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미세경도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ffect of Polymer Adhesive Film Supplemented 5% NaF on Enamel Remineralization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필름의 법랑질 재광화효과)

  • Jih, Myeongkwan;Lee, Sangho;Lee, N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1 no.3
    • /
    • pp.218-224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5% sodium fluoride-polyvinyl alcohol (NaF-PVA) tape influencing enamel remineralization by analysing enamel surface microhardness (SMH) and variation of ${\Delta}F$ of QLF. After enamel demineralizing of specimen, these 60 specimens with average KHN of microhardness ranging from 50 to 100 and with ${\Delta}F$ of QLF ranging from -15 to -25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group 1 (control group), group 2 (NaF-PVA), group 3 (fluoride varnish, FluoroDose$^{(R)}$ varnish), group 4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Tooth mousse plus$^{TM}$). These specimens were treated with materials and then immersed in artificial saliva. We measured remineralization rate each using surface microhardness (SMH)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digital (QLF-D). As a result, NaF-PVA tape is better than group 1, 4 and have comparable remineralization effect with group 3 (p < 0.05).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SEALANT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 복합 레진의 미세 경도 및 표면 조도의 비교)

  • Yang, Kyu-Ho;Choi, Nam-Ki;Kim, Seon-Mi;Choi, Ji-E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6 no.3
    • /
    • pp.440-447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wear resistance of sealant and flowable resins for analyzing the effect of flowable resin as a sealant in preventive resin restorations. Specimens were made and Vicker's hardness number and surface roughness were measured. SEM observations of the polished and abraded surfaces were established. Kruskal-Wallis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at the significant level of ${\alpha}$=0.05 were us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icrohardness was decreased among groups in following order: Z350 (3M ESPE, U.S.A), Estelite (Tokuyama Dental, Japan) and Ultraseal (Ultradent, U.S.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roups (p<0.0001). 2. The surface roughness was decreased among groups in following order: Ultraseal XT plus, Palfique Estelite LV and Filtek Z350 flowable.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ughness among Estellite, Z350 and Ultraseal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alpha}$=0.05, with p=0.116 3. SEM observation of the unworn and worn surfaces revealed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wear appearance among groups.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flowable resin is better than sealant in aspect of physical properties.

  • PDF

Effect of Si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i-Al-Si-C-N Coatings (Si 함량에 따른 Ti-Al-Si-C-N 코팅막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Hong, Yeong-Su;Gwon, Se-Hun;Kim, Gw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8-210
    • /
    • 2009
  • 5성분계 Ti-Al-Si-C-N 코팅막은 하이브리드 코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리콘 (Si) 웨이퍼와 SUS 304 기판위에 합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 첨가에 의해 Ti-Al-Si-C-N 코팅막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Si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Ti-Al-Si-C-N 코팅막의 미세구조는 주상정에서 나노복합체를 가지는 미세구조로 변화하였다. 나노복합체의 고유한 특성에 의하여 미소경도는 약 56GPa로 증가하였고, Si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마찰계수도 크게 줄어들었다.

  • PDF

EFFECT OF CITRIC ACID AND CALCIUM ON DENTAL EROSION (구연산과 칼슘이 치아침식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Song, In-Gyeong;Lee, Kwang-Hee;Kim, Dae-Eup;Yang, Yo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2 no.3
    • /
    • pp.454-460
    • /
    • 2005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calcium and citric acid on the dental erosion of human premolar enamel. Enamel specimens were demineralized in 0.1%, 0.3%, 0.5%, or 1.0% citric acid solutions with 0.05%, 0.1%, or 0.2% calcium for 5, 15, 30, and 60 minutes, and then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the enamel was measured. The hardnes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and the demineralization time increased. Hardness after 5 minutes was 76~90% in case of no calcium and the inhibition of dental erosion by calcium addition was 2??15%. Hardness after 15 minutes was 65~84% in case of no calcium and the inhibition of dental erosion by calcium addition was 3~17%. Hardness after 30 minutes was 53~72% in case of no calcium and the inhibition of dental erosion by calcium addition was 6~22%. Hardness after 60 minutes was 43~66% in case of no calcium and the inhibition of dental erosion by calcium addition was 7~19%. The inhibition was the highest in 1.0% citric acid and 0.2% calcium. In 0.1% citric acid the inhibition increased as the demineralization time increased, but in 0.3% to 1.0% citric acid the inhibition was most high at 30 minutes and decreased a little at 60 minu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cium has a inhibitory effect on the citric acid induced dental erosion.

