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백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백상폐지의 과산화수소 표백에 미치는 활성제의 영향

  • 안병준;백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3-70
    • /
    • 2001
  • Sodium persulfate, prestogen W, prestogen EB, citric acid 및 thiourea의 첨가에 따른 $H_2O_2$ 표백 효과가 연구되었다. Sodium persulfate(1%), Prestogen EB(15.0%)를 $H_2O_2$ 활성제로 첨가하여 표백할 경우 기존 $H_2O_2$ 표백(86.0% ISO)보다 표백 펄프의 백색도가 2-3% ISO 더 증가하였다. $H_2O_2$ 표백 후 thiourea를 첨가하여 표백하는 산화-환원 연속표백(87.9% ISO)에서도 $H_2O_2$ 표백 후 FAS로 2단 표백(88.3% ISO)을 한 경우와 비슷한 백색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표백 펄프의 인장지수, 파열지수 그리고 인열지수는 기존 표백 또는 Prestogen EB를 첨가할 경우 높고 sodium persulfate 첨가에서 가장 낮았다. 산화-환원 연속 표백된 펄프의 강도도 기존 $H_2O_2$ 표백보다 미세하게 낮았다.

  • PDF

Diffrac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Holographic Grating derived from Slavich PFG-01 by a Bleach Technique (표백방법에 따른 Slavich PFG-01 홀로그래피 회절격자의 회절효율 특성)

  • Lim, Chun-Woo;Sohn, Sang-H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2
    • /
    • pp.203-210
    • /
    • 2010
  • The characteristics of diffraction gratings, fabricated using Slavich PFG-01 plates as a holographic recording material, were investigated using various bleach techniques. The changes in diffraction efficiencies, under given development conditions, resulting from the use of a new reversal bleach and a new fixation free rehalogenating bleach are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ffraction efficiencies are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veloper, the reversal bleach and the fixation free rehalogenating bleach. In this study, the highest values of the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was obtained when PFG-01 plates were developed in AAC developers contained with l-ascorbic acid 20 g/L and sodium carbonate 60 g/L, processed by a reversal bleach, as high as 89.0%. Moreover, the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of 82.1% was obtained when PFG-01 plates were processed by a fixation free rehalogenating bleach. In addition, higher diffraction efficiencies are yielded in the case of the revesal bleach than in the case of the fixation free rehalogenating bleach.

  • PDF

Effect of Sugarcane Bagasse Soda-AQ Pulp Bleaching Properties by Type of Chelate Compounds and Simultaneous Process of (DQ) Stage (이산화염소 표백단계와 킬레이트 처리단계 동시 진행 시 킬레이트 종류가 사탕수수 Soda-AQ 펄프 표백에 미치는 영향)

  • Lee, Jai-Sung;Shin, Soo-J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1
    • /
    • pp.147-155
    • /
    • 2016
  • Pulp made from sugarcane bagasse (SCB) was bleached in element chlorine free (ECF) sequence. The peroxide bleaching process for the final bleaching process has been introduced in order to reduce the use of chlorine dioxide. Prior to peroxide bleaching, different chelating chemicals were applied. When 4.5% of the total chlorine dioxide was used, bleached SCB pulp using additional DTPA chelate stage (DEDQP) resulted in 87.0% of the ISO brightness. However, bleached pulp using simultaneous stage of DTPA chelate and chlorine dioxide (DE(DQ)P) was reached at 83.9% of the ISO brightness. The viscosity of DEDQP bleached pulp was 25.6 cPs, and the one of DE(DQ)P bleached pulp was 21.9 cPs. Decreasing of chelate effect by chlorine dioxide led to a decrease in the final brightness and a lower viscosity. But simultaneous stage of EDTA chelate and chlorine dioxide (DE(DQ)P) led to higher final brightness (87.0% ISO) and higher viscosity (25.8 cPs) than those of the $DEDQ_{EDTA}P$ bleached pulp (86.4% ISO, 25.2 cPs).

Miscibility and Bleaching of Modified Polypropylene (개질 Polypropylene의 혼화성과 표백)

  • Cho, Kyu-Min;Cho, In-Sul;Chang, Du-Sang;Lee, Eun-Woo;Kim, Oh-Nye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0 no.6
    • /
    • pp.33-41
    • /
    • 1998
  • 이 연구는 염색성이 열악한 polypropylene(PP) 섬유의 염색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PP 섬유를 개질하기 위해 1차 cellulosic유도체를 추출하고 이 유도체와 PP를 9:1의 혼합비율로 섞어 master batch를 만든 다음 master batch 17%와 PP를 blending하여 개질 PP를 만들었다. 이렇게 제조된 개질 PP는 혼합된 변성 cellulosic polymer의 영향으로 착색이 심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표백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blend한 개질 PP(Grand P)의 혼화성이 우수하였고, 아염소산나트륨에 표백적성을 가지며, 표백의 최적조건은 표백제의 농도가 0.1% $NaClO_2$, 표백온도 $70^\circ{C}$, 표백시간 30분이었다.

