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본설계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17초

중소기업실태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A sample design for the survey on actual state of SMEs)

  • 김달호;황진섭;곽상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21-1029
    • /
    • 2010
  • 중소기업의 조사부담 완화를 위하여 2009년부터 기존의 "중소기업실태조사", "중소기업인력실태 조사" 및 "중소기업사업전환실태조사"를 통합하여 하나의 조사로 수행하게 되었다. 통합 중소기업실태조사를 위한 새로운 표본설계에서 중소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 부문이 너무 상이하므로 별개의 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전체 표본수는 10,000개로 하였다. 변동계수를 사용한 배분공식으로 1차 층인 종사자규모 산업분류별로 표본을 배분하고 루트비례배분을 사용하여 2차 층인 지역별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새로운 표본설계에서는 가중치를 계산하였고 이를 이용한 추정량과 추정오차 공식을 유도하여 기존의 단순집계를 벗어나 종사자 규모별, 업종별 그리고 지역별 추정과 추정의 정도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상관관계와 표본 크기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의 효율성 비교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BLS Nonrespons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d Sample Size)

  • 김석;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01-1313
    • /
    • 2009
  • 미국 노동통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BLS 방법의 효율성과 민감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표본 틀 (Sample frame)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BLS 무응답 보정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석진과 신기일, 2008). 그러나 표본 틀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계수가 층별로 크기가 다른 경우, BLS 보정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표본 설계에서는 층화추출 방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가 다른 경우의 BLS 보정 효과률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 그리고 무응답 비율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노동부의 월별 자료인 2007년 매월노동통계 자료이다.

조사연구를 위한 표본크기 결정

  • 박진우;정미숙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39-149
    • /
    • 2007
  • 사회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할 때 표본의 크기를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조사연구자에게 고민거리가 된다. 사회조사 중에서 4점 또는 5점 척도로 된 여러 개의 개별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개개의 문항 자체를 직접적으로 하나의 변수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 문항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척도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가 관심변수인 조사연구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커트 척도를 만들고자 할 때 4점 혹은 5점 척도로 구성된 여러 문항변수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문항변수들은 각각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각각의 변수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가정을 한다. 주어진 가정 하에서 새로운 척도의 표본분포를 유도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를 표로 제시하게 되는데 표본이론을 잘 모르는 조사연구자들은 이 표를 이용하여 원하는 표본크기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3개의 교체그룹을 갖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에서의 복합추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osite Estimator in 2-level Rotation Design based on 3 Rotation Groups)

  • 박유성;문원기;김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15권1호
    • /
    • pp.45-55
    • /
    • 2002
  • 미국 통계국(Bureau of Census)에서 실시하고 있는 소매동태조사(Monthly Retail Trade Survey)를 중심으로 3개의 교체그룹을 갖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를 설명하고, 특성치의 추정을 위한 복합추정량을 다루었다. 설계 간격 (design gap)이 존재하는 2수준 교체표본설계에서의 일반화복합추정량(generalized composite estimator)과 순환복합 추정량(recursive composite estimator)을 제시하였고, 각 추정량의 분산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분산구조와 관련된 응답변동(response variability)과 반복응답으로 부터 연유되는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복합추정량 사이의 효율을 비교하였다.

운수업통계조사의 표본설계 (Sampling Design of Transport Survey)

  • 정동명;이채식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9-68
    • /
    • 2003
  •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사업체관련 통계조사들 중 운수업통계조사는 국내의 모든 운수업체를 대상으로 종사자수, 급여, 수입, 비용 및 유형고정자산 등 운수업부문의 경영활동실태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조사이다. 이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국가정책수립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기업경영계획수립과 학술연구 등에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올해 실시한 운수업통계조사의 표본설계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통계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표본사업체들의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복합표본조사 데이터 분석을 위한 회귀모형 접근법의 비교 - 소규모사업체조사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regression model approaches fitted to complex survey data)

  • 이기재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
    • pp.45-56
    • /
    • 2001
  • 복합표본조사 데이터 분석에서 회귀모형 접근법은 크게 표본설계 기반 접근법(design-based approach)과 일반화 추정 방정식 접근법(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approach)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은 이들 접근법과 모형기반 접근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각 접근법에서 표본설계가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계 효과와 가중치 효과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 PDF

