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면관찰

Search Result 3,9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Histological Observation of Bone Reaction with Relation to Surface Treatment of Titanium (생체합금 Titanium의 표면처리에 따른 골반응의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 Ahn, Myun-Whan;Choi, Yong-Sug;Ahn, Jong-Chul;Seo, Jae-Sung;Lee, Dong-Chul;Jang, Jae-Hyu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3 no.1
    • /
    • pp.116-133
    • /
    • 1996
  • The biocompatibility of the titanium has been estabilished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studies such as cell culture toxicity test, pyrogen test, mutagen test and others. In order to confirm biocompatibility after fabrication of titanium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ne reaction after insertion of the lathed titanium rods and the bone reaction after insertion of the finished and polished rods, both rods were implanted into the proximal femur of a rabbit. Histologic reactions in the bone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ASTM standards at the intervals of 6 weeks, 12 weeks and 26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 In 6 weeks after implantation of lathed titanium rods, inflammatory reactions, such as minimal degree infiltration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lymphocytes were observed in all cases. This was thought to he caused by surgical trauma. Howeve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as not seen after implantation of polished and finished rods in all cases. The cellular infiltration and the histologic reaction of the hone after implantation of lathed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than those after implantation of the finished group. In 12 weeks after implantation of lathed rods, two of four cases revealed a minimal degree of cellular infiltration. No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as demonstrated after implantation of the finished group. The cellular infiltration and histologic reaction seemed to be more pronounced in the lathed group,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t 26 weeks after implantation of the lathed and finished group, there was no cellular infiltration in both groups.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up 26 weeks, and no difference between lathed titanium rods and finished titanium rods were apparent. Mild bone necrosis was observed in 1 case out of 11 cases in which lathed titanium rods were implanted. Bone necrosis was not observed in the finished titanium rod group. Fibrosis was observed in both groups, but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e lathed titanium rods group and the shorter interval group,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inished titanium rods and longer interval groups had markedly decreased tendences in histologic reaction ratings. As a conclusion, although certificated titanium might be safe to use, difference of biocompatibility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surface finish. By identifying biocompatibility as a long-term standardized animal study, we can develop progressed internal fixation device that is safe for human beings.

  • PDF

Nano-sized Silica를 이용한 Polymer bead의 대전 특성에 관한 연구

  • O, Yu-Mi;Kim, Seong-Un;Yun, Hae-Sang;Kim, Gyeong-Su;Park, S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2-202
    • /
    • 2009
  • 대전제어제를 이용하여 전하량을 가지는 토너 입자를 제조하고, 입자의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입자의 표면처리를 하였다. 제조된 토너 입자의 크기는 약 $8{\mu}m$정도이며, 표면 처리를 위해 크기가 약 14nm 정도인 nano-silica를 사용하였다. 대전제어제가 첨가된 토너 입자의 평균 전하질량비는 30.9uC/g이고, 표면처리를 한 입자의 전하질랑비는 외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처리가 된 입자의 유동성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입자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알곤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강도 탄소섬유 복합재용 직물 표면 처리 연구

  • Kim, So-Yeong;Kim, Seong-Ryun;No, Ye-Ji;Lee, H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89-289
    • /
    • 2013
  • CRF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는 탄소섬유 직물에 수지를 함침시켜 만들어지며, 고강도, 고탄성을 지니면서도 가볍고 밀도가 낮기 때문에 항공우주,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탄소섬유와 수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이징, $HNO_3$ 산화, 전기화학적 산화, 플라즈마 처리 등의 다양한 탄소섬유 표면처리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의 강도향상을 위해 탄소섬유 직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알곤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강도변화를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된 직물은 열가소성수지인 CBT와 함침시켜 탄소섬유 복합재로 제조하였다. 그 결과 플라즈마 처리한 복합재의 강도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복합재의 표면이 거칠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플라즈마로 인해 직물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직물의 표면과 수지의 결합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itial state of GaN grown by plasma enhanced molecular beam epitaxy (PEMBE로 성장된 GaN 박막의 초기 거동 관찰)

  • Yi, Min-Su;Cho, Tae-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989-992
    • /
    • 2004
  • PEMBE(plasma enhanced molecular beam epitaxy)방법으로 성장된 GaN 박막의 초기 거동현상을 실시간 X-선 산란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표면이 원자 계단(atomic step)을 이루고 있는 사파이어 기판 위에 성장하는 GaN 박막은 layer-by-layer 모드로 성장 후 3D 모드로 성장을 하였다. 거친 표면을 가진 사파이어 기판 위에 성장하는 GaN 박막은 성장 초기는 표면을 평평하게 만든 후, 3D 모드로 성장하였다. 플라즈마로 생성된 이온화된 질소는 표면의 에너지를 변화시켜 GaN 박막의 증착을 증진시키고, 표면의 coverage를 증가시킨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inned Wall Behavior and Surface Crystallization in Cobalt-rich, Near-zero Magenetostricitve Sensors (자왜계수가 0인 Co계 센서의 자벽의 자벽 고착거동과 표면 결정화간의 관계)

  • 김창경;유춘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31 no.4
    • /
    • pp.199-208
    • /
    • 1998
  • 자벽고착 개념에 기초를 둔 새로운 조화센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진다. 2단계 열처리된 Co계 비전질 percursor은 특이한 signal을 유발시키는데 이는 자속의 단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hystresisloop에 기인한다. 자장하에서의 1단계 열처리는 M-H loop에서 일축유도 자기이방성을 발생시킨다. 2단계 무자장하의 열처리는 고착된 자벽의 stepped hystresis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로인해 유용한 marker로서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열처리동안 비정질재료의 표면과 내부에서 상당량의 산화와 결정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오인한 표면 자벽 고착 모델의 제안은 자벽의 고착이 비정질부분과 semi-hard Co 층간의 접합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얻어지다는 것으로써 확신되어진다. 또한 자벽 고착 자장과 결정화된 Co층의 두께간의 상당한 연관성도 관찰되었다.