  • PDF

변색된 생활치아의 표백술

  • Lee, Jeong-Seok;Choe, Seong-Geun;Park, Do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0 no.11 s.162
    • /
    • pp.921-926
    • /
    • 1982
  • 치과의술의 발전과 시회·경제적인 인식의 발달로 심미안이 높아져 치과학 영역에서도 미적개념이 자연적인 것으로 환원하는 추세에 맞춰 치수치료시에 환자가 치료후 변색에 대한 우려를 종종 표시한다. 이러한 변색된 무수치아에 대한 표백술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구강내 생활치아 모두가 전신적인 질환 및 환경요인등에 의하여 변색될 경우의 표백술은 아주 최근에 소개된 데 불구하며 (Cohen, 1970),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Cohen의 보고이후 Arens(1972, 5증례), Corcoran(1974, 6증례), Cohen(1979, 18증례)의 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해 변색된 생활치아의 성공적인 표백술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McInn(1966), Bailey와 Christen(1968), 그리고 Wayman과 Cooley(1981)에 의한 불소중독증에 걸린 변색생활치아의 표백술이 보고되었다. 이에 간편한 생활치아의 표백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abrication of High Efficiency Silver Halide Holograms by Reversal Bleaching Process (반전표백 방법에 의한 고효율 은염건판 홀로그램 제작)

  • 백성훈;홍석경;김철중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 no.2
    • /
    • pp.89-95
    • /
    • 1991
  • High diffraction efficiency holographic gratings in silver halide emulsion were fabricated by using reversal bleaching process. The diffraction efficiencies of gratings were improved greatly by applying rapid drying procedure with isopropyl alcohol after bleaching with optimized developers. The dependency of diffraction efficiencies on the different groups of developers, the concentration of bleaching solutions, and the drying methods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oretically. Same as usual reversal bleaching process, the fabricated gratings showed very low scttering compared to those made by conventional bleach process. The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was 88%.

  • PDF

한지의 처리공정에 따른 섬유와 한지의 물성 비교

  • Choi, Chan-Ho;Seo, Yeong-Beom;Jeon,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93-19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국산닥, 태국닥, 중국닥의 원료를 사용하여 펄핑, 표백, 고해, 초지, 건조의 방식을 변화시켜 총 3500 여장에 이르는 한지를 한지제조 전문가가 일정한 방법에 따라 제 조하였고 그 특정들을 조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지의 물성이 닥섬유의 처 리공정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를 통계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재펄핑과 일광표백의 효과, 외발뜨기와 쌍발뜨기의 효과, 고해방식의 차이, 먹퍼집성에 대 해 결과들을 보이 고 있다. 육재 펄핑과 일광표백이 한지의 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현 재는 많은 한지 업자들이 육재펄핑보다는 가성소다 펄핑 (그림에서는 약품펄핑으로 표기), 일광표백보다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그림에서는 약품표백으로 표기)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 이다. 육재펄핑과 일광표백을 실시한 한지는 열단장, 인열강도, 내절도를 약품펄핑이나 약 품표백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 리그닌의 용출이 더 수윌하므로 백색도는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유리하였다. 국산닥의 경우 육 재펄핑과 일광표백을 한 경우 먹퍼짐성이 약품사용 한지보다 크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한국의 전통적인 외발뜨기 초지방식은 일본의 쌍발뜨기 방식에 비해 많은 물리적 우수성 을 보이고 있다. 외발뜨기가 쌍발뜨기에 비해 열단장, 신장율, 인열지수 및 내절도 모두가 우수함을 잘 보이고 있다. 섬유의 성질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조명해 보면, 열단장, 인열 지수는 국산닥이 가장 높으며, 내절도는 태국닥이 우수하였고, 중국닥의 경우 모두 매우 불 량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아마도 처리중에 과도한 표백을 실시하지 아니하였는가 하는 의구심을 들게한다. 열단장과 신장율 역시 국산닥이 우수하였다. 글씨를 쓸 때, 붓이 나가 는 정도를 마찰게수로 짐작해 보았다. 동 마찰계수와 정 마찰계수는 국산닥이 낮은 편이였 다. 마찰계수가 낮다는 사실은 한지의 표면이 더 매끄럽다고 표현될 수 있는데, 역시 국산닥 으로 제조한 한지가 붓이 나가는데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본 실험결과 는 한지 사용자들의 느낌과 상관관계를 얻어내어서 확인해야 할 것이다. 닥방망이로의 고해나 칼비터에 의한 고해나 큰 물성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있 었다. 단지 섬유의 차이가 고해방식의 차이보다 월등히 크다는 사실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섬유장의 길이에서도 볼 수 있다. 칼비터가 섬유를 절단하기만 하고 닥방망이 고해가 섬유장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틀림없이 평균 섬유장의 차이가 생길것이다.