  • PDF

Effects of 3.5%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on the Tooth Enamel Surface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를 함유한 3.5% 과산화수소가 치아표면에 미치는 영향)

  • Shim, Youn-Soo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4
    • /
    • pp.320-3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ooth whitening and properties of an enamel surface after treatments with tooth bleaching agents that contained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CPD) and hydrogen peroxide (HP). Thirty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fifteen premolar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10): 1, 3.5% HP + 0 g DCPD; 2, 3.5% HP + 0.1 g DCPD; 3. 3.5% HP + 1 g DCPD. All groups were bleached 8 hours per day for 14 days. With increasing DCPD concentration, the pH values in the agents increased, making it less acidic.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As the concentration of DCPD wa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a and P was also increased. In all groups, after the tooth whitening, the tooth color was found to have a value of $L^*$ (p<.05).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enamel microhardness compared to their baseline (p<.05). The percentage microhardness loss (PML) of the group A1 and A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A3. The obvious variation of morphology was observed on enamel surfaces in group A1. Following an analysis of the constituents of enamel surface after bleaching, as DCPD content was increased, the amount of Ca and P was increas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DCPD/HP agent less demineralization changes such as the erosion morphology and hardness loss without compromising whitening efficiency.

Properties of TiN Thin Films Fabricated by Oblique Angle Deposition Technique (경사 코팅법으로 제조된 TiN 박막의 물성 연구)

  • Jang, Seung-Hyeon;Yang, Ji-Hun;Park, Hye-Seon;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75-75
    • /
    • 2011
  •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질화물(nitride)은 높은 경도, 내마모성, 부식 저항성 그리고 내열성 등과 같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이 중 질화 티타늄은 높은 경도, 내식 및 내마모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공구(tool)와 같은 제품의 수명 향상을 위한 표면 코팅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금(gold)색의 미려한 색상을 이용한 제품의 외관 표면처리, 정형외과 및 치과용 보형물의 수명 및 안정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thodic Arc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질화 티타늄을 합성하였으며, 경사 코팅에 따른 단층 및 다층 피막(3-layer)의 미세조직 변화와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아크 소스에 장착된 타겟은 99.5%의 Ti 타겟을 사용하였고, 시편과 타겟 간의 거리는 약 31 cm이며, 시편은 알코올과 아세톤으로 초음파 세척 된 냉연강판과 SUS 304를 사용하였다. 시편을 진공용기에 장착하고 ~10-6 Torr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고, Ar 가스를 진공용기 내로 공급하여 ~10-4 Torr에서 시편에 bias (Pulse : 400V)를 인가한 후 아크를 발생시켜 약 5분간 청정을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청정이 끝나면 시편에 인가된 bias를 차단하고 코팅하였다. 경사 코팅을 위한 시편의 회전각은 $30^{\circ}$, $45^{\circ}$, $60^{\circ}$이며, 질화 티타늄의 두께는 약 $3{\mu}m$로 동일하게 코팅 하였다. 경사 코팅된 박막의 경우는 동일 시간 코팅하였을 경우 경사각이 커질수록 두께가 감소하였다. 경사각에 따라 코팅 층이 성장하였고, Bias를 인가 할 경우에는 경사 입사의 효과가 상쇄됨이 관찰되었다. 또한 경사 코팅에 의해 제조된 티타늄 질화물의 경도는 저하 되었으며, $30^{\circ}$$60^{\circ}$에 비해 $45^{\circ}$ 경우 경도 저하가 가장 적었다. 결론적으로 Cathodic 아크 코팅 방법으로 질화티타늄을 합성하였고, 경사 코팅을 통해 박막의 미세조직 변화를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박막의 성장을 유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도, 내마모성, 내식성 등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경사 코팅법으로 제조된 TiN 다층 박막의 특성