  • PDF

이온소스법에 의한 DLC막의 제작 및 기계적 특성

  • Kim, Mi-Seon;Hong, Seong-Pil;Kim, H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64-165
    • /
    • 2007
  • Si(중간층)/DLC(diamond-like carbon)막은 스퍼터와 이온소스(ion source)법에 의한 복합방식(hybrid method)을 이용하여 3mTorr의 반응가스 벤젠($C_6H_6$)분위기에서 Si wafer에 기판온도 $130^{\circ}C$로 180분간 증착하였다. 평가는 표면과 단면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과 투자전자현미경(trasmission electron microsope, TEM)으로 관찰하였다. 경도와 마찰계수는 나노인텐터(nanoindetor)와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였으며, 박막의 구조는 라만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박막의 두께는 약 $0.9{\mu}m$, 표면조도는 약 $0.34{\sim}1.64nm$로 평탄한 표면을 가지며 경도는 약 $35{\sim}37GPa$, 마찰계수는 약 $0.02{\sim}0.07$로 관찰되었다. 라만분광법과 전자회절패턴에 의해 IG/ID의 함량비는 $0.54{\sim}0.59$$sp^2$$sp^3$가 혼재된 전형적인 비정질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ITO films deposited using ITO targets with different conductivities (타겟의 전도도에 따른 ITO 박막의 물성에 관한 연구)

  • Jo, Sang-Hyeon;Park, Jun-Hong;Lee, Sang-Cheol;Lee, Jin-Ho;Yun, Han-Ho;Song, P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93-94
    • /
    • 2007
  •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전도성이 다른 타겟을 사용하여 non-alkali glass 기판위에 실온에서 ITO 박막을 증착하였다. 전도성 향상 타겟을 사용하여 증착한 ITO 박막의 경우, 최저 비저항은 2.9 ${\times}$ $10^{-4}{\Omega}cm$로 산소첨가량 0.5%에서 얻어졌다. 이것은 타겟 표면의 노듈에 의하여 발생하여 박막물성을 저하시키는 마이크로 아킹의 감소 및 플라즈마 임피던스의 감소에 의한 방전 안정성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AFM에 의한 박막표면의 관찰결과, 산소첨가량에 따라 박막표면의 거칠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결과는 산소의 증가에 따른 박막의 부분적인 결정화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XRD 관찰 결과 산소첨가에 따른 박막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확인 할 수 없었다.

  • PDF

폴리이미드 필름과 금속의 접촉력 향상을 위한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 연구

  • Seo, Jin-Seok;O, Jong-Sik;Yeom,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5-335
    • /
    • 2012
  • 금속 박막과 PI film 과의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remote - type modifi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module을 이용하여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결과, 접촉각이 매우 낮게 형성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f Si(111)-Sn Surface by Variation of RHEED Spot Intensity (RHEED 반점의 강도변화를 이용한 Si(111)-Sn 표면조사)

  • 곽호원;이의완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3 no.2
    • /
    • pp.186-189
    • /
    • 1994
  • Si(111)-7x7 표면에 Sn을 증착시킬 때 기판온도와 증착량에 따른 표면구조의 변화를 RHEED상 (pattern)과 RHEED상의 회절반점(spot) 강도변화를 관찰하여 조사하였다. Si(111) 기판오도를 $ 400^{\circ}C$로 유지하면서 Sn을 증착시킬 때{{{{ SQRT { 3}$\times$ SQRT { 3}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기판온도 $200^{\circ}C$ 이하에서는 증착량에 따라 {{{{ SQRT { 3}$\times$ SQRT { 3} }}, {{{{2 SQRT { 3} $\times$2 SQRT { 3} }}, 구조들이 관찰되었다. RHEED 반점의 강도변화를 이용하여 Si(111)-Sn {{{{ SQRT { 3}$\times$ SQRT { 3} 서의 Sndnjs자의 이탈과정을 조사한 결과 이탈에너지는 $3.3pm$0.1 eV로 조사되었다.

  • PD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breaking failure on ACSR-OC Conductor (알루미늄 절연전선의 단선고장 특성 분석)

  • Kim, Dong-Myung;Ra, Dong-Ch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b
    • /
    • pp.185-187
    • /
    • 2008
  • ACSR-OC 전선은 알루미늄, 아연 및 철 등 세 가지 금속이 서로 접촉되는 이질구조이므로 도체 내에 전해질의 수용액이 존재할 경우 전해부식이 일어나기 쉽고 표면이 손상되었을 경우는 서지의 고정점으로 작용하여 단선될 우려가 있다. Al 절연전선이 염분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시료는 10년이상 현장에서 사용한 후 천거한 전선과 신품에 대해 기계적 강도시험(KSC 3113의 5.4.3 (인장하중시험)), 소선의 성분분석(SEM) 및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철거전선 표면에서는 알루미늄 외 산소, 염소(Cl), 나트륨(Na) 등이 관찰되었으며 소선은 부식 또는 진행 중이어서 전선의 인장력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 표면이 손상된 전선에 대해 파괴시험, 현미경 관찰 등을 실시하여 절연에 미치는 영항을 조사하였다.

  • PDF