  • PDF

WHITENING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TETRACYCLINE-STAINED RAT TEETH (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해 변색된 백서 치아에 대한 표백제의 표백 효과)

  • 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4 no.2
    • /
    • pp.364-371
    • /
    • 1999
  • 본 연구는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해 변색된 백서 치아에 대한 3 종 표백제의 표백효과를 비교하고 표백제의 침투 깊이 (법랑질 두께)에 따른 표백효과의 차이를 판별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0 마리의 웅성 백서에 매일 2주 동안 테트라싸이클린 용액을 복강내 주입하였다. 디스크 형태의 32개 백서 치아 표본을 16 시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변색을 야기시켰다.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에 보관하였으며 실험군은 3종 표백제(Opalescence, Rembrandt, NiteWhite)에 하루 5회씩 2주간 노출시켰다. 치아 색상을 표백전, 표백 1일, 3일, 5일, 7일, 9일, 11일, 및 14일에 각기 기록하여 치아내 변색부와 정상 색상간의 색상차 (${\Delta}$E)를 판독하였다; 대조군 - 9.78, 9.17, 9.36, 9.65, 9.40, 9.99, 10.57, 11.36; Opalescence - 10.08, 7.63, 6.72, 6.04, 5.10, 4.87, 4.89, 4.27; Rembrandt -9.83, 11.27, 9.55, 8.36, 7.75, 6.94, 7.11, 7.04; NiteWhite - 10.44, 9.92, 7.58, 6.80, 5.45, 5.05, 4.73, 4.01. 표백된 모든 치아들의 색상이 밝아졌다. (p<.01) 테트라싸이클린이 주입된 56개 백서 치아를 3 일간 자외선에 조사한 다음, 3가지 유형의 표백제 침투깊이를 설정하였다. 설측 상아질과 순측 법랑질을 통한 침투 (DN), 순측 법랑질만을 통한 침투 (RE), 1.0 mm 두께의 사람 법랑질로 피개된 순측 법랑질을 통한 침투 (HE). 표본들을 Opalescence로 하루 5회씩 1주일 및 4 주간 표백한 후 횡단하여 치아 색상을 측정하였다. 표백되지 않은 치아들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치아내 변색부와 정상 색상간의 색상차 (${\Delta}$E)는 다음과 같았다. 대조군 - 11.67; 1주 DN 군 - 13.55; 1주 RE군 - 12.80; 1 주 HE군 - 12.07; 4주 DN군 - 7.48; 4주 RE군 - 7.50; 4주 HE군 - 11.69. 4주 DN군과 4주 RE군의 색상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p<.01)

  • PDF

Study on Bleaching Effect of Neutralization Agent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Regarding Its Concentration - Focused on 10% Urea Hydrogen Peroxide Bleaching Gel - (도자기 표면 변색에 대한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및 Triethylamine)의 농도별 표백 효과 -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중심으로 -)

  • Ham, Chul 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4
    • /
    • pp.130-141
    • /
    • 2011
  • This paper examined the bleaching effect of the two types of gel made with neutralizing agent such as sodium meta silicate gel & triethylamine gel mixed with carbopol resin 940 & 934 which has thickness effect in broad pH region and mixed with 10% hydrogen peroxide. Sodium meta silicate gel(1.6g included) provided pH 10,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for bleaching. The result of comparison of the baseline colour changes(${\Delta}E*ab$) and colour changes according to time(${\Delta}E*ab$) is as following. Group1(carbopol 940, sodium meta silicat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112% efficiency at CS-2; 63.3% at CS-4; 87.4% at CS-6. Group2(carbopol 934, sodium meta silicat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77.3%, 67.3%, 109.6% at CS-8, CS-10, CS-12 respectively; CT-1, CT-3, CT-5 of Group3(carbopol 940, triethylamine, Urea Hydrogen Peroxide) showed 36.8%, 73.2%, 74%; In Group4(carbopol 934, triethylamine, Urea Hydrogen Peroxide), efficiency of CT-6, CT-8, and CT-10 was 81.7%, 95.4%, and 95.7%. The paper showed that various concentration of neutralizing agent such as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have bleaching effect. Viscosity of the gel including sodium meta silicate was higher than the gel including triethylamine. High viscosity helps the bleaching gel sit on the smooth slope of the ceramics. As a result, sodium meta silicate is considered to provide thickening and bleaching effect required in producing 10% hydrogen peroxide gel.

Studies on the Sequestering Agents to Replace Silicate in Peroxide Bleaching System (과산화수소 보존표백시 Silicate 대체 약품에 관한 연구)

  • Kim, Sung-Kwon;Choung, Sung Wook;Michalowski, R.J.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5
    • /
    • pp.754-75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lacing silicate by Versenate PS peroxide stabilizer in a peroxide bleaching system of deinked pulp proces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and caustic in bleaching for stock treated with silicate and Versenate PS were performed. After these performance, residual peroxide content and brightness were measured. Results obtained for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Caustic concentration in bleaching system treated with silicate was optimized at 2.5~3.0%. 2. Caustic concentration in bleaching system treated with Versenate PS was optimized at 1.0~1.5%. 3. Versenate PS alone did not provide satisfying bleaching effect. 4. Bleaching system treated with Versenate PS had potential to reduce silicate. 5. DTPA pretreatment provided higher bleaching effici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