  • Song, Min-A;Yang, Ji-Hun;Park, Hye-Seon;Jeong, Jae-Hun;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70-270
    • /
    • 2011
  •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질화물(nitride)은 높은 경도, 내마모성, 부식 저항성 그리고 내열성 등과 같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이 중 질화 티타늄은 높은 경도, 내식 및 내마모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공구(tool)와 같은 제품의 수명 향상을 위한 표면 코팅소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금(gold)색의 미려한 색상을 이용한 제품의 외관 표면처리와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활용한 정형외과 및 치과용 보형물의 수명 및 안정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크방전을 이용한 경사 코팅법으로 질화 티타늄을 합성하였으며, 경사 코팅에 따른 단층 및 다층 박막(2~3 layer)의 미세조직 변화와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아크 소스에 장착된 타겟은 120 $mm{\Phi}$, 99.5%의 Ti 타겟을 사용하였고, 시편과 타겟 간의 거리는 약 30 cm이며, 시편은 냉연강판과 SUS를 사용하였다. 시편을 진공용기에 장착하고 ~10-6 Torr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고, Ar 가스를 진공용기 내로 공급하여 ~10-4 Torr에서 시편에 bias (Pulse : 400 V)를 인가한 후 아크를 발생시켜 약 5분간 청정을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청정이 끝나면 시편에 인가된 bias를 차단하고 코팅하였다. 경사 코팅을 위한 시편의 회전각은 45$^{\circ}$, -45$^{\circ}$이며, 질화 티타늄의 두께는 약 3 ${\mu}m$로 동일하게 코팅 하였다. 45$^{\circ}$ 단일층의 경우 0$^{\circ}$ 단일층보다 경도가 감소하나 zigzag 구조의 다층으로 갈수록 45$^{\circ}$ 단일층과 비교하여 확연히 경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다층 질화 티타늄의 경사 코팅을 통해 박막의 미세조직 변화를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증착 방식에 따라 경도, 조도, 반사도 등의 물성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박막구조 제어를 통한 물성변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formed Multi-nano Layers by the Dynamic-Nano Indentation Method (동적 나노압침법과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전주된 Invar-Cu 복합 박막층의 기계적 특성 평가)

  • Gang, Bo-Gyeong;Han, Sang-Seon;Cho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201.1-201.1
    • /
    • 2016
  • 전주된 Invar (Fe-35%Ni) 박판 위에 증착된 Cu 박막은 스퍼터 전력량이 증가할수록 증착속도가 증가하였다. Cu/Invar 박판이 Invar 박판보다 면저항 값이 34%로 작았다. Invar 박판 위에 Cu가 증착되면 최대자화와 투자율은 각각 40.3, 65.0 [%] 감소하였다. Cu 박막의 탄성하강강성도, 마찰계수, 피로한계는 각각 45, 0.130, 0.093 이었다. 동적 나노 압침법으로 얻은 Invaar/Cu 박막의 하중-시간-변위 곡선의 가장 큰 차이는 탄성하강강성도(elastic stiffness) 이었다. 미세경도와 나노경도의 실험적 관계식은 $Y[GPa]=9.18{\times}10^{-3}X[Hv]$ 이었다. 나노압침선단의 하중분포를 이차원 선형 및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1.0 [mN] 의 정적하중을 가한 Cu 박막은 486 [mN] 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표면탐침현미경으로 관찰한 압흔의 변형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Properties of TiN Thin Films Synthesized with HiPIMS and DC Sputtering (HiPIMS와 DC 스퍼터링으로 제조한 TiN 박막 특성)