절사표본에서 최적 절사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Cut-off Point in the Cut-off Sampling Method)

  • 이상은;조민지;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3호
    • /
    • pp.501-512
    • /
    • 2014
  • 상당수의 사업체 조사는 절사표본설계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절사표본설계법에서 얻은 전수층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전체 표본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전수층에 포함된 사업체들의 무응답률이 높아감에 따라 전수층이 가지고 있는 장점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Lee (2011), Shin과 Lee (2013)는 표본설계 단계에서부터 주어진 허용오차를 만족하면서 전수층 규모를 최소화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허용오차를 만족하고 Hidiroglou (1986)가 제안한 방법으로 산출 된 표본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표본층 분산에 알려진 함수를 적합하여 전수층 크기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최적 절사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Hidiroglou (1986)와 Shin과 Lee (2013)가 제안한 절단분포를 이용한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모의실험과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이러닝수요부문 사업체실태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A sampling design for e-learning industry status survey on the business demand sector)

  • 김혜중;곽화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701-712
    • /
    • 2013
  • 이러닝 (e-learning)산업통계는 이러닝산업 전반에 걸친 수요와 공급을 망라한 실태조사통계로 2004년 이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의해 매년 발표되고 있다. 한국표준산업분류가 2008년 개정 (제9차)됨에 따라, 이러닝 수요부문의 사업체조사에 사용해온 표본설계 (종사자규모 산업분류별 층화추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사업체조사의 목표모집단을 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종사자규모 산업분류별로 층화하고, 각 층에 부여된 목표변동계수값을 만족시키는 멱배분법의 승수를 모의실험으로 찾아서 층화별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고려한 표본가중치 계산, 그리고 가중치를 반영한 모수추정량과 추정오차는 기존의 조사에서 사용된 기술 통계적 분석을 벗어나 업종별과 종사자 규모별 추정과 추정의 정도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이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사후층화 방법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naive propensity score adjusted estimator using double post-stratification method)

  • 여이수;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6호
    • /
    • pp.547-559
    • /
    • 2023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의 적절한 처리는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한다. 결측 메카니즘이 MCAR (missing completely at random) 또는 MAR (missing at random)인 경우에서는 이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무응답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는 평균 추정량으로 흔히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이 사용되며 MAR 또는 MCAR 무응답인 경우, 알려진 표본 가중치와 타당한 방법으로 추정된 응답확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은 불편추정량이 된다. 그러나 관심변수 값에 영향을 받는 무응답인 MNAR (missing not at random) 무응답에서는 정확한 응답확률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에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 Chung과 Shin (2017, 2022)은 무정보적 표본설계에서 MNAR 무응답이 발생하였을 때 평균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 단일 사후층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적 표본설계를 사용하고, MNAR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서 나이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사후층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가구조사를 위한 이단추출 표본설계에서의 집락선택 (Choosing clusters for two-stage household surveys)

  • 박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63-372
    • /
    • 2016
  • 우리나라 가구조사는 흔히 통계청의 조사구를 집락으로 사용한 이단추출의 자체가중 표본설계의 형태로 진행된다. 집락구조는 모집단내 개체변동성을 집락간과 집락내 분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이와 연관된 표본집락수와 집락내 표본수의 결정은 표본추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조사구의 규모, 노후화, 가구명부 접근불가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집계구와 같은 대안적 집락선택이 고려되기도 한다. 또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부터는 전통적 가구방문조사 방식에서 행정자료를 이용한 등록센서스 형태로 바뀜에 따라 기존 조사구의 형태나 규모의 변경되어 구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락추출을 반영한 설계효과식을 통해 계통적 혹은 내포적 구성을 갖는 집락들의 선택이 주는 분산식 차이를 유도하고, 주어진 표본크기에서 동일한 분산을 갖는 집락구조별 표본할당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 매릴랜드주 앤어룬델 카운티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조사구와 집계구와 다소 유사한 사례연구를 포함하였다. 조사변수별로 집락통합이 주는 동일성 계수의 변화는 같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집락구조에 따른 표본할당이 집락표본수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