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1
    • /
    • pp.28-39
    • /
    • 2019
  • In the design process of counter measures against the beach erosion, information like the main sediment transport mode and yearly net amount of longshore and cross shore transport is of great engineering value. In this rationale, we numerically analyzed the yearly sediment budget of the Mang-Bang beach which is suffering from erosion problem. For the case of cross sediment transport, Bailard's model (1981) having its roots on the Bagnold's energy model (1963) is utilized. In doing so,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is estima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longshore transport rate is determined by the available wave energy influx toward the beach. Velocity moments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Bailard's model (1981) is deduced from numerical simulation of the nonlinear shoaling process over the Mang-Bang beach of the 71 wave conditions carefully chosen from the wave records. As a wave driver, we used the consistent frequency Boussinesq Eq. by Frelich and Guza (1984). Numerical results show that contrary to the Bailard's study (1981), Irribaren NO. has non negligible influence on the velocity moments. We also proceeds to numerically simulate the yearly sediment budget of Mang-Bang beach. Numerical results show that for ${\beta}=41.6^{\circ}$, the mean orientation of Mang-Bang beach, north-westwardly moving longshore sediment is prevailing over the south-eastwardly moving sediment, the yearly amount of which is simulated to reach its maxima at $125,000m^3/m$. And the null pint where north-westwardly moving longshore sediment is balanced by the south-eastwardly moving longshore sediment is located at ${\beta}=47^{\circ}$. For the case of cross shore sediment, the sediment is gradually moving toward the shore from the April to mid October, whereas these trends are reversed by sporadically occurring energetic wind waves at the end of October and March. We also complete the littoral drift rose of the Mang-Bang beach, which shows that even though the shore line is temporarily retreated, and as a result, the orientation of Mang-Bang beach is larger than the orientation of null pont, south-eastwardly moving longshore sediment is prevailing. In a case that the orientation of Mang-Bang beach is smaller than the orientation of null pont, north-westwardly moving longshore sediment is prevailing. And these trend imply that the Mang-Bang beach is stable one, which has the self restoring capability once exposed to ero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