  • Yang, Ji-Hun;Byeon, In-Seop;Kim, Seong-Hwan;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93-93
    • /
    • 2017
  • 고전력 펄스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high-power impulse magnetron sputtering; HiPIMS)과 직류(direct current; DC)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DC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제조한 티타늄 질화물(titanium nitride; TiN) 박막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HiPIMS와 DC 스퍼터링 공정 중에 빗각증착을 적용하여 TiN 박막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TiN 박막을 코팅하기 위한 기판으로 스테인리스 강판(SUS304)과 초경(cemented carbide; WC-10wt.%Co)을 사용하였다. 기판은 알코올과 아세톤으로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여 기판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기판 청정 후 진공용기 내부의 기판홀더에 기판을 장착하고 $2.0{\times}10^{-5}torr$의 기본 압력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였다. 진공 용기의 압력이 기본 압력에 도달하면 아르곤(Ar) 가스를 진공용기 내부로 ${\sim}10^{-2}torr$의 압력으로 주입하고 기판홀더에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 80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글로우 방전을 발생시켜 30 분간 기판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기판청정을 실시하였다. 기판청정이 완료되면 기본 압력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고 Ar과 질소($N_2$)의 혼합 가스를 진공용기 내부로 ${\sim}10^{-3}torr$의 압력으로 주입하여 HiPIMS와 DC 스퍼터링으로 TiN 박막 제조를 실시하였다. 빗각의 크기는 $45^{\circ}$$-45^{\circ}$이었다. 제조된 TiN 박막은 주사전자 현미경, 비커스 경도 측정기 그리고 X-선 회절 분석기를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HiPIMS로 제조한 TiN 박막은 기판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색상이 노란색을 보이지만, DC 스퍼터링으로 제조한 TiN 박막은 기판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면 노란색을 보이지 않고 어두운 갈색에 가까운 색을 보였다. TiN 박막의 경도는 HiPIMS로 제조한 TiN 박막이 DC 스퍼터링으로 제조한 TiN 박막보다 높았다. 이러한 TiN 박막의 특성 차이는 DC 스퍼터링과 비교하여 높은 HiPIMS의 이온화율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빗각을 적용한 TiN 박막은 미세구조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미세구조 변화는 TiN 박막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 of indoor illuminance depends on direction of the side windows lighting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른 실내조도의 영향)

  • Cho, Shee-Man;Kim, Won-Joong;Jang,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3-260
    • /
    • 2004
  • 실내의 조명은 자연채광방식과 인공조명으로 나누어지는데 자연형 채광방식에서도 측창채광과 천창채광, 정 측창채광 그리고 반사 채광방식이 있다. 측창채광은 벽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연직인 창에 의한 채광을 말한다.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라 실내조도는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측창채광의 동서남북의 방향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시간대에 따라 변화되는 실내조도를 알아보았다. 실험방법은, 조명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Lightscape V3.2를 사용하여 교실공간의 치수와 작업면의 높이를 가로 5.8[m], 세로 10.8[m], 높이 3[m], 작업면의 높이 0.75[m]로 정하였고, 각 시설물의 반사율[p]은 벽 80%, 창문 12%, 출입문 13%, 바닥 20%, 천장 85%로 지정하였으며 창문의 투과율은 88%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값은 계절은 여름을 6월20일, 겨울은 1월20일 기준으로 하고 시간대는 09시, 13시, 18시로 하였으며 창측방위는 동, 서, 남, 북으로 정하였으며 계절과 시간은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값을 선택하였다. 결론으로 창이 남쪽일 때 평균조도가 9,100[lx]로 가장 높았고, 시간별로는 점심에 19,590[lx]로 조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조도 균제도는 창이 동쪽일 때 겨울에 가장 높았다. 창이 북쪽일 때는 여름이 겨울보다 평균조도가 약간 높았고, 시간별로는 아침에 조도가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북쪽 창에서 실내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측창의 브라인드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직 브라인드 대신에 수평 브라인드를 사용하여 주광의 범위를 넓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하고, 점등제어를 현재 측창면과 수직으로 되어있는 배열을 수평으로 한다면 자연채광의 효과를 배가 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able pitch와 helical angle보다는 근본적으로 radial land가 screw-in effect의 예방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NiTi file의 사용 경험이 없는 초심자의 경우 근단부 폭경의 유지능력이 좋은 ProFile$^{(R)}$의 사용이 추천된다.)되었다.였으나 강남콩군 외에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및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아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 으로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된다.면 바로 위 지점의 풍속을 측정하였다. 각 Seeding 물질에 대해 팬을 켜지 않았을 때, 즉 바람의 영향이 없을 때 측정한 표면유속을 바람의 세기가 변한 경우의 기준 표면유속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중이 0.01 내외인 Ecofoam과 white polystyrene에 비해 비중이 0.92인 black polypropylene은 대부분이 물속에 잠겨 있어 흐름과 거의 일치하여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흐름의 평균유속이 0.165 m/s의 저유속에서 바람이 tracers에 미치는 영향이 평균유속 0.558m/s인 경우보다 커서, 바람의 세기의 증가에 따라 표면유속 측정값이 급속히 감소되었다. 흐름의 평균유속이 큰 경우에는 바람이 tracer에 마치는 영향이 현격히 줄어듬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바람의 영향은 감소하나